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한복판에 미군기지가 들어서 있는 특수한 상황의 지자체를 이끌어 가는 용산구청장, 단군 이래 최대 개발 지역으로 손꼽히는 핫플레이스인 용산구의 수장, 이태원 경리단길 등 21세기 다문화를 대표하는 랜드마크가 수두룩한 지역의 문화적 포용정책의 선도자. 이렇듯 용산구청장 성장현을 설명할 수 있는 단어는 다양하지만, 그중 성장현 본인이 생각하는 그의 구정(區政) 핵심은 바로 ‘밥’이다. 전라도 순천에서 홀홀단신 상경해 밥벌이를 해야 했던 본인의 고난과, 용산구의 발전이 용산구민의 ‘밥’으로, ‘복지’로 돌아갈 수 있도록 상생하는 행정을 위한 그의 여정이 이 한 권의 책에 고스란히 녹아들어 있다.
Contents
들어가는 글 · 4
추천사 · 8 제1장
기본 바로 세우기
미래를 세우다 · 24
용산공원, 구민 뜻대로 · 29
용산공원, 아는 만큼 보인다· 34
온전한 용산공원을 위한 7가지 제언 · 41
미군도 지킬 건 지켜야 한다· 48
숨은 재산 찾기와 제주 유스호스텔 · 53
진실하면 다 통한다 · 59
구민 갈등 해결사 · 65
청렴은 공직자의 생명이자 무기· 70
제2장
교육이 미래다
강북 교육 1번지 · 76
일반고가 뭉쳤다 · 80
개천에서 龍 나는 용산구 · 86
창의교육, 독서로 시작한다· 92
줄탁동시(?啄同時) · 99
사교육비 줄이는 법 · 106
용산을 세계적인 교육도시로 · 111
행복을 보장하는 평생학습· 115
제3장
복지로 통하다
최고의 복지는 일자리 · 122
대한민국을 지켜야 한다 · 130
고령사회에 맞서는 법 · 136
치매 국가책임제, 키를 잡다 · 143
우먼 파워를 결집시켜라· 150
대세는 다문화 · 156
장애는 장애가 아니다 · 163
용산복지재단에 희망을 싣다 · 169
결국, 시민 · 174
제4장
역사와 문화는 용산의 힘
용산 약사(略史) - ①· 180
용산 약사(略史) - ② · 187
용산 약사(略史) - ③ · 193
나의 용산 문화유산 답사기 - ① · 198
나의 용산 문화유산 답사기 - ②· 207
나의 용산 문화유산 답사기 - ③ · 215
역사 바로 세우기 · 222
남은 숙제들· 229
제5장
지역 가치는 이렇게 만든다
개발시대 · 238
단군 이래 최대 개발사업? · 243
한강로 100만 평 개발계획· 249
아! 아파트 · 255
해방촌 도시재생을 묻다· 262
21세기 청년산업의 메카 · 269
이태원을 새롭게 · 275
발상의 전환이 용산가족을 웃게 만든다 · 281
1955년 전남 순천에서 태어났다. 군 제대 후 밥을 벌기 위해 무작정 상경, 도착한 곳이 용산이다. 보광동에 학원을 차렸고, 결혼을 했고, 두 아들을 낳았다. 아들들이 또 용산에서 아들과 딸을 낳고, 그렇게 용산은 제2의 고향이 됐다. 정치로 밥벌이를 시작한 것은 1991년 초대 용산구의원으로 당선되면서부터다. 1, 2대 구의원에 이어 1998년 서울시 최연소로 구청장에 당선됐으며, 2010년 다시 이 자리에 돌아왔다. 이후 내리 3선을 하며 용산구 최초로 4선 구청장 타이틀을 달았다. 「한미주둔군지위협정(SOFA)의 정책의제 형성에 관한 연구」로 행정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저서로는 『봄을 이기는 겨울은 없다』, 『광야에서 부르는 노래』가 있다.
現) 용산구청장
現) 서울시구청장협의회장
現) 전국시장군수구청장협의회장
1955년 전남 순천에서 태어났다. 군 제대 후 밥을 벌기 위해 무작정 상경, 도착한 곳이 용산이다. 보광동에 학원을 차렸고, 결혼을 했고, 두 아들을 낳았다. 아들들이 또 용산에서 아들과 딸을 낳고, 그렇게 용산은 제2의 고향이 됐다. 정치로 밥벌이를 시작한 것은 1991년 초대 용산구의원으로 당선되면서부터다. 1, 2대 구의원에 이어 1998년 서울시 최연소로 구청장에 당선됐으며, 2010년 다시 이 자리에 돌아왔다. 이후 내리 3선을 하며 용산구 최초로 4선 구청장 타이틀을 달았다. 「한미주둔군지위협정(SOFA)의 정책의제 형성에 관한 연구」로 행정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저서로는 『봄을 이기는 겨울은 없다』, 『광야에서 부르는 노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