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ut of Print

로컬리즘 기반의 중소도시 재생정책 방안

기본연구보고서 2021-14
$30.24
SKU
9791156593676

 

본 상품은 품절 / 절판 등의 이유로 유통이 중단되어 주문이 불가합니다.

이용에 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Wed 05/7 - Tue 05/13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Fri 05/2 - Tue 05/6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2/04/29
Pages/Weight/Size 209*270*20mm
ISBN 9791156593676
Contents
제1장 서론

1. 연구배경 및 목적 1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목적 6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9

1) 연구의 범위 9

2) 연구방법 11

3) 용어정의 12

3. 기존 연구성과 분석 및 본 연구와의 차별성 13

4. 연구수행체계 및 절차 18


제2장 로컬리즘 기반의 중소도시 재생 개념 및 정책 동향

1. 로컬리즘 기반의 중소도시 재생 개념 및 특성 19

1) 로컬리즘 기반의 중소도시 재생 개념 19

2) 로컬리즘 기반의 중소도시 특성 24

2. 로컬리즘 기반의 중소도시 재생을 위한 조건 25

3. 로컬리즘 기반의 중소도시 재생 관련 정책 동향 및 시사점 36

1) 인구감소지역 인구유입 및 지역 활성화를 위한 정책 36

2) 중소도시의 지역기반 활동주체 육성을 위한 지원정책 42

3) 지역자원 활용 지역재생 관련 정책 47

4) 로컬리즘 기반의 중소도시 재생 측면에서 정책의 시사점 52


제3장 도시재생사업 추진현황 분석 및 로컬리즘 기반의 중소도시 재생 과제

1. 「도시재생법」 제정 이후 재생사업 추진체계 변화 55

1) 지역주도의 쇠퇴지역 활성화를 위한 지원제도 마련과 변화 55

2) 지역주도 사업 추진을 위한 계획수립 및 거버넌스 체계 60

3) 로컬리즘 기반의 재생을 위한 인적자원 육성 및 일자리 창출 지원 63

2. 지방중소도시 재생사업 추진현황 70

1) 도시재생사업 추진현황 70

2) 지방중소도시 사업유형별 국비지원 현황 72

3) 지방중소도시 국비지원사업에 의한 로컬기반의 활동주체 조직 및 운영 현황 75

3. 로컬리즘 기반의 지방중소도시 재생을 위한 과제 77


제4장 중소도시 재생사례 심층분석

1. 분석 개요 83

2. 의성군 심층 분석 89

1) 의성군 지역 개요 89

2) 도시재생사업의 주요내용 92

3) 지역활동주체 활동 심층분석 95

4) 도시재생사업 추진 이후 지역의 변화 및 한계 100

3. 나주시 심층 분석 105

1) 나주시 지역 개요 105

2) 도시재생사업의 주요내용 108

3) 지역활동주체 활동 심층분석 111

4) 도시재생사업 추진 이후의 변화 및 한계 118

4. 충주시 심층 분석 123

1) 충주시 지역 개요 123

2) 도시재생사업의 주요내용 127

3) 지역활동주체 활동 심층분석 130

4) 도시재생사업 추진 이후 변화 분석 및 한계 136

5. 종합분석 및 시사점 141


제5장 로컬리즘 기반의 중소도시 재생정책 방향 및 제도개선

1. 로컬리즘 기반의 중소도시 재생을 위한 정책개선 방향 153

2. 로컬리즘 기반의 중소도시 재생을 위한 추진전략 157

1) 지역자원 순환기반의 통합적 공간관리 계획 수립 157

2) 다양한 지역자원 활용 및 연계를 통한 생활·경제 생태계 구축 161

3) 지역성을 반영한 주거환경 및 공간환경 개선 172

3. 로컬리즘 기반의 중소도시 재생을 위한 정책 및 제도개선 방안 178

1) 로컬리즘 기반의 중소도시 재생 계획수립 절차 및 체계 178

2) 참여방식에서 지역성을 고려한 사업추진체계 및 거버넌스 구축 179

3) 실행력 확보를 위한 정책 및 제도개선 186


제6장 결론

1. 연구 성과 205

2.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추진과제 207


참고문헌 209


SUMMARY 217
Author
서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