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하는 학교

시스템사고를 통해 본 학교 복잡계 운영
$41.04
SKU
9791156108122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ue 05/13 - Mon 05/19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hu 05/8 - Mon 05/12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9/12/30
Pages/Weight/Size 152*224*45mm
ISBN 9791156108122
Categories 사회 정치 > 교육
Description
교육자, 부모, 그리고 교육에 관심 있는 모두를 위한
다섯 가지 규율의 현장지침서


이 책은 학습과 학교에 대한 고민을 담았다. 학습은 지극히 개인적인 활동인 동시에 사회적 활동이다. 끊임없이 상호 작용하면서 학습이 일어나고 이 학습을 통해 변화와 성장을 한다. 따라서 변화와 성장이 일어나지 않으면 학습이라고 볼 수 없다. 과연 무엇을 학습하고 어떻게 학습할 것인가. 이 책과 대화하면서 각자 답을 찾아가기 바란다. 학교 담장 너머에서 더 많은 것을 배우는 아이들에게 학교는 어떤 의미인가? 칸 아카데미를 통해 더 체계적으로 배울 수 있고 유튜브를 통해 세상을 배우고 있는 아이들을 위해 학교는 어떻게 바뀌어야 하는가? 알파고와 이세돌이 격돌한 세기의 바둑 경기 덕분에 미래 환경 변화에 관심이 높아졌고 미래를 살아갈 우리 아이들에게 필요한 학습과 학교에 대한 논의는 활발해졌다.

학습 주체는 두 가지다. 하나는 인간이다. 인간은 시스템과 끊임없이 상호작용한다. 따라서 시스템이 인간에게 영향을 주지만 반대로 인간이 시스템에 영향을 줄 수도 있다. 이 때문에 자연스럽게 리더십과 연결될 수 있다. 또 다른 학습의 주체는 시스템 그 자체다. 시스템 구조가 피드백되는 순간 자기 동력(self generating force)이 생겨서 외부로부터 자극이 없어도 스스로 작동한다. 각자가 최선을 다했는데도 결과가 안 나오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원인을 사람으로 돌리는 경우를 쉽게 본다. 하지만 시스템 자체의 동력으로 발생하는 문제라고 인식하는 순간 대처 방법이 달라질 수 있다. “구조가 행태를 만든다(Structure produces behavior).”라는 표현은 시스템다이내믹스에서 중요하게 다루는 시사점 중 하나다. 따라서 구조(시스템)를 이해하려는 노력 없이 최선을 다하는 순간 더 문제가 심해질 수 있다. 학교 현장과 교육계에서 일어나는 일을 이 책 『학습하는 학교』가 다루고 있다.
Contents
시작하기 Getting Started

01 오리엔테이션
1. 기억의 순간
2. 학습하는 학교에 대한 아이디어
3. 조직에서 학습에 대한 핵심 개념
4. 이 책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5. 이 책의 새로운 내용
6. 산업 시대 교육 시스템

02 다섯 가지 규율에 대하여
1. 학습하는 조직을 만들기 위한 환경 조성
2. 개인적 숙련
3. 공유 비전
4. 정신 모델
5. 팀 학습
6. 시스템사고
7. 당신은 온도조절기보다 똑똑한가?

교실 Classroom

03 교실 문 열기
1. 학습하는 교실 만들기
2. 학습하는 교실을 설계하기
3. “허용적이고 안전해야 하며 배우고 싶은 것”

04 학습자 살펴보기
1. 아이의 존엄성
2. 학습자 드러내기
3. 불합리를 극복하기
4. 우리는 함께 춤을 춘다
5. 당신은 어떤 신호를 보내는가?

05 실 천
1. 구조적 긴장 가르치기
2. 학급을 위한 비전 공유 과정
3. 숙제: 야수
4. 학습으로서의 평가
5. 평가와 책무성
6. 지성적인 행동
7. 지식과 힘

06 생산적 대화
1. 체크-인
2. 첫 수업
3. 학부모-교사 간 협의회 구성하기
4. “피자를 먹지 마…”

07 교실에서의 시스템사고
1. Long-Term에 관한 시스템 연구
2. 교실에서 시스템사고를 실천하기 위한 안내
3. 맥락과 참여
4. 위험과 기술
5. 점을 연결하는 것을 배우기

