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민정음(訓民正音)’은, 1443년 겨울에 이르러서야 동서고금의 백왕(百王) 모두를 초월하고 지극(三一)에 因(一)함으로서 하늘(一)이 내린(三ㆍ朝) 세종聖帝의 제작모神工에 따라서 천지자연의 근본 법칙까지 가지런히 가림토되고 비로소 모두 바로 세워진「언문성음의 글자체계와 正音체계로서 창제(創制/1443年 12月 30日)」되었다. 그러나 ‘세종 어제를 앞세운 훈민정음의 언해본/예의본/국역본’을 비롯하여, 1940년 처음 발견된 ’훈민정음 漢文本/해례본‘을 번역 해석하거나 한글 국역조차도 육서지법의 한자 어법과 방언리어 창출지법을 뒤집어쓴 것에 불과할 뿐이라는 사실을 밝혀 이를 근본적으로 바로잡고자 [훈민정음 해서본]을 편저하였다.
제1。제자해(制字解)
1。차례/해제 ...............................................................................................................115
2。언문/해제 ...............................................................................................................116
3。언문해서 및 언문체계/해제 .....................................................................................117
4。본문해제 및 언문해서.................................................................................................130
5。제자해ㆍ결왈(訣曰 ◇ 諺文7字86行) ........................................................................151
一。초성해(初聲解)
1。언문/해제 ...............................................................................................................164
2。본문해제 및 언문해서.................................................................................................165
3。초성해ㆍ결왈(訣曰 ◇ 諺文7字8行) ..........................................................................167
二。중성해(中聲解)
1。언문/해제 ...............................................................................................................169
2。본문해제 및 언문해서................................................................................................170
3。중성해ㆍ결왈(訣曰 ◇ 諺文7字8行) ..........................................................................173
三。종성해(終聲解)
1。언문/해제 ...............................................................................................................175
2。본문해제 및 언문해서.................................................................................................176
3。종성해ㆍ결왈(訣曰 ◇ 諺文7字20行) ........................................................................180
四。합자해(合字解)
1。언문/해제 ...............................................................................................................183
2。본문해제 및 언문해서.................................................................................................184
3。합자해ㆍ결왈(訣曰 ◇ 諺文7字18行 및 푯말3행) ..................................................191
五。용자례(用字例)
1。언문/해제 ...............................................................................................................195
2。본문해제 및 언문해서.................................................................................................196
3。용자례ㆍ一覽(한국고유의 諺文正音/체계ㆍ一覽) ...............................................203
제3장。훈민정음ㆍ서왈(序曰)
1。언문/해제 ...............................................................................................................205
