경리단길, 연남동과 함께 2010년대 서울 젠트리피케이션을 대표하는 ‘핫 쓰리’ 중 하나인 서촌에는 다양한 사람이 산다. 그중 새로 들어온 주민(신주민)과 적극적으로 네트워크를 맺는 토박이가 있는가 하면 신주민을 배척하며 거리를 두는 토박이도 있다. 또한 뒤늦게 이곳에 들어왔지만 ‘주민이 되고자’ 하는 사회운동가도 있고, 서촌에 카페, 상점 등을 운영하며 공동체를 꾸려가는 창의적 자영업자도 있다. 이들은 모두 ‘동네보존’ 아젠다에는 동의하지만, 무엇을 어떻게 보존할 것인지를 두고 서로 다르게 생각하며 생활 방식도 제각각이다.
서촌은 분명 젠트리피케이션이 벌어지는 장소지만, 이곳에 사는 사람을 승자와 패자, 가해자와 피해자라는 이분법으로 나누기란 어렵다. 다른 처지에서 각자 다른 경험을 하지만 모두가 젠트리피케이션을 겪는 장본인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누구나 승자가 되고 패자가 된다.
젠트리피케이션은 서촌뿐 아니라 서울 곳곳에서 진행 중이며, 아직 끝나지 않았기에 복잡하고 혼란스럽다. 그런데 단순히 승자와 패자 또는 가해자와 피해자라는 프레임으로 젠트리피케이션에 접근하면 답하기 어려운 질문이 많다. 구로공단의 수많은 제조업 노동자를 몰아내고 들어선 서울디지털산업단지에서 일하는 지식노동자는 젠트리피케이션의 승자일까? 종로3가와 창신동을 낙후, 노후, 쇠퇴한 지역으로 선정해 도시재생 정책을 펼치는 동시에 젠트리피케이션 방지 협약을 논하는 서울시는 가해자인가 아니면 해결사인가?
Contents
서문 매혹 또는 현혹의 도시 서울로 깊숙이 들어가다
서장 서울의 젠트리피케이션, 그리고 개발주의 이후의 도시
들어가며: ‘개발주의’, 그 이후?
젠트리피케이션: 기원, 정의, 원인
젠트리피케이션과 예술/예술가, 그리고 로프트 생활
변이, 물결 그리고 지구화 어떤 괴리, 그리고 그 괴리의 조정
나가며: 서울의 젠트리피케이션 세대
1부 오래된 서울의 새로운 변화: 서촌, 종로3가
1장 서촌: 도심에 남은 오래된 동네의 고민
들어가며: 젠트리피케이션, 서울에 도착하다
젠트리피케이션 개념의 탈맥락화와 재배열
서촌 또는 오래된 서울의 가까운 과거
토박이부터 자영업자까지, 서촌을 만드는 사람들
나가며: 서울 구도심 마지막 남은 동네의 운명
2장: 종로3가 섬이 되어버린 서울 미드타운
들어가며: 낙후, 쇠퇴, 노후의 상징이 된 종로3가
종삼, 성性의 역사
종로3가, 정체의 장소로 만들어지다
노인들의 파라다이스
돈의동 쪽방촌 익선동의 화려한 변화
나가며: 종로3가 노인들과 익선동 젊은이들은 안전한가
2부 세 개의 핫 플레이스, 서로 다른 궤적: 홍대, 신사동 가로수길과 방배동 사이길, 한남동
3장 홍대: 떠나지 못하는 문화유민
들어가며: 홍대에서 일어난 젠트리피케이션과 전치
젠트리피케이션 이론의 한계: 그 이후의 문제
재개발, 젠트리피케이션, 홍대
홍대 상권의 팽창? 홍대화되는 동네들
전치되었으나 떠나지 않는 이들의 궤적
대안문화에서 대안경제로: 대안적 주체들의 욕망, 윤리, 장소
나가며: 전치는 끝이 아니다
4장 신사동 가로수길과 방배동 사이길: 강남의 역류성 젠트리피케이션
들어가며: 강남 개발과 젠트리피케이션의 탈식민화
강남 개발: 신축 젠트리피케이션인가, 한국판 교외화인가
마지막으로 도착한 첫 번째 물결: 강남의 역류성 젠트리피케이션
신사동 가로수길: 강남 배후지의 고속성장
방배동 사이길: 대안적 도시화의 가능성
나가며: 역류성 젠트리피케이션의 속도와 폭
5장 한남동: 낯선 사람들이 만든 공동체
들어가며: 한남동, 분쟁지역이 되다
길, 장소가 되다: 우사단길과 한강진길
공간, 장소 그리고 행위자: 한남동의 다양한 창의계급
한강진길: 문화적 기획 또는 경제적 기획
우사단길: 소수자와 공동체
나가며: 리움부터 구탁소까지
3부 ‘정책 없는 재생’에서 ‘재생 없는 정책’으로: 구로공단, 창신동, 해방촌
6장: 구로공단 전신성형, 그리고 유리빌딩의 환청
들어가며: 의문의 간극
시시한 말다툼을 넘어서
구로동맹파업, 나이키 신발, 젠트리피케이션
반半지하, 현존하는 부재 , 후기 산업의 유령들
나가며: 유령의 회귀를 위하여
7장:창신동 글로벌 도시만들기와 도시재생 사이
들어가며: 도시재생 선도지역이 된 봉제마을
창신동을 둘러싼 서울시의 경합과 문화적 실험
도시재생은 과연 선한 정책인가
창신동의 역사: 동대문시장과 봉제마을
창신동의 공간: 봉제공장에서 한양도성까지
도시재생을 둘러싼 쟁점: 진정한 주민이란
나가며: 누구를 위한 도시재생인가
8장: 해방촌 도시난민의 정착지 또는 실험실
들어가며: 해방촌오거리, 이념을 넘어
개발압력과 상업 젠트리피케이션
해방촌, 그곳의 오래된 사람들: 1946~2005
코스모폴리스 해방촌, 이주민의 영토 확장
커뮤니티 또는 사조직, 신주민의 전유물
나가며: 도시난민은 또다시 쫓겨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