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생산 저장 액화 충전 수소연료전지 선박

$115.00
SKU
9791155764459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12/6 - Thu 12/12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12/3 - Thu 12/5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4/02/10
Pages/Weight/Size 200*260*40mm
ISBN 9791155764459
Categories 대학교재 > 공학계열
Description
지구 온난화를 해결하기 위한 핵심 에너지로서 수소가 부각되고 있다. 국제에너지기구인 IEA는 2050년에 탄소배출을 제로화하는 계획인 ’2050 Net Zero 로드맵‘을 발표하였다. 수소에너지가 2050년 세계 에너지 수요의 13%, 운송 분야에서 연료 소비량의 60%까지 수소가 담당해야 하며 수소 활용이 매우 중요하다고 밝혔다. 자동차, 버스, 트럭, 열차 및 선박 등에서 수소 연료 사용이 확대될 전망이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서 수소에 대한 산업?경제시스템을 구축하려는 시도가 유럽을 중심으로 활발히 추진 중이다. 전력산업, 운송산업, 철강·화학·기계산업 및 기타 산업에 필요한 청정에너지 수요에 수소 공급을 확대시키고, 수소를 친환경적으로 생산, 저장, 운송 및 충전시키는 각종 산업 및 경제시스템이 미래 유망산업으로 대두되고 있다.

저자는 부산대 수소선박기술센터의 친환경 수소연료선박 R&D 플랫폼 구축사업과 해양 부유쓰레기 수거·처리용 친환경선박 건조·실증사업에 산학협력초빙교수로 과제 기획과 실행에 참여하였다. 이러한 국책과제들을 추진하면서 수소의 생산, 저장, 액화, 충전 및 수소연료전지선박 등에 관련된 실무 지식과 기술 학습이 필요하였으며 각종 기술 논문들을 찾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아쉽게도 산업 현장에서 실무적으로 필요한 내용을 정리하여 제시하고 있는 것은 많지 않았다. 본 책의 내용에 대한 저서의 필요성을 절감하였으며, 수소선박기술센터를 그만두면서 저술을 시작할 기회를 얻었다.

