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지열발전소 시험가동 과정의 63회 유발지진들, 왜 숨겨왔나?
포항지진, 인재(人災)인가 천재(天災)인가?
포항지열발전소가 2016년 1월부터 2017년 9월까지 시험한 지하 시추공 물 주입과 배출의 과정에서 무려 63회의 유발지진이 발생했다. 이 엄청난 사실들은 5.4 강진이 터진 그날까지 포항시민 어느 누구도 모르게 감쪽같이 숨겨져 왔다. 그중에는 규모 3.1의 지진도 있었고 규모 2를 넘은 것만 해도 10회였다. 1.0 이하의 진동은 통계에 포함되지 않았음을 고려하면 얼마나 많은 미소진동이 발생했는지를 상상하기란 어렵지 않다. 더구나 그때는 세상이 혼란스러운 시기도 아니었다. 박근혜 대통령 탄핵 1차 촛불집회가 열린 때가 2016년 10월 29일이었으니…….
산업통상자원부와 포항지열발전 건설업체 넥스지오는 처음에 유발지진이 몇 차례 발생한 시점에서 당연히 그것을 공개하고 해외 여러 사례들과 비교해가며 올바른 대책을 세우는 일에 돌입했어야 했다. 그러나 유발지진 발생 사실을 시민들에게 철저히 숨기는 가운데 시험가동을 계속했고 유발지진은 계속 발생했다. 이는 대형 인재(人災)를 불러들이기로 작정한 듯이 ‘대범한 사람들’의 참으로 ‘대담한 행동’이었다.
포항지열발전소는 좋은 의도로 출발했다. 정부도 포항시도 업체도 그랬다. 그러나 좋은 의도가 나쁜 결과를 낳는 경우도 있다. 문제의 핵심은 그 과정이다. 나쁜 결과를 예고하는 현상들이 63회나 나타났지만 그것들을 철저히 숨겨왔다는 사실이 포항지열발전소의 가장 심각한 문제이다.
지열발전소에 의한 대표적 유발지진 의심 사례가 일어난 스위스의 바젤시는 2006년 12월 규모 3.4 지진이 발생하자 건설을 영구 중단했다. 동부 지역인 장크트 갈렌 시에서는 2013년 지열발전소 건설을 위한 시추작업 중 규모 3.6의 지진이 발생해 사업이 중단됐다. 당국은 긴급 위기대응팀을 파견하고 즉시 시추공에 돌과 흙을 투입했다. 사업 중단은 당연한 결과였다. 독일 란다우인데어팔츠에서는 2009년 8월에 규모 2.7이, 프랑스 알사스 주의 술츠 수포레에서는 2003년 지열시추공 2개를 뚫은 뒤 규모 2.9 지진이 각각 발생했다. 호주에서도 쿠퍼 분지의 사막에 시추공 2개를 뚫자 2003년 12월 지진이 잇따랐으며 최대는 규모 3.7이었다.
이처럼 지열발전소 건설 및 가동 과정에서 유발지진의 의심사례는 세계적으로 충분히 확인되었다. 그 결과 관련 시설의 부지 선정 과정에 적용할 프로토콜이 제정돼 주거지역과의 거리와 지반에 대한 기준도 제시돼 있다. 하지만 한국에서 처음으로 시도된 포항지열발전 사업의 추진과정에서 정부와 기업 등 참여주체는 포항시민에게 어떤 정보 제공도 제공하지 않았고 여론 수렴 노력도 기울이지 않았다. 뿐만 아니라, 은폐해온 63회 유발지진에 이어서 규모 5.4 강진이 발생한 후 여러 의혹들에 대한 언론의 취재에 대해 거짓말과 변명, 말 바꾸기와 쟁점 회피 등 심각한 모럴 해저드 상태를 노출하기도 했다.
그래서 이 르포는 다섯 가지 질문을 던지지 않을 수 없다.
첫째, 포항지열발전소 건설업체인 넥스지오는 63회 유발지진 발생에 대해 포항시에 단 한번도 알리지 않았는가? 그것을 포항시에 알릴 의무가 전혀 없었는가? 그래서 포항시는 정말 일반시민처럼 63회 유발지진을 까맣게 몰랐는가?
둘째, 63회 유발지진 발생 보고를 받은 산업통상자원부는 왜 그것을 숨겨왔는가? 국민을 위한 정부기관이었는가, 업체를 위한 정부기관이었는가?
