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는 해양국가로서 섬이 3,358개소이며, 이중 사람이 살고 있는 섬이 482개소가 됩니다. 주변국들을 보더라도 국토영역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미래 자원 보고로서 해양과 섬에 대한 가치가 재조명되고 있습니다. 2000년대 들어와서는 섬지역에 대한 정책이 생활환경 개선의 수준이 아니라 주민의 여가.문화, 그리고 관광 측면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였습니다.
최근 들어 관광선호가 다양해지고 육지에서 벗어나 섬을 찾는 사람들이 증가하면서 각 부처는 물론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 다양한 정책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문화체육관광부도 예외가 아니어서 2007년에서 2012년까지부터 ‘가고 싶은 섬’시범사업을 실시하였으며 ‘국토끝섬 관광자원화 사업’을 추진한 바 있습니다. 이와 같이 섬 지역을 대상으로 한 관광정책의 필요성은 높아지고 있으나 전통적으로 섬지역에 대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는 안전행정부나 해양수산부 등의 정책만 가지고는 섬이 지닌 국토자원으로서의 매력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고 생각됩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섬 관광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한 정책을 개발하고 문화체육관광부가 어떤 역할을 해야 할 지, 안전행정부, 해양수산부 등 관계부처와 어떻게 협력적으로 정책을 추진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일지에대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합니다.
Contents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3
1. 연구 배경 3
2. 연구 목적 4
제2절 연구 범위 및 방법 5
1. 연구 범위 5
2. 연구 구성 및 방법 5
제3절 연구의 한계 및 기대효과 8
1. 연구 한계 8
2. 연구 기대 효과 8
제2장 섬 관광 의미 및 중요성
제1절 섬의 특성과 섬 관광 11
제2절 섬 관광의 중요성 21
1. 섬의 의미 및 역할 21
2. 섬 관광의 중요성 25
3. 섬 방문 동기 27
제3절 섬 관광 유형화 30
1. 섬의 유형 30
2. 섬 관광 유형화 32
3. 관광의 발전과 섬 관광 35
제3장 섬 관광 실태 분석
제1절 섬 현황 및 섬 관광 실태 39
1. 국내 섬 현황 39
2. 섬 방문객 현황 및 전망 42
3. 섬 관광 관련 법규 현황 49
제2절 국내 섬 관광 정책 현황 55
1. 정부의 섬 관광 정책 추진현황 55
2. 해양수산부의 어촌관광 정책추진 현황 66
3. 지방자치단체의 섬 관광 정책 추진 현황 78
4. 국내 섬 관광 개발 사례 84
5. 시사점 90
제3절 국외 섬 관광 정책 추진 사례 93
1. 분석 개요 93
2. 국외 섬 관광 관련 정책 추진 현황 95
3. 국외 섬 관광 개발 사례 99
4. 시사점 107
제4장 섬 방문객 및 전문가 설문조사 분석
제1절 조사 개요 111
1. 방문객 설문조사 111
2. 전문가 조사 114
제2절 섬 방문객 조사 결과 115
1. 섬 관광 이용 실태 분석: 기존 조사 자료 분석 115
2. 섬 방문객 인터뷰 조사 122
제3절 전문가 조사 결과 125
1. 섬 정책 부처에 대한 인식 125
2. 섬 관광 추진 성과 127
3. 섬 관광 활성화 정책추진방안 131
4. 정책 추진 주체 및 역할 137
제4절 시사점 139
제5장 섬 관광 활성화 정책 추진 방안
제1절 정책 기본방향 및 목표 145
1. 섬 관광 정책 필요성 145
2. 섬 관광정책 추진시 고려사항 146
3. 섬 관광 활성화 정책 추진방향 149
4. 정책 목표 151
제2절 섬 관광 정책 영역 설정 153
1. 부처(문화체육관광부) 특성 고려 요인 153
2. 기존 섬 정책사업 내용 분석 154
3. (문화체육관광부) 섬 관광 정책 영역 제시 161
제3절 섬 관광 활성화 정책 유형 163
1. 정책사업 유형화 목적 163
2. 정책사업 유형화 방법 164
3. 섬 관광 활성화 정책사업 유형화 167
제4절 섬 관광 활성화 정책 추진방안 170
1. 사업 추진 기본방향 170
2. 사업 추진방안 172
3. 추진 가능한 섬 관광 활성화 사업 내용 175
제5절 섬 관광활성화 정책 추진 체계 178
1. 사업추진 주체 구성 및 운영방안 178
2. 부처 간 협력 체계 구축 181
3. 사업관리 및 정책성과 제고방안 1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