본 책을 저술하면서 중점을 두고 작성한 기본 원칙은 산업 기술자에게 필요한 기본 개념과 원리를 설명하고 각 분야별 문헌과 연구 논문들 중에서 실무적 활용에 도움이 되는 지식과 기술들을 적절하게 추출하고 정리하여 이 분야에 대한 입문서를 만드는 것이다. 수소 가치사슬 분야인 수소생산, 고압저장, 액화수소생산, 액화수소저장, 고압·액화수소 충전, 연료전지시스템, FC-ESS 하이브리드 시스템 및 수소연료전지선박에 관련된 중요 기술들을 책 한 권에 담아내고자 노력하였다.
Contents
Chapter 1. 수소생산시스템
1.1 수소의 특성
1.1.1 수소의 물리적?화학적 특성
1.1.2 수소의 에너지 보유량
1.1.3 수소 취성(Embrittlement)
1.1.4 수소 누출
1.1.5 액화수소(Liquid Hydrogen)
1.1.6 가연성
1.1.7 가연성 희석재(Diluents) 및 억제재(Inhibitors)
1.2 수소 생산의 방식과 종류 및 청정에너지 분류
1.2.1 수소 생산의 방식과 종류
1.2.2 수소 생산 방식에 따른 청정에너지 분류
1.3 천연가스 수증기 개질(Steam Reforming)
1.3.1 사전 불순물 제거 공정 및 사전 수증기 개질 공정
1.3.2 수증기 개질(Steam Reforming) 공정
1.3.3 수성가스 전환?합성가스 열교환 냉각 공정?CO₂ 포집 공정
1.3.4 수소 정제 공정(PSA, Pressure Swing Adsorption)
1.4 석탄 가스화(Coal Gasification)
1.4.1 미분탄 가공?건조 공정?산소 분리 공정
1.4.2 석탄 가스화 반응기?냉각 공정
1.4.3 수성가스 전환 공정?합성가스 열교환 냉각 공정?불순물 제거 공정?CO₂ 분리?포집 공정
1.5 천연가스 수증기 개질?석탄 가스화의 탄소 포집?저장?재활용 시스템
1.5.1 탄소 포집(Carbon Capture) 방식의 종류
1.5.2 MEA(Mono-Ethanol Amine) 방식 탄소 포집 시스템
1.5.3 탄소 압축?제습 공정
1.5.4 탄소 운송
1.5.5 탄소 영구 저장
1.5.6 탄소 재활용
1.5.7 탄소 저장?재활용 프로젝트 현황
1.6 물 전기분해(Water Electrolysis)
1.6.1 알칼라인(Alkaline) 방식
1.6.2 PEM(Proton Exchange Membrane, 고분자 전해질막) 방식
1.6.3 SOEC(Solid Oxide Electrolysis Cell, 고체 산화물) 방식
1.6.4 물 전기분해 방식별 장단점
1.6.5 태양광 및 풍력 발전 등 신재생에너지와 연계한 그린수소 생산시스템
1.7 원자력
1.7.1 SI(Sulfur-Iodine) 방식
1.7.2 HyS(Hybrid-Sulphur 또는 황-전기분해 Hybrid) 방식
1.7.3 SOEC 방식
1.8 수소 생산 방식별 생산?저장?유통 원가 현황 및 2030년 예측
1.8.1 수소 생산 방식별 탄소 배출 및 생산원가 현황
1.8.2 수소 생산 원가의 경제성 확보 수준 분석
1.8.3 수소 생산 방식별 생산 원가 목표 및 2030년 예측
1.8.4 수소 저장?유통 비용 현황
1.8.5 수소 생산?저장?유통 원가 2030년 예측
Chapter 1. 참고문헌 및 표·그림 인용문헌


Chapter 2. 수소저장시스템의 종류 및 특성
2.1 수소에너지 저장 특성
2.1.1 수소 LHV 및 HHV
2.1.2 수소 에너지 보유량
2.2 수소저장시스템 성능 및 제조 원가 목표
2.2.1 수소저장시스템 기술 과제
2.2.2 수소저장시스템 성능 및 제조 원가 목표
2.3 수소저장시스템의 종류 및 특성
2.3.1 고압저장 방식
2.3.2 액화저장 방식
2.3.3 수소저장물질 저장 방식
2.3.4 금속수소화물 저장 방식
2.3.5 화학적 물질 저장 방식
2.3.6 흡착제 물질 저장 방식 : 금속유기골격체(MOFs, Metal Organic Frameworks)
2.4 수소저장시스템별 용량?성능?제조 원가?장단점 비교
2.4.1 수소저장시스템별 용량?성능?제조 원가 비교
2.4.2 수소저장시스템별 상용화 추진 현황
2.4.3 수소저장시스템별 장단점 비교
Chapter 2. 참고문헌 및 표·그림 인용문헌


Chapter 3. 고압수소 저장시스템
3.1 수소 압축 특성 및 고압수소저장시스템의 개념
3.1.1 수소 압축 특성
3.1.2 고압수소저장시스템 구성?충전 및 공급 프로세스 개념도
3.2 고압수소저장탱크의 종류 및 특성
3.2.1 고압수소저장탱크의 종류
3.2.2 고압수소저장탱크의 용도 및 특성
3.3 고압수소저장시스템 구성 장치의 종류 및 계통도
3.3.1 솔레노이드밸브(Solenoid Valve)
3.3.2 레귤레이터(Regulator, 압력조절장치)
3.3.3 온도감응식 압력배출장치(TPRD, Thermally Activate Pressure Relief Device)
3.3.4 과류방지밸브(EFV, Excess Flow Valve)
3.3.5 차단밸브(Shut-Off Valve)
3.3.6 체크밸브(Check Valve)
3.3.7 기타 장치
3.3.8 탱크 연결 밸브 패키지
3.3.9 자동차 고압수소저장시스템 계통도
3.4 고압수소저장시스템의 제조 원가 및 품질사고 분석
3.4.1 고압수소저장시스템 제조 원가 분석
3.4.2 고압수소저장시스템 품질사고 분석
3.5 고압수소저장시스템의 인증
3.5.1 국내 및 해외 인증 규정
3.5.2 국내 인증 법령 상세 내용
Chapter 3. 참고문헌 및 표·그림 인용문헌