셋째, 포항과 인연이 없는 국민의당 윤영일 의원과 더불어민주당 김성수 의원이 63회 유발지진에 대한 자료를 공개했는데, 포항의 두 국회의원(자유한국당 김정재, 박명재 의원)은 그 철저한 은폐에 대해 국정조사라도 요구해야 옳지 않는가?
넷째, 포항지진과 지열발전은 상관이 없다는 ‘부정파’ 학자들에게 묻고 싶은 것으로, 북한이 길주군 풍계리에서 6차례나 핵실험을 했어도 그 산은 멀쩡하게 잘 버티고 있지만 만약 포항시 흥해읍에서 똑같은 핵실험을 했더라면 흥해읍은 단번에 거대한 구덩이로 변했을 텐데, 왜 그럴까? 땅의 성질이 너무 다르기 때문이지 않는가?
다섯째, 포항지진과 지열발전의 상관성에 대한 조사위원회가 어떻게 될지 몰라도 그 결과야 ‘상관성이 아주 높다’부터 ‘상관성이 거의 없다’까지의 어느 지점에 놓일 것으로 예단할 수 있는데, 이미 포항시민은 포항지열발전소를 재앙의 근원이라 여기고 있으니 정부는 ‘오랜 은폐에 대한 책임감’까지 통감하여 포항지열발전소를 폐쇄해야 옳지 않는가?
Contents
63회 유발지진들, 왜 숨겨왔나?
지열발전의 유발지진, 외국사례들도 있었다
2017년 11월 15일 오후 2시 29분 31초
수능 연기 전격 결정
지진 피해라는 눈덩이
포항의 땅속에서 과연 무슨 일이?
‘블랙 스완’이 된 포항지열발전소
지진의 원리를 이해하는 열쇠, 응력
이지에스, ‘지열 빈국’에 성배인가, 독배인가
윤곽 드러내는 유발지진의 쟁점들
‘물 주입 후 지진 63회 발생’ 충격
불신만 키운 넥스지오와 정부의 해명
속속 드러나는 기상청의 뒷북치기
새로운 쟁점이 된 진원, 진앙 위치 수정
창과 방패, 진용 정비한 긴급포럼
쟁점1, 포항지열발전소 물 분사량과 압력
수압 89MPa는 워터제트가공기 1/4 위력
쟁점2, 물 주입과 지진 발생 시기의 연관성
지진학, 모호함의 학문인가
쟁점3, 지열발전소의 지반은 안전한가
음모론 냄새 풍기는 활성단층 논란
전문가의 함정과 양심
위험사회론으로 본 포항지진
위험소통 무시한 정부가 최대의 책임자
‘실증연구개발’ 명분은 특혜의 시작
정부 보고서에서도 드러난 정보 공개의 필요성
‘지열 신기루’에 허 찔린 포항시
‘시민의 힘’ 보여준 SNS의 위력
정부의 재난 구호 체계 정비는 원점에서
지진의 고통과 피해도 ‘미투’를
맺음말-글을 맺는 소망과 남은 질문들
Author
임재현
1967년 경북 포항 출생. 성균관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무역회사에서 6년 근무한 뒤 귀향하여 (사)포항지역사회연구소 사무국장, 지역연구 중심 종합지 《포항연구》 편집장, 형산강 환경조사 프로젝트 실무총괄, 신문사 사회부 기자를 거쳐 경북매일신문 편집국장을 지냄. 주요 르포에는 「연중기획특집 ‘다시 형산강에서’」 「미국 서부 도심·항만 리모델링 현장 탐사」 「광복 71주년, 잊혀진 미주 한인 이민 1세대를 찾아서」 등이 있음.
1967년 경북 포항 출생. 성균관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무역회사에서 6년 근무한 뒤 귀향하여 (사)포항지역사회연구소 사무국장, 지역연구 중심 종합지 《포항연구》 편집장, 형산강 환경조사 프로젝트 실무총괄, 신문사 사회부 기자를 거쳐 경북매일신문 편집국장을 지냄. 주요 르포에는 「연중기획특집 ‘다시 형산강에서’」 「미국 서부 도심·항만 리모델링 현장 탐사」 「광복 71주년, 잊혀진 미주 한인 이민 1세대를 찾아서」 등이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