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수, 시간리듬의 과학

고전적 풍수지리와 그의 현대적 재해석
$27.00
SKU
9791155550847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9 - Thu 05/15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5/6 - Thu 05/8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7/12/30
Pages/Weight/Size 160*235*20mm
ISBN 9791155550847
Categories 종교 > 역학/사주
Description
풍수와 관련된 내용을 소개하는 책은 무수하다. 이 책은 이들 책의 내용을 현대적 관점에서 체계화시켜 정리해 놓은 길라잡이 역할의 책이다. 중국 등지의 고전적 풍수지리는 형기편, 이기편 등으로 그 내용이 표현되었는데, 이들이 형기론, 이기론, 향법론 등으로, 다시 경관론, 환경론, 생명론 등으로 체계화되어 해석하고 있는 오늘의 풍수지리 동향을 잘 알 수 있게 되어 있다.

특히 한국의 풍수연구가나 술사들의 활동뿐 아니라 한때 회자되었던 풍수사의 활동도 잘 소개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해석의 풍수지리가 환경계획, 지속가능한 도시계획, 도시재생, 신도시 건설 및 건축설계 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사례를 자세히 알려주고 있으며, 예시된 그림과 도표는 독자들의 이해를 돕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본문 말미에 실린 영문 요약과 주제어, 인명 찾아보기도 마찬가지다.
Contents
머리말 풍수지리의 현대적 재해석을 위해 _ 4
서론 _ 10

제1부 전통적 해석의 이론
제1장 형세론 _ 38
제2장 물형론과 비보론 _ 44
1. 물형론 2. 비보론
제3장 이기론과 선택론 _ 54
1. 이기론 2. 인도의 향법론 3. 선택론

제4장 전통적 해석 이론의 적용 사례 _ 73
1. 음택 2. 양택

제2부 현대적 재해석의 이론
제5장 경관론 _ 130
1. 경관과 상징체계 2. 경관과 계량화지표
3. 경관의 지형적 공간형태와 주택가격 이론 및 입지이론

제6장 환경론 _ 142
1. 환경론의 논리적 구조 2. 환경론의 해석 사례
제7장 양생론 _ 160
제8장 길흉의 의미와 시간리듬의 분석 _ 173
1. 길흉의 의미와 예견 2. 양생론의 조화 리듬성

제3부 현대적 적용 분야
제9장 적용 대상과 시간리듬 _ 184
1. 적용 대상 2. 시간리듬과 건축설계
제10장 풍수지도 작성에 의한 환경 평가 _ 194
1. 명당도 설정을 위한 미기후 모델링과 생명기상 모델 생성
2. 풍수지도 작성과 풍수환경 평가
제11장 지속가능한 도시계획 _ 206
1. 지속가능한 도시계획과 에코-까르티에
2. 그르노블 PLU와 비보풍수의 기준
제12장 도시재생과 신도시 건설 및 건축설계 _ 215
1. 현대 도시계획과 신도시 건설
2. 혁신도시 건설에 있어서의 이미지와 경관계획 수립 및 풍수 개념 적용
3. 획지의 풍수적 선정과 건축 설계
4. 건축설계 시의 풍수요소의 계량화와 과학화

요약과 결론 _ 235
Pungsu : Science of Temporal Rhythms _ 240
참고문헌 _ 248
옥한석의 연구실적(1982~2017) _ 254
찾아보기(주제어) _ 265
찾아보기(인명) _ 269
Author
옥한석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지리학과에서 석사,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1985년부터 강원대학교 지리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1995년 미국 워싱턴대학교와 2007년 코네티컷대학교에서 객원교수를 지냈다. 한국지역지리학회 부회장, 대한지리학회 부회장, 한국사진지리학회 회장을 역임하였으며, 강원대학교 강원문화연구소장, 강원도 도시계획위원, 서울시 강동구 도시계획위원, 수도권 발전위원 등을 역임했다. 1998년 제40회 강원도문화상(학술부문)을 수상했다. 저서 및 논문으로는 「동아시아 지중해론과 한국문명의 가능성: 문화변동론적 관점에서」, 『미래 한국지리 읽기』, 『강원문화의 이해』(공저), 『강원경제의 이해』(공저), 『강원교육과 인재양성』(공저), 『생활과 지리』, 『강원의 풍수와 인물』, 『향촌의 문화와 사회변동』, 『풍수지리: 시간리듬의 과학』 등이 있다.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지리학과에서 석사,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1985년부터 강원대학교 지리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1995년 미국 워싱턴대학교와 2007년 코네티컷대학교에서 객원교수를 지냈다. 한국지역지리학회 부회장, 대한지리학회 부회장, 한국사진지리학회 회장을 역임하였으며, 강원대학교 강원문화연구소장, 강원도 도시계획위원, 서울시 강동구 도시계획위원, 수도권 발전위원 등을 역임했다. 1998년 제40회 강원도문화상(학술부문)을 수상했다. 저서 및 논문으로는 「동아시아 지중해론과 한국문명의 가능성: 문화변동론적 관점에서」, 『미래 한국지리 읽기』, 『강원문화의 이해』(공저), 『강원경제의 이해』(공저), 『강원교육과 인재양성』(공저), 『생활과 지리』, 『강원의 풍수와 인물』, 『향촌의 문화와 사회변동』, 『풍수지리: 시간리듬의 과학』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