Chapter 4. TYPE Ⅲ?Ⅳ 복합재 탱크 설계 제조?인증
4.1 TYPE Ⅲ?Ⅳ 복합재 탱크 설계
4.1.1 TYPE Ⅲ?Ⅳ 복합재 탱크 구성 품목
4.1.2 TYPE Ⅲ?Ⅳ 복합재 탱크 설계 프로세스
4.1.3 복합재 탱크 부피?중량 계산
4.1.4 복합재 탱크 강도?두께 계산
4.1.5 넷팅(Netting) 해석 및 복합재 탱크 와인딩(Winding) 설계
4.1.6 복합재 탱크 유한요소해석 모델링
4.1.7 복합재 탱크 파열 기준 이론(Failure Criteria Theory)
4.1.8 복합재 탱크 와인딩 상세 설계
4.1.9 복합재 탱크 와인딩 궤적(Winding Trajectory) 최적화
4.1.10 복합재 탱크 돔 보강 설계
4.1.11 복합재 탱크 유한요소해석
4.2 TYPE Ⅲ?Ⅳ 복합재 탱크 제조 공정
4.2.1 탄소섬유(Carbon Fiber)
4.2.2 수지(Resin)
4.2.3 필라멘트 와인딩(Filament Winding) 제조 공정
4.2.4 복합재 탱크 제조 공정
4.3 TYPE Ⅲ?Ⅳ 복합재 탱크의 국내 인증
4.3.1 해외 규격 인정
4.3.2 제조 기술 기준
4.3.3 설계 단계 검사
4.3.4 생산 단계 검사
Chapter 4. 참고문헌 및 표·그림 인용문헌


Chapter 5. 액화수소생산시스템
5.1 액화수소생산시스템 공정 기술
5.1.1 올소(Ortho)수소의 파라(Para)수소 변환 기술
5.1.2 린데-햄프톤(Linde-Hampton) 사이클
5.1.3 클로드(Claude) 사이클
5.1.4 콜린스(Collins) 사이클
5.1.5 헬륨-브레이튼(Helium-Brayton) 사이클
5.1.6 올소-파라수소 변환기(Ortho-Para Hydrogen Conversion Reactors)
5.2 액화수소생산플랜트 개발 및 기술 개발 방향
5.2.1 유럽 IDEALHY 대용량 액화수소생산플랜트 개발
5.2.2 LNG 냉열 활용 액화수소생산플랜트 개발 사례
5.2.3 소용량 액화수소생산공정 기술 개발
5.2.4 액화수소생산공정 기술 개발 방향
5.3 액화수소생산플랜트 구성 장치의 종류 및 특성
5.3.1 터보팽창기(Turbo Expander) 특성 및 설계
5.3.2 터보압축기(Turbo-Compressor)
5.3.3 플레이트핀 열교환기(Plate Fin Heat Exchanger) 특성 및 설계
5.3.4 콜드 박스(Cold Box)
Chapter 5. 참고문헌 및 표·그림 인용문헌