학교 School

08 학교로 들어가기
1. 학습하는 학교 만들기
2. 윤리적 노력으로서의 학교 교육

09 학교 비전
1. 학교를 위한 공유 비전
2. 교육 리더십을 새롭게 하기

10 현 실
1. 예정된 불확실성
2. 1만 9천 달러짜리 질문
3. 빈익빈 부익부
4. 부담 떠넘기기
5. 고등학교에서의 거대한 게임
6. 청소년 리더십 포럼

11 개 발
1. 일방적인 교직원 개발을 더 이상 하지 않기
2. 인지 연구 그룹
3. 가르치는 것을 학습하기

12 리더십
1. 통제하지 않고 리드하기
2. 동료 파트너
3. ‘외로운 늑대’에서 학습자 이끌기로: 한 교육장의 여정
4. 학생을 포기하지 마라
5. 중심 학습 그룹 만들기
6. “그러면 안 돼!”

지역사회 Community

13 지역사회 속으로 들어가기
1. 학습하는 지역사회 육성하기

14 정체성
1. 지역사회 연결과 관련된 유량 살펴보기
2. 억압을 벗어날 수 있는 첫 걸음은 표현하는 것이다
3. 대화를 통해 시민권을 되찾다
4. 비전을 나누기, 그것도 전국적으로

15 연 결
1. 학부모에서 학부모로
2. 오버 더 라인 주거 프로그램
3. “시스템 농구 감독”이라는 것
4. 사업-교육 동반자 관계 개선하기

16 지속가능성
1. 레인메이커스(rainmakers)
2. 대중 참여
3. 비전의 확대, 포지션의 축소
4. 마을을 발전시키려면 어린아이를 가르쳐야 한다
5. 공유지의 비극
6. 리더로서의 아이들
7. 당신의 조직이 학습하고 있다는 것을 어떻게 아는가?
8. 시스템 시민

17 맺는 말
1. 감사의 글
2. 저자에 대해
Author
피터 센게,넬다 캠브론-맥카베,한국복잡성교육연구회
2008년 「월스트리트저널」에서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경영 구루 20인’으로 선정되었고, 「패스트컴퍼니」는 2009년 ‘비즈니스에서 가장 창의적인 인물 35위’로 뽑힌 비즈니스 전략가이다.「저널어브비즈니스스트레티지Journal of Business Strategy」에서도 ‘지난 100년간 경영 전략에 가장 영향력을 끼친 24인’으로 추천되었다. 「파이낸셜타임스」는 피터 센게의 『제5경영』을 ‘가장 훌륭한 다섯 권의 경제 서적’으로 뽑으며 극찬했고, 「하버드비즈니스리뷰」는 ‘지난 75년 동안 출간된 경영 서적 중 가장 독창적인 경영 서적’으로 선정했으며, 「보스턴글로브」는 ‘경영의 고전’으로 추천했다. 그는 MIT 슬론경영대학원 교수이자 조직학습학회Society for Organization, SoL 창립 회장이며, 『학습조직의 5가지 수련The Fifth Discipline Fieldbook』,『배우는 학교Schools that Learn』,『미래, 살아있는 시스템Presence』 등 수많은 베스트셀러를 저술하였다.
2008년 「월스트리트저널」에서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경영 구루 20인’으로 선정되었고, 「패스트컴퍼니」는 2009년 ‘비즈니스에서 가장 창의적인 인물 35위’로 뽑힌 비즈니스 전략가이다.「저널어브비즈니스스트레티지Journal of Business Strategy」에서도 ‘지난 100년간 경영 전략에 가장 영향력을 끼친 24인’으로 추천되었다. 「파이낸셜타임스」는 피터 센게의 『제5경영』을 ‘가장 훌륭한 다섯 권의 경제 서적’으로 뽑으며 극찬했고, 「하버드비즈니스리뷰」는 ‘지난 75년 동안 출간된 경영 서적 중 가장 독창적인 경영 서적’으로 선정했으며, 「보스턴글로브」는 ‘경영의 고전’으로 추천했다. 그는 MIT 슬론경영대학원 교수이자 조직학습학회Society for Organization, SoL 창립 회장이며, 『학습조직의 5가지 수련The Fifth Discipline Fieldbook』,『배우는 학교Schools that Learn』,『미래, 살아있는 시스템Presence』 등 수많은 베스트셀러를 저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