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제노사이드란 무엇인가

$27.00
SKU
9791156122869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2 - Thu 05/8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4/29 - Thu 05/1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4/10/31
Pages/Weight/Size 152*224*30mm
ISBN 9791156122869
Categories 역사
Description
“정의正義 실현을 위해 새로운 정의定義를”
은폐와 회피를 넘어 제노사이드를 묻다

이 책은 제노사이드의 정의를 새롭게 구성하고, 이를 현대 사회의 극단적 대량 폭력 문제와 연결한 중요한 연구서다. 지은이는 다양한 이론과 사례 분석을 바탕으로 제노사이드는 단순히 물리적 대량 학살을 의미하지 않으며, 민간인 집단에 대한 폭력적 파괴 행위가 사회적?정치적 갈등을 심화시키는 과정임을 강조한다. 이를 위해 제노사이드의 정의와 범위, 그리고 메커니즘을 법적 차원을 넘어 사회학적 관점에서 재구성하고 있다. 즉, 제노사이드의 복합적 성격을 분석하여 새로운 정의를 제시하고 방지 방안을 종합적으로 제안하고 있다.
Contents
· 머리말

제1장 폭력 비판에서 제노사이드 연구로

1. 폭력과 제노사이드
폭력이란|합법적 폭력과 정당한 폭력|법의 폭력성|반-폭력의 상상력|극단적 대량 폭력으로서 제노사이드
2. 폭력 연구의 계보
베버와 폭력 독점체로서 국가|갈퉁과 구조적·문화적 폭력|부르디외와 상징적 폭력|폭력의 사회학|현대성과 폭력
3. 망각에서 응답으로: 제노사이드 연구의 확장과 사회학
제노사이드 연구의 선구자들|사회과학과 제노사이드 연구|법학과 제노사이드 연구|제노사이드 연구가 봉착한 한계들

제2장 제노사이드의 탄생

1. ‘이름 없는 범죄’를 대면하고 응답하다: 라파엘 렘킨의 활동과 연구
생존을 넘어 운명을 자각하다|법과 언어로 미국과 유엔을 설득하다|“삶의 본질적인 토대들에 대한 파괴”
2. 국제법상의 범죄로 이를 방지·처벌해야 한다: 협약의 내용과 한계
3. 밀고 당기다가 타협하다: 협약의 쟁점과 논쟁
정치적 집단 포함 여부|제노사이드의 범위와 규모|‘의도’의 입증|제노사이드 방지와 처벌 방법|협약 논쟁의 의미

제3장 학계의 제노사이드 논쟁과 비판

1. 물리적인 대량 학살로 축소되다: 제노사이드 정의 논쟁의 쟁점과 비판
제노사이드를 정의한 첫 사회학자, 대드리안|협약 정의의 활용과 극복 사이에서, 페인과 초크·조나슨|초크·조나슨과 차니의 정의를 둘러싼 논쟁들
2. 어디까지가 제노사이드인가: 제노사이드 범위 논쟁
홀로코스트와 제노사이드|유일무이한 홀로코스트|홀로코스트 유일무이성의 상대화|‘민족 청소’|‘민족 청소’의 국제법 용법과 제노사이드|‘민족 청소’와 제노사이드에 대한 학술 논쟁|제노사이드와 ‘사이드’들|폴리티사이드|에쓰노사이드|젠더사이드|‘사이드’들
3. 제노사이드 메커니즘 연구로
구조적 접근과 메커니즘 연구|사회심리적 메커니즘 연구|단계적 메커니즘 연구

제4장 제노사이드 이론의 사회학적 재구성

1. 의도: 제노사이드 행위 의도와 사회적 관계의 사회학
의도에 대한 법적 접근의 한계|제노사이드 행위의 ‘의도’에서 사회적 갈등의 ‘구조’ 이해로
2. 집단: 민간인 사회 집단과 사회학적 접근의 가능성
집단에 대한 법적 접근의 한계|“국민·민족·인종·종교 집단”에서 민간인 사회 집단으로
3. 파괴: 사회적 파괴이자 전쟁의 한 형태
집단의 사회적 파괴|제노사이드와 전쟁 간의 관계

제5장 제노사이드와 한국전쟁 전후 대량 학살

1. 제노사이드 정의와 메커니즘의 재구성
다시, 제노사이드란 무엇인가|제노사이드 메커니즘의 재구성
2. 제노사이드로 구성한 한국전쟁 전후 대량 학살
정부 수립 및 한국전쟁 전후 대량 학살|무장 권력 조직들의 조직화|민간인 사회 집단들의 타자화|파괴와 부정

에필로그
“전시에는 사람을 재판 없이 죽일 수 있다?”|‘뉴라이트 김광동’|진실 규명이 아닌 부역자 심판기관?|제노사이드 범죄로 기소당한 이스라엘|76년 추방, 57년 점령, 17년 봉쇄|제노사이드 범죄에 대한 국가 책임과 가해자 처벌의 가능성

· 주
· 참고문헌
· 찾아보기
Author
강성현
성공회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HK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사회학(사회사, 법사회학, 정치사회학)을 전공했다. 한국과 동아시아의 사상 통제와 전향, 법과 폭력, 전쟁과 학살, 과거 청산, 점령과 군정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 “The Organization and Activities of the US Army Signal Corps Photo Unit”(2014), 「한국전쟁기 예비 검속의 법적 구조와 운용 및 결과」(2014), 「‘아카’(アカ)와 ‘빨갱이’의 탄생」(2013) 등이 있고, 지은 책으로 『식민지 유산, 국가 형성, 한국 민주주의』(전 2권, 공저, 2012)가 있다.
성공회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HK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사회학(사회사, 법사회학, 정치사회학)을 전공했다. 한국과 동아시아의 사상 통제와 전향, 법과 폭력, 전쟁과 학살, 과거 청산, 점령과 군정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 “The Organization and Activities of the US Army Signal Corps Photo Unit”(2014), 「한국전쟁기 예비 검속의 법적 구조와 운용 및 결과」(2014), 「‘아카’(アカ)와 ‘빨갱이’의 탄생」(2013) 등이 있고, 지은 책으로 『식민지 유산, 국가 형성, 한국 민주주의』(전 2권, 공저, 2012)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