Chapter 6. 액화수소저장시스템
6.1 액화수소저장시스템 구성 장치의 종류 및 특성
6.1.1 액화수소저장시스템 구성 장치 및 계통도
6.1.2 압력배출밸브?파열 디스크 등 수소 배출 장치 및 환기 장치
6.1.3 진공 펌프(Vacuum Pump)
6.1.4 이중 구조 진공 단열(Double Wall Vacuum Insulation) 배관시스템
6.2 액화수소저장탱크 구조 재료의 종류 및 특성
6.2.1 스테인리스강(Stainless Steels)
6.2.2 알루미늄 합금강(Aluminum Alloys)
6.2.3 티타늄 합금강(Titanium Alloys)
6.2.4 탄소섬유 복합재(CFRP,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s)
6.2.5 구조 재료 열전도율 비교
6.3 액화수소저장탱크 단열시스템
6.3.1 탱크 내부 기화 현상 및 온도 상승
6.3.2 이중 구조 진공 단열(Double Wall Vacuum Insulation) 시스템
6.3.3 기화 가스 냉열 차폐(VCS, Vapor Cooled Shield) 시스템
6.3.4 IRAS(Integrated Refrigeration and Storage) 시스템
6.4 극저온 단열재의 종류 및 특성
6.4.1 단열 성능 주요 지표
6.4.2 폴리우레탄폼(Polyurethane Foams)
6.4.3 팽창 펄라이트(Expanded Perlite) 및 글라스 버블(Glass Bubble)
6.4.4 에어로젤(Aerogel)
6.4.5 MLI(Multilayer Insulation, 다층 단열재)
6.4.6 LCI(Layered Composite Insulation)
6.4.7 IMLI(Integrated Multilayer Insulation)?LRMLI(Load Responsive Multilayer Insulation)
6.4.8 NICS(Non-Interlayer Contact Spacer) 및 LB(Load Bearing)-NICS MLI
6.4.9 극저온 단열재의 단열 성능 종합 비교
6.5 액화수소저장탱크의 복합 단열시스템
6.5.1 MLI+VCS 결합 단열시스템
6.5.2 SOFI+MLI+VCS 복합 단열시스템
6.6 액화수소저장탱크의 설계 및 개발 사례
6.6.1 탱크 응력?두께 계산 및 ASME 계산식
6.6.2 MLI 열전달 계산식
6.6.3 MLI 열전달 모델 : 매킨토시(Mcintosh)?수정 록히드(Modified Lockheed) 모델
6.6.4 MLI 레이어 밀도 및 레이어 수의 최적화
6.6.5 초저온장치 단열재 설계 사례
6.6.6 미국 나사의 극저온 단열시스템 5가지 설계 사례
6.6.7 항공기 액화수소저장탱크 개념 설계 사례
6.7 액화수소저장시스템 관련 국제 표준
6.7.1 액화수소 관련 ISO 표준
6.7.2 극저온 관련 ISO 표준
6.7.3 국가별 표준 및 코드 현황
Chapter 6. 참고문헌 및 표·그림 인용문헌


Chapter 7. 수소충전시스템
7.1 고압수소충전시스템
7.1.1 고압수소충전시스템의 운전 조건?레이아웃?충전 프로세스
7.1.2 고압수소충전시스템의 계통도?구성장치?안전시스템
7.1.3 이동식 고압수소충전시스템의 계통도?구성장치?안전시스템
7.1.4 고압수소 충전 프로토콜 SAE J2601
7.1.5 압축기(Compressor)
7.1.6 사전 냉각시스템(Pre-Cooling System)
7.1.7 디스펜서(Dispenser)
7.2 액화수소 기반 고압수소충전시스템
7.2.1 트레일러를 통한 액화수소의 공급
7.2.2 액화수소 기반 고압수소충전소 계통도?구성장치?안전시스템
7.2.3 이동식 액화수소 기반 고압수소충전소의 개념 설계 개발 사례
7.2.4 극저온 압력 펌프(Cryogenic Pressure Pump)
7.3 액화수소충전시스템
7.3.1 액화수소충전시스템 계통도
7.3.2 과냉각 액화수소 충전(Subcooled Liquid Hydrogen Fuelling) 프로세스
7.3.3 액화수소 충전 디스펜서 및 노즐
7.4 고압?액화수소충전소의 충전 비용 분석
7.4.1 고압?액화수소충전소의 건설 투자비
7.4.2 수소충전소 충전 비용 분석
7.5 수소충전소 사고?폭발 위험 평가
7.5.1 수소 제트 화염(Jet Flame) 특성
7.5.2 수소관련 주요 사고 분석
7.5.3 수소충전소 위험 평가(Risk Assessment) 방법
7.5.4 수소충전소 안전 이격 거리(Safety Separation Distances) 분석
7.5.5 수소충전소 위험 평가 연구 사례
7.6 수소충전시스템 관련 국내 및 해외 표준
7.6.1 ISO?IEC 국제 표준
7.6.2 CEN(EN)?EIGA(IGC) 유럽 표준
7.6.3 미국 CGA 표준
7.6.4 미국 NFPA?SAE?ASME 표준
7.6.5 캐나다 CSA 표준
7.6.6 우리나라 규정 및 KGS 표준
Chapter 7. 참고문헌 및 표·그림 인용문헌


