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란[요]은 916년에 야율아보기(耶律阿保機)가 건국하여 1125년까지 존속했던, 중국 북방의 유목 민족인 거란족이 세운 왕조이다. 발해(渤海)를 멸망시키고, 후진後晉의 건국을 도운 대가로 연운(燕雲) 16주를 획득한 후 발해 및 북중국의 문화를 적극 수용하며 성장해나갔다.
거란에서는 황제 주도하에 대장경을 새롭게 판각하였고, 불교 교학에 밝은 고승들이 많았다. 절과 탑의 조성이 이어졌고, 일반인들도 보살계를 수지하는 등 전 계층에 걸쳐 불교가 성행하였다. 근래 발굴된 거란 고분(古墳)의 벽화와 유물들을 통해 거란인들이 화려한 불교문화를 영위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거란의 불교사 및 불교문화에 대한 이해는 고려의 역사·문화를 연구하는 데 반드시 필요하다. 10~12세기의 고려는 송과 거란 사이에서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는 줄타기 외교를 펼쳤다. 이 과정에서 고려와 거란은 사신 왕래를 통해 대장경을 비롯하여 불교 서적 및 문화의 교류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2000년대에 들어와서야 양국의 문물 및 사상 교류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었지만 아직까지 불교문화의 교류에 대한 연구 성과는 그리 많지 않은 편이다. 또 국내에 거란 관련 자료나 외국에서의 연구가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상황이다.
『거란 불교사 연구』는 저자 후지와라 타카토(藤原崇人)의 박사학위 논문을 단행본으로 발간한 것이다. 저자는 문헌 자료 외에도 근래 중국에서 발견된 유물 및 전적(典籍) 자료들을 활용하여 거란 불교의 특징과 성격을 일목요연하게 설명하고 있다. 거란에서 불교가 가장 왕성했던 성종에서 도종에 이르기까지 거란 정권과 불교의 관계를 상세하게 서술하였다. 특히 계절별로 거주지를 옮기며 유영하는 유목 전통인 ‘날발(捺鉢)’이 거란 불교문화에 미친 영향에 대한 설명이 매우 흥미롭다.
나아가 보살계신앙, 밀교신앙 등 거란에서 성행한 불교신앙의 모습을 탐구하였다. 결론적으로 저자는 거란의 불교문화가 동북아시아에 군림하는 불교 대국임을 자부하던 거란 정권의 자신감이 형상화된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물론 이 책에서 고려와 거란의 불교 교류를 본격적으로 다루고 있지는 않지만 앞으로 고려와 거란의 불교 교류사, 나아가 아시아의 불교 교류를 이해하는 데에도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Contents
서 론
I. 문제의 소재
II. 연구사
III. 연구의 시각과 방법
IV. 구 성
제1장 거란 황제·황후의 숭불의 장:흥종대 경주의 위상
머리말
I. 경주백탑 발견 문자 사료
II. 경주 승록사의 존재
III. 거란 승관의 설치 장소와 그 기준
IV. 경주백탑 건립과 장성황태후
(1) 백탑 건립 사업으로 보는 경주와 흥종 지골 정권
(2) 흥종기 장성황태후의 지위
V. 경주 승록사 설치의 배경
(1) 성종 추선의 장으로서의 경주
(2) 날발 거점으로서의 경주
맺음말
제2장 거란 황제와 학승:도종조의 학승 선연과 그의 저작을 중심으로
머리말
I. 「선연묘비」에 대해
II. 선연과 그의 주변
III. 학승과 날발
IV. 선연의 저작과 고려 의천
맺음말
제3장 거란 황제와 보살계:보살황제로서의 도종
머리말
I. 거란 후기의 보살계 인식
II. 내전참회주
(1) 내전참회주로 임용된 승
(2) 내전참회주의 창설 의도와 그 위상
III. 어제 『발보리심계본』
IV. 내전에서의 전계의 의의
맺음말
제4장 거란의 수계의와 불공계 밀교
머리말
I. 거란의 수계의
(1) 운거사 지선 기 『발보리심계일본』(지선본)
(2) 지선본과 『발보리심계본』
(3) 불궁사목탑 발견 『수계발원문』(불궁사본)
II. 지선본?불궁사본과 불공 역 『수보리심계의』
맺음말
제5장 거란 불탑에 보이는 밀교적 양상:조양북탑 발견 문물을 중심으로
머리말
I. 북탑의 개요
II. 중희 연간의 북탑 수리?복원과 인수사리탑
(1) 북탑 수리·복원의 체제
(2) 북탑에 대한 패주 관민의 인식
III. 지궁 봉납 석경당과 자현 번역 다라니
(1) 지궁 봉납 석경당의 개요
(2) 석경당의 자현 번역 다라니
IV. 지궁 봉납 석경당의 당좌 부조
맺음말
제6장 입체만다라로서의 거란 불탑
머리말
I. 중경대탑의 개요
II. 중경대탑 1층 벽면의 존상
(1) 주존좌상
(2) 협시입상
III. 거란의 과거7불과 8대보살만다라
IV. 중경대탑 1층 벽면이 이야기하는 것:맺음말을 대신하여
결 론
Author
후지와라 타카토,김영미,박광연,김수연,박영은
1973 오사카 출생. 2012 간사이(關西)대학 문학박사. 현재 교토에 있는 류코쿠(龍谷)대학 문학부 준교수(准?授)로 재직 중이다. 중국 및 북아시아 불교사를 연구하고 있으며, 최근 저서로는 『金·女?の?史とユ?ラシア東方』(공편저, 勉誠出版, 2019년 5월) 등이 있다.
1973 오사카 출생. 2012 간사이(關西)대학 문학박사. 현재 교토에 있는 류코쿠(龍谷)대학 문학부 준교수(准?授)로 재직 중이다. 중국 및 북아시아 불교사를 연구하고 있으며, 최근 저서로는 『金·女?の?史とユ?ラシア東方』(공편저, 勉誠出版, 2019년 5월)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