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개념과 사유들을 담론화하고
그것이 지시하는 현대의 민속현상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고안된
12개의 코드를 제시하는 연구서
사람들은 ‘민속’을 근대 이전의 습속이자 낡고 진부하며 촌스러운 것으로 상정하곤 한다. 이러한 선입견은 근대의 시간과 조건 안에서 민속이라는 말과 이미지가 만들어지고, 민속적인 ‘옛것’들이 근대적인 ‘새로운 것’들과 함께 배치되며 주변화된 데서 기인한다. 그러나 촌스러웠던 것이 유행을 타고 일순 새로워지듯, 민간 생활의 습속은 끊임없는 생성과 변화의 와중에 있다. 옛것과 새로운 것은 대립한다기보다 상호 관계적이며, 시야를 넓혀 근대 세계체제의 지구화 과정 속에서 바라볼 때 민속은 늘 그렇게 혼종적 사태로 전개되어왔다.
이 책은 그간의 관념적 · 보수적 · 본질주의적 관점에서 벗어나 ‘차이’에 근거한 사유를 바탕으로, 민속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개념 정의를 시도한다. 저자는 근대의 역사적 국면마다 생성과 변화에 조응하며 다양하게 실현되어온 현대의 민속현상들을 ‘포크 모더니티’라고 명명하고 담론화함으로써, 역사적 맥락과 현재성의 차원이 함께 반영된, 민속에 대한 새로운 개념과 지식과 현상의 범위를 정립해나간다. 무엇보다 포크 모더니티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제시해놓은 5개 범주와 그에 조응하는 12개 코드들은 저자의 이러한 문제의식이 반영된 담론 실험의 결과로서, ‘현대 민속론’의 새로운 가능성을 전망하는 단초가 되고 있다. 성균관대학교 학술기획총서 ‘知의회랑’의 마흔여섯 번째 책이다.
Contents
머리말
서론
《제1부 존재 조건 및 주체》
제1장 시간문화
1. 시간체제와 탈/식민성
2. 민속적 시간문화 양식의 특이성
3. 시간문화 양식의 전통성과 구조적 변환
제2장 판
1. 판의 개념 층위와 인식 경향
2. 판의 생명론 혹은 문화론
제3장 다중
1. 무속 표상의 다중적 성격
2. 다중의 습속 혹은 생성으로서 문화영토
3. 민속 주체의 변환, 다중 혹은 ‘미디어-다중’
《제2부 의미와 생성》
제1장 사건
1. 하늘 세계 혹은 사건/의미 계열체의 특이성
2. 무속 수륙재, 잠재적 사건/의미 계열체
3. 접힘과 펼침, 사건/의미 계열체의 구조적 역동
한국 연극 분야에서 전통연희를 전공했고, 민속의 재현과 변환 문제에 관심을 두고 연구를 계속해왔다. 최근에는 사회구조와 지식 패러다임의 전환에 주목해 민속학의 이론적 체계를 재정립하는 데 몰두하고 있다. 2010년 9월 전주에서 안동으로 터전을 옮겨 현재 국립경국대학교(구 국립안동대학교) 인문 · 문화학부 문화유산학전공 교수로 있으면서 학생들과 함께 교학상장하고 있다.
대표 저서로는 『교정과 봉합 혹은 탈주와 저항의 사회극』, 『우리 문화 연구의 새지평』 등이 있고, 대표 논문으로는 「무위의 공동체와 민속의 공동성」, 「공동체문화와 커먼즈, 가치실천 양식들」, 「손상된 지구에서 레퓨지아 만들기」 등이 있다.
한국 연극 분야에서 전통연희를 전공했고, 민속의 재현과 변환 문제에 관심을 두고 연구를 계속해왔다. 최근에는 사회구조와 지식 패러다임의 전환에 주목해 민속학의 이론적 체계를 재정립하는 데 몰두하고 있다. 2010년 9월 전주에서 안동으로 터전을 옮겨 현재 국립경국대학교(구 국립안동대학교) 인문 · 문화학부 문화유산학전공 교수로 있으면서 학생들과 함께 교학상장하고 있다.
대표 저서로는 『교정과 봉합 혹은 탈주와 저항의 사회극』, 『우리 문화 연구의 새지평』 등이 있고, 대표 논문으로는 「무위의 공동체와 민속의 공동성」, 「공동체문화와 커먼즈, 가치실천 양식들」, 「손상된 지구에서 레퓨지아 만들기」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