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고려 공민왕 때부터 조선 세종 때까지에 해당하는 1368년부터 1449년까지, 명나라 초기 네 명의 황제들의 말과 글을 통해 조-명 외교의 이면을 들여다 본 것이다. 당시는 양국의 왕조가 교체되면서 철령위 설치, 만산군 처리, 만주 여진의 관할 등 굵직한 과제가 산적해 있던 시기다. 해서 후대에 비해 양국 간에 활발하게 사신이 오갔지만 그 이면엔 황제 개인의 기호를 충족하기 위한 압력이 가해지곤 했다. 고려시대사와 전근대 국제관계사를 천착하고 있는 지은이는 말과 글, 전달 통로에 따라 명 황제의 메시지가 어떻게 달라졌는지에 주목해, 명 조정에 있어 외교는 황제의 개인 비즈니스였다는 흥미로운 결론을 끌어낸다.
Contents
책을 내면서
서장
1장 홍무제의 말은 어떻게 고려에 전달되었나
1. 홍무제의 말과 한중관계
2. 조서: 황제 명의의 최고 권위 문서
3. 수조: 황제가 손수 쓴 조서
4. 자문: 황제의 말을 인용한 관문서
5. 선유성지: 황제의 발언록
6. 구선: 구두 메시지
7. 황제의 말을 제도에 가둘 수 있을까?
2장 영락제의 말과 글은 어떻게 달랐을까
1. 영락제 재위 기간의 조선-명 관계
2. 건문·영락 연간 황제의 명령이 전달되는 경로
3. 글로 옮긴 영락제의 말
4. 글로 옮기지 않은 황제의 말
5. 황제의 명령에 응하는 조선의 태도
6. 조선-명 관계의 두 층위
3장 선덕제의 말을 명나라 기록은 어떻게 조작했을까
1. 성군? 아니면 암군?
2. 홍희제의 말과 글
3. 선덕제의 글: 칙서에 담긴 공적인 외교
4. 선덕제의 말: 구두 메시지에 담긴 사적 외교
5. 서울과 북경에 남아있는 정반대의 기록
6. 서울과 북경에서 바라본 선덕제의 두 얼굴
4장 정통제의 등극과 반전
1. 조선-명 관계는 언제 안정되었나?
2. 외교의 전면에 선 황제와 환관들
3. 외교 현장에서 황제의 퇴장
4. 대조선 외교는 황제의 개인 비즈니스
맺음말
주
참고문헌
찾아보기
Author
정동훈
2016년 서울대학교에서 〈고려시대 외교문서 연구〉라는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고려시대사, 전근대 동아시아 국제관계사를 공부하고 있다. 2018년부터 서울교육대학에서 예비 초등교사들에게, 역사가 얼마나 재미있는 학문인지를 전하고자 애쓰고 있다.
2016년 서울대학교에서 〈고려시대 외교문서 연구〉라는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고려시대사, 전근대 동아시아 국제관계사를 공부하고 있다. 2018년부터 서울교육대학에서 예비 초등교사들에게, 역사가 얼마나 재미있는 학문인지를 전하고자 애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