Chapter 8. 수소연료전지선박
8.1 수소연료전지선박 개요 및 제약 조건
8.1.1 수소연료전지선박 개요
8.1.2 FC-ESS 하이브리드 전기추진시스템 개요
8.1.3 수소연료전지선박의 제약 조건
8.2 수소연료전지선박 개발 사례
8.2.1 FellowSHIP 프로젝트
8.2.2 Nemo H2 프로젝트
8.2.3 ZEMSHIP(Zero Emission Ship) 프로젝트
8.2.4 MF Hydra 프로젝트
8.2.5 Water-Go-Round 프로젝트
8.2.6 Kawasaki 액화수소운반선
8.3 연료전지 이론적 특성 및 종류
8.3.1 연료전지 작동 원리 및 전류 발생 특성
8.3.2 연료전지 성능과 효율
8.3.3 연료전지의 종류 및 특성
8.4 연료전지 종류별 선박 적용 방향
8.4.1 세계 연료전지 종류별 시장 점유율
8.4.2 연료전지 종류별 선박 적용 방향
8.5 PEMFC 시스템
8.5.1 PEMFC 시스템 구성 장치 종류 및 특성
8.5.2 PEMFC 스택
8.5.3 PEMFC 운전시스템(BOP)
8.5.4 PEMFC 시스템 사양 및 성능 비교
8.5.5 PEMFC 시스템 제조 원가 분석(전력변환장치 제외)
8.6 SOFC 시스템
8.6.1 SOFC 시스템 구성 장치 종류 및 특성
8.6.2 SOFC 스택
8.6.3 SOFC 운전시스템(BOP)
8.6.4 SOFC 최적 운전 조건과 SOFC 하이브리드 시스템 개발 사례
8.6.5 미국 에너지부 SOFC 열병합발전시스템 총원가 분석
8.7 선박 FC-ESS 하이브리드 시스템
8.7.1 에너지저장시스템(ESS)
8.7.2 선박 FC-ESS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전력 계통 종류 및 특성
8.7.3 선박 FC-ESS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에너지관리시스템(EMS)
8.7.4 선박 FC-ESS 하이브리드시스템 개발 사례
8.8 수소연료전지선박과 디젤?LNG 연료 선박의 수명주기 총원가 분석
8.8.1 미국 아르곤 국립연구소의 수명주기 총원가 분석
8.8.2 노르웨이 고속 여객선의 수명주기 총원가 분석
8.9 수소연료전지선박 기본 설계 개발 사례
8.9.1 미국 샌디아 국립 연구소 SRV 프로젝트
8.9.2 미국 샌디아 국립 연구소 ZERO-V 프로젝트
8.10 수소연료전지선박 관련 국제표준
8.10.1 IMO 연료전지시스템 설치 잠정 가이드 라인(2020) 주요 내용
8.10.2 국제 선급협회 표준
8.10.3 ISO?IEC?NFPA?SAE?IEE?UL 국제 표준
8.10.4 우리나라 규정 및 표준
Chapter 8. 참고문헌 및 표·그림 인용문헌

찾아보기
Author
김병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