2。차례/해제 ...............................................................................................................207
3。본문해제 및 언문해서.................................................................................................208
4。언문해서 및 언문체계/해제
一。「有天地自然之聲?則必有天地自然之文」 ..............................................................217
1。천지자연의 언문성음/체계로서 말미암아진 즉、「一朝ㆍ제작모神工」 해제/참조
2。但因(三一)한 태고인의 성음체계ㆍ언문체계ㆍ字書체계/자방고전으로서 서로 마주함
3。이로서 실어 전한 「天地人ㆍ三才之道」는 천지자연의 근본법칙을 뜻하는 바였음에도
二。「~~~以通萬物之情?以載三才之道?而後世不能易也」 ........................................219
1。후세에 이르면서 불능달의 주역(周易)과 음양이치의 반절어법으로 줄줄이 뒤바뀜으로 인해
2。무주공산(중원천하/인간세상)의 4방풍토ㆍ풍습ㆍ풍속ㆍ풍악ㆍ풍성 등으로 구별/구획된
3。가중국(假中國)의 가짜(假字)를 빌어쓰는 용두◑사미☆필법으로 뒤엉켜서 두 갈래로 갈라서버린
4。漢語계통의 공자필법(중국吏讀)과 梵語계통의 불경화법(신라吏讀)으로 동문동궤가 이루어진
5。오동방ㆍ예악문장 모두가 華◑夏를 모방하고 답습이 거듭된 但방언리어에 불과하다한 즉
6。방언리어 창출지법의 중간에 틀어박힌 거두절미법칙의 용두사미필법과 불능달의 周易까지
三。「癸亥年。我」..........................................................................................................236
1。송두리째 걷어내고서 다시금 일으켜 세울수 있었던 「세종聖帝의 제작모神工」에 따라서
2。「언문성음의 글자(正音28字)체계로서 창제(1443년 12월 30일)」되었고
3。「언문성음의 字書체계(한국고전◇訓民正音)로서 신제(1446년 9월 29일)」되었던 바가 곧
四。「遂」 .......................................................................................................................252
1。집현전 諸人(7인) 등에 의해 「謹作/謹書」되고 완성(이룩)되었던
2。「一朝ㆍ제작모神工의 훈민정음ㆍ신제본(新制曰ㆍ解例/訣曰/푯말ㆍ序曰)」으로서
3。다시금 후세에 실어전하면서 널리 반포함을 뜻하는 바였던 것이다
五。「恭惟我」 ...............................................................................................................257
1。공손히 돌이켜보옵건대、저희(我)들
2。전하께서는 「하늘(一)이 내린(三ㆍ朝) 聖帝之位와 마주하는 一朝ㆍ제작모神工」에 따라서
3。「무소조술의 桓檀제도로서 모두 구비된 언문성음의 자방고전」까지 모두 바로세운 즉
이미 지극(三一)에 因(一)한 천지자연의 근본법칙까지 널리 실어전한 夫東方有國의 유구한 역사와 빛나는 전통(開天ㆍ開物ㆍ成務)에 따라서 만세에 전래되는 모두가 송두리째 뒤덮여버린(음양팔괘/周易/예악문장) 줄도 모르는 오늘(今日)에까지 오랜 기다림을 주심도 하늘의 뜻이리라 ............ 263
1446년 9월 29일(正統十一年九月上澣)
자헌대부ㆍ예조판서ㆍ집현전대제학ㆍ지춘추관사○세자우빈객ㆍ臣정인지
두 손을 모으고 머리 숙여 「謹書」함 ...........................................................................264
訓民正音(始/終)
이와 같은
「훈민정음의 처음(始/一)과 마주하는 끝맺음(終/三ㆍ十)」을 뜻하는 바로서도
태극(一)의 질서(三ㆍ十)에 따라서 끝없이 순환되는 천지조화의 一丸세계에 이르기까지 모두 담아낼
수 있었던 바를 뜻하는 즉、이미 지극(三一)에 因(一)한 태극(一)의 눈높이(三ㆍ十明/朝/神明)를 뜻
하는 「一朝ㆍ제작모神工」으로서 이룩된 모두가 함축되고 구비되어(三一법칙/三一체계) 만세에
전래되는 바를 뜻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이와같은 모두에 이르기까지 송두리째 집어삼켜버린(捨陰陽) 그로서의 중간에 머리(首)를 틀어박고
줄줄이 물구나무서버린(?字形/후천시대◑선천시대/八字形) 줄도 모르고 끝없이 함께할수 밖에
없는 줄도 모르는 그로서의 모두에 관하여 「제2부」에 모두 묶어서 편저(編著)된 바와 같은 것이다
부록(附錄)
이미 지극(三一)에 因(一)한
天地神明의
제작모神工에 따라서
태고(故)를 열어준(開天ㆍ開物ㆍ成務) 이래
후세에 이르면서 송두리째 뒤덮이면서(음양팔괘/周易/예악문장) 몽롱해져버린
桓因한국의 桓檀제도와 한국고유의 諺文체계(한국고전)까지 모두 바로세워진
「훈민정음ㆍ신제본/신제왈」로서 창제/신제되고 널리 반포되기에 이르렀던
1443년 겨울에 이르러서야
동서고금의 백왕(百王) 모두를 초월하고 지극(三一)에 因(一)함으로서
비로소 하늘(一)이 내린(三ㆍ朝)
세종聖帝의 제작모神工까지 모두 함축되고 구비되어 다시금 후세에 실어전한 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