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녹화 및 정원에 사용되는 식물재료에는 수목, 초본류, 지의류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수목은 녹화공간과 경관 구성에 빼놓을 수 없는 주된 재료로서, 키가 큰 교목성 수목, 줄기와 가지가 뚜렷하지 않고 키가 작은 관목, 그리고 덩굴성 수목으로 구분된다. 교목과 관목, 덩굴류는 단기 임업 소득원으로 매우 중요하며 다양한 녹지공간에 활용되었다. 점차 커져가는 도시녹화 시장에서 녹화식물의 안정적인 공급이 이뤄지기 위해서는 적기에 대량으로 생산하고 관리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고, 효율적인 유통과 현장적용을 위한 규격화 및 표준화가 필수적이다.
이 책은 정원에 이용되는 주요 정원식물과 정원공간별 녹화에 적합한 식물의 선정, 정원식물의 수형과 식재 가이드라인, 정원식물의 유통수종과 규격 빈도분석, 국내외 정원식물의 품질기준, 교목, 관목, 초본류의 생산과 재배기술 등에 대한 농가의 기반기술 및 선진국가의 첨단기술 등을 전문가의 자문을 거쳐 통합·정리하였다. 이러한 모든 내용을 농가에서 또는 일반인들이 정원식물을 생산하고 관리하는 데 실제적으로 활용할 수 있기를 바란다.
Contents
머리말
제1장 정원식물의 개요와 종류
1. 정원식물의 의미
2. 주요 정원식물
3. 정원의 유형
4. 공간별 녹화를 위한 식물의 종류
제2장 주요 정원식물의 수형과 식재 지침
1. 정원식물의 형태별 분류
2. 정원식물의 성상별 식재 지침
제3장 주요 정원식물의 유통수종 규격 빈도분석
1. 상록교목 5종의 규격과 빈도분석 결과
2. 낙엽교목 15종의 규격과 빈도분석 결과
3. 상록관목 11종의 규격과 빈도분석 결과
4. 낙엽관목 19종의 규격과 빈도분석 결과
5. 초본류 100종의 빈도분석 결과
제4장 국내외 정원식물의 규격·품질 기준
1. 한국 정원식물의 규격과 품질 기준
2. 독일 정원식물의 규격과 품질 기준
3. 스위스 정원식물의 규격과 품질 기준
4. 한국 정원식물의 규격과 품질 기준을 위한 대안
고려대학교에서 조경학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한국농수산대학 조경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대학에서
는 조경수목학, 조경생산특론 등의 과목을 강의하고 있다. 최근 농촌진흥청과 도시농업관련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대학에 오기 전에는 (주)대우건설에서 조경 및 도시계획부장과 하노이신도시사업팀장으로 일하면서 Libya 사막지역 조경과 베트남 Hanoi New Town Project 등을 수행하였다. 한국조경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 인간식물환경학회,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등의 임원으로 활동 중이며 조경기술사, 문화재기술자, 분재전문관리사 등의 자격을 가지고 있다. 저서로는『돈이 되는 나무』,『정원수 유지관리 매뉴얼』,『정원관리 매뉴얼』,『조경공사 표준시방서』,『정원 유지관리 실내식물 기르기』,『조경수 컨테이너 재배 신기술』등이 있다.
고려대학교에서 조경학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한국농수산대학 조경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대학에서
는 조경수목학, 조경생산특론 등의 과목을 강의하고 있다. 최근 농촌진흥청과 도시농업관련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대학에 오기 전에는 (주)대우건설에서 조경 및 도시계획부장과 하노이신도시사업팀장으로 일하면서 Libya 사막지역 조경과 베트남 Hanoi New Town Project 등을 수행하였다. 한국조경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 인간식물환경학회,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등의 임원으로 활동 중이며 조경기술사, 문화재기술자, 분재전문관리사 등의 자격을 가지고 있다. 저서로는『돈이 되는 나무』,『정원수 유지관리 매뉴얼』,『정원관리 매뉴얼』,『조경공사 표준시방서』,『정원 유지관리 실내식물 기르기』,『조경수 컨테이너 재배 신기술』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