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이 국어가 되기까지

대화로 읽는 국어 만들기의 역사
$23.76
SKU
9791156122470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17 - Thu 05/23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5/14 - Thu 05/16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3/04/19
Pages/Weight/Size 152*224*30mm
ISBN 9791156122470
Categories 인문 > 기호학/언어학
Description
식민 잔재 청산과 한글 위상 강화에서
규범문법 확립과 근대 어문개혁 완결까지
기억과 대화로 엮은 근현대 국어 만들기의 역사
우리말은 어떻게 국어가 되었나


공기처럼 너무나 흔하고 당연해서 존재하는지조차 의식하지 못하는 것들이 있다. ‘국어’도 마찬가지이다. 언제나 곁에 있기에, 늘 읽고 쓰고 듣고 말하기에 ‘우리말이 어떻게 국어가 되었나’라는 근원적 질문은 던지지 않는다. 그러나 지금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국어’가 항상 ‘국어’로 존재했던 것은 아니다. 일제강점기에는 아예 존재 자체를 부정당했고, 해방 후에는 무엇을 ‘국어’로 할 것인지를 두고 치열한 갈등이 벌어졌다.

『우리말이 국어가 되기까지―대화로 읽는 국어 만들기의 역사』는 ‘국어’의 이 같은 파란만장한 역사 탐색이다. 저자들은 일제강점기에 태어나 일본어 교육을 받고 자랐음에도 ‘국어’를 놓지 않고 “우리말과 우리 삶의 문제에 학문적인 해답을 내놓았던 국어학자”(346쪽) 김민수(1926~2018)와의 대담을 통해 근현대 국어학과 국어 정책의 역사를 촘촘히 훑는다. 저자들이 국어학자 김민수와 함께한 여정에는 해방 직후의 식민 잔재 청산과 한글 위상 강화에서 1960~70년대의 규범문법 확립과 근대 어문개혁 완결까지의 상황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그야말로 ‘근현대 국어학의 역사’ 그 자체이다.
Contents
프롤로그_근현대 국어 만들기의 역사를 되짚어보다

I. 일제 말 조선인의 삶과 조선어 그리고 조선어학회
_일제의 조선어 정책과 조선어 학계의 대응


1. 조선인 ‘광김민수光金敏洙’의 학교생활
2. ‘마포국민학교’ 조선인 교원의 수업과 조선인의 언어생활
3. 강원도 홍천의 청년 김윤수와 조선어학회
4. 한 청년의 삶을 바꾼 조선어학회와의 만남
5. 일제강점기 조선어학회의 위상

II. 해방 그리고 ‘국어’가 된 조선어
_해방 직후 국어 회복 운동의 방향성과 갈등 양상


1. 해방 직후의 국어 회복 활동
1-1. 조선어학회의 재건 활동
1-2. 조선어학회의 국어 강습 활동
1-3. 국어 규범 정립 활동
2. 조선어학회 중심의 국어 정책과 갈등 양상
2-1. 해방 직후 국어 정책의 방향
2-2. 한글 전용 정책
2-3. 국어 정화 운동
3. 조선어학회 활동의 역사적 위상과 공헌
4. 분단과 조선어학회의 내적 갈등

III. 대한민국 정부 수립, 국어 정책과 국어학의 새 출발
_국어 정책의 체계화와 국어학계의 재편


1. 정부 수립 이후의 국어 정책
1-1. 대한민국 정부 수립의 의미
1-2. 정부 수립 직후 국어 정책 양상
2. 대학의 설립과 국어국문학과의 개설 과정
2-1. 일제의 대학 제도와 조선어문학 전공자의 육성
2-2. 국어국문학 1세대의 활동과 신세대의 출현
2-3. 제2세대의 국어국문학 전공 이수 과정―해방 이후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상황
3. 신세대가 주도하는 국어국문학 연구회
3-1. 초기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재학생 및 졸업생의 활동
3-2. 서울 각 대학 조선어문학연구회의 조직과 활동

IV. 한국전쟁기, 국어학의 모색
_혼란의 수습과 학풍의 혁신


1. 전쟁의 폐허 속 대학의 정비
1-1. 대학의 혼란과 국어학자의 선택
1-2. 부산 피란 시절의 대학과 국어학
2. 학풍의 혁신과 국어국문학회의 출범
2-1. 국어국문학회의 창립과 학회지 발간 과정
2-2. 국어국문학회의 연구 활동과 성과

V. 《큰사전》의 완간 그리고 국어 정책과 국어학의 전환
_근대적 과제의 완결과 새로운 문제 제기


1. 전후 국어학계의 재건과 국어 정책적 대응 활동
1-1. 환도 후 국어학계의 재건 활동
1-2. ‘한글 간소화’ 파동과 국어학계의 대응
1-3. 로마자 표기법에 대한 의견
2. 국어 규범 사전의 출판
2-1. 한글학회 편 《큰사전》의 완간과 규범 사전 시대의 개막
2-2. 《큰사전》 이후 사전의 출판과 성과
2-3. 한일 국어학자의 교류와 한일사전의 발간
3. 학교문법의 통일과 문법 파동
3-1. 학교문법 통일 문제가 부각된 계기
3-2. 학교문법 통일 논의의 전개 과정과 그 평가
4. 국어 정책과 국어학의 전환 맥락
4-1. 근대적 과제의 완결 후 국어 정책과 국어학의 전개
4-2. 국어 정책 연구 기관의 설립 모색
4-3. 남북 언어 통일을 위한 모색
4-4. 한국어의 세계화를 위한 모색

에필로그

주석
참고문헌
인명 색인
찾아보기
Author
김민수,최경봉,김양진,이상혁,이봉원,오새내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 원광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이다.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 원광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