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학 속의 우상과 구원』은 일곱 소설가(김은국 이범선 김승옥 이청준 백도기 박완서 정미경), 세 시인(윤동주 김현승 소강석) 비평가(이어령) 희곡작가(이보라)의 문학세계가 안준배 평론가의 탐색으로 ‘한국문학 속의 우상과 구원’에 대한 작품세계의 이해를 넓히고 있다. 모든 문학작품 속에 우상과 구원은 공존한다. 그 창작 밀도는 부조리한 사람 실존의 빛깔 냄새로 현현된다. 우리 문학 평단에서 그의 입지가 주목되는 까닭은 신의 면목과 사람의 면목에 대한 지론이 차별화되기에 그렇다. 김은국의 「순교자」에서 사람이 신과 어떤 접목으로 믿음과 배신의 생을 살아내는가. 이를 짚어 평설하는 안준배의 종교적 심안은 특별하고 자별하다. 그가 목자로서 영적인 혜안으로 사물의 근본을 바라보며 이해하기에 가능한 것이다.
Contents
머리말│열두 작가들의 문학적 고향 004
소설
순교자의 작가 김은국 020
소설 순교자
실존주의적 휴머니즘
연극, 영화, 오페라 영역을 넘나든 《순교자》
오페라 순교자
김은국의 순교자에 나타난 진실
인간 본성에 대한 근원을 탐구한 이범선 042
학마을 사람들
피해자
오발탄
천당 간 사나이
이범선 소설의 영상화
무진기행, 김승옥 소설의 하얀색이 주는 의미 076
육십년대 작가
무진기행(霧津紀行), 하인숙과 나비부인
영화 〈안개〉, 외로이 걸어가는 고독한 존재
생명연습, 부흥사
건, 미영과 윤희
하얀 손, 예수님
이청준 소설에 나타난 구원과 용서 그리고 우상 102
낮은 데로 임하소서
이장호 감독의 영화, 낮은 데로 임하소서
소설, 벌레 이야기
영화 밀양, 구원과 용서는 신의 영역일까
당신들의 천국
교회 안의 불신자, 교회 밖의 신자
백도기 소설에 나타난 기독교의 본질과 원형 128
백도기의 부음
기독교적인 죄와 고통의 문학
백도기 소설의 원형, 백남용
문익환, 백도기가 지금 시골에서 목회하고 있다는 사실이 한신의 존재이유
백도기의 스승 윤치병
만경강, 갈대의 노래
백도기의 불꽃, 내 안에서도
자전적 소설가 박완서 156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그 산이 정말 거기 있었을까
나목
그해 겨울은 따뜻했네
그 남자네 집
한 말씀만 하소서
고통의 공간, 사랑의 공간 정미경 182
달은 스스로 빛나지 않는다.
정미경의 소설 속 인물
밤이여, 나뉘어라
고통의 전이와 폐쇄성 〈성스런 봄〉
두 차원의 시공간에서 정미경
시
순수와 저항의 민족시인 윤동주 206
윤동주의 삶, 스물일곱
기독교적인 체험이 삶의 영성으로
여리고 순수한 맑은 심상을 가진 윤동주
별을 헤아리고 별을 노래한 시성
윤동주가 꿈꾸는 이상 세계
윤동주의 부끄러운 자화상, 참회록
김현승 시 세계, 사라짐과 영원성 236
쓸쓸한 겨울 저녁이 올 때 당신들은
사라짐과 영원성
성과 속의 갈등
절대고독에서 절대신앙으로
꽃과 바람, 별을 헤아리며 외로운 선율을 찾아가는 시인 소강석 260
판소리 동편제와 시인의 고향, 남원
꽃은 바람이 있어야
별을 헤아리며 별들의 고향을 찾아서
이선희와 엘비스 프레슬리의 별, 워싱턴과 지리산의 별
외로운 선율을 찾아가는 서정시인 소강석
너의 이름을 사랑이라 부른다
평론
지성에서 영성으로, 이어령 294
이어령과 이상
우상의 파괴, 이어령의 문학비평
에세이스트 이어령
문화의 아이콘, 이어령
지성에서 영성으로, 이어령
문화와 영성의 건축가 이어령
이어령의 추모전, 장예전長藝展
희곡
독창성으로 시대를 움직인 극작가 이보라 324
동양극장 홍해성의 문하생, 이보라
박남옥, 한국 첫 여성 영화감독의 〈미망인〉
한국 최초의 민간방송 HLKY(기독교방송)
KBS 라디오 일일 연속극, 산 넘어 바다 건너
대한민국 최초 타이틀을 무수히 보유했던 이보라가 남긴 것
발문 | 김종회 _ 문학평론가, 전 경희대 교수 374
발문 | 황충상 _ 소설가, 동리문학원장 376
참고문헌 356
찾아보기 360
Author
안준배
한세대학교 신학과와 목회대학원, 명지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문예창작과를 졸업하고 서울기독대학교대학원 역사신학을 전공하여 철학박사학위를 받았다. 『포스트 모던』 연극평론, 『한국시』 수필, 『신한국문학』 시로 등단하였다. 저서와 논문으로 문화평론집 『쎄실로 가는 길』(예인사랑, 2003/3판), 『예술 그리고 예수』(예인사랑 2004/3판), 『예술무대, 빛과 어둠』(대한기독교서회 2012/2판) “이현화 희곡에 나타나는 형식적 특성과 현실반영성 연구”, “성령운동의 시각에서 본 한국교회 연합활동: 역사와 전망” 이 있다. 대한민국기독예술대상, 기독교문화대상, 박성산순복음문학상, 한국교회인권상, 한국교회연합과일치상을 수상하였다.
현재 사단법인 세계성령운동중앙협의회 명예이사장, 기독교문화예술원장, 한국기독교성령역사연구원 원장, 대학로순복음교회 담임목사로 있으며 문화사역과 성령운동을 통한 한국기독교연합사역을 하고 있다.
한세대학교 신학과와 목회대학원, 명지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문예창작과를 졸업하고 서울기독대학교대학원 역사신학을 전공하여 철학박사학위를 받았다. 『포스트 모던』 연극평론, 『한국시』 수필, 『신한국문학』 시로 등단하였다. 저서와 논문으로 문화평론집 『쎄실로 가는 길』(예인사랑, 2003/3판), 『예술 그리고 예수』(예인사랑 2004/3판), 『예술무대, 빛과 어둠』(대한기독교서회 2012/2판) “이현화 희곡에 나타나는 형식적 특성과 현실반영성 연구”, “성령운동의 시각에서 본 한국교회 연합활동: 역사와 전망” 이 있다. 대한민국기독예술대상, 기독교문화대상, 박성산순복음문학상, 한국교회인권상, 한국교회연합과일치상을 수상하였다.
현재 사단법인 세계성령운동중앙협의회 명예이사장, 기독교문화예술원장, 한국기독교성령역사연구원 원장, 대학로순복음교회 담임목사로 있으며 문화사역과 성령운동을 통한 한국기독교연합사역을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