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현대 동아시아 지식장과 정치변동

$32.20
SKU
9791155505786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12/6 - Thu 12/12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12/3 - Thu 12/5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3/02/28
Pages/Weight/Size 153*224*35mm
ISBN 9791155505786
Categories 사회 정치 > 정치/외교
Description
동아시아의 ‘근현대’를 재고하는 지적 계기

이 책은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교양총서 시리즈 4권으로, 동아시아학 입문서로 기획된 1권 『동아시아 연구, 어떻게 할 것인가』(2016), 2권 『동아시아로부터 생각한다』(2017), 3권 『방법으로서의 열린 동아시아』(2022)에 이은 성과이다. 우선 1권과 2권을 통해 동아시아 연구의 구체적인 사례들을 제시하고, 통합적이고 보편적인 학문 패러다임의 창출을 목표로 했다면, 3권에서는 방법과 시각을 넘어선 비전으로서의 열린 동아시아를 구축하고 제안하여 인문학적 가치의 대중사회화를 모색하고자 했다. 4권에서는 ‘근현대’ 동아시아 세계 형성에 영향을 미친 지식담론을 다각도로 검토하여 동아시아의 ‘근현대’를 재고하는 다양한 지적 계기들을 제공하고자 한다.

근현대 동아시아 세계는 다양한 가치와 이질적 정체성이 정치적으로 충돌하고 문화적으로 융합되는 ‘지식’의 역동적인 변화를 거쳐 형성되었다. 따라서 서구지식의 수용과 변용의 과정, 정치와 종교 관계 및 문화정체성의 변동, 역사적으로 축적된 정치담론이 어떻게 경합하고, 배치되어 왔는지를 검토하는 작업은 우리 삶의 공간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본서의 제목을 『근현대 동아시아 지식장과 정치변동』으로 한 것은 ‘지식’이 수행한 지난하면서도 역동적인 과정을 보여주는 여러 양상들을 확인하는 작업을 통해 ‘지식’의 층위를 맥락화하고, 시대의 위기에 대응한 문화적, 정치적 담론을 성찰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이 책은 서양 지식을 먼저 수용하여 근대국가를 형성한 일본 사례로부터 출발하여 근대 동아시아 세계의 형성과 지식 담론으로 논의를 확장한다. 이를 통해 문명의 전환기를 통과하면서 시대의 도전에 다양한 방식으로 응답해 온 지식담론을 이해할 뿐 아니라, 위계적인 정치질서가 변동하는 흐름 속에서 개인적·집합적 수준에서 정치적·문화적 정체성이 역동적으로 재구성되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Contents
서문: 동아시아의 ‘근현대’를 재고하는 지적 계기__박은영·손민석

1부 서구 지식의 수용과 변용

1장 ‘society’를 번역하다─서구 지식의 수용으로서 ‘사회적인 것’의 상상__김태진
1. 번역의 불가능성: ‘사회’와 ‘사회적인 것’
2. ‘인(仁)’과 ‘의필고아(意必固我)’: 이욕(利慾)과 자주(自主)의 관점에서의 society
3. ‘상생양의 도[相生養之道]’와 ‘역공통사(易功通事)’: 상생(相生)과 분업의 성질로서의 society
4. ‘군(群)’과 ‘치국평천하’: 합군과 망국의 논리 속에서의 society1
5. 서양을 번역하다: 사회적인 것의 구성

2장 가토 히로유키의 진화론 수용 과정과 「의당비망」__김도형
1. 가토 히로유키의 진화론 수용 문제
2. 일본의 ‘국체’와 ‘개화’
3. 개화와 인종 - 진화론의 입구
4. 보편원리의 대체 - 진화론수용
5. ‘天賦’와 ‘天孫’의 동시부정
6. 오역, 오용 혹은 변용 - 가토 히로유키의 진화론 수용 이해

3장 유길준의 문명국 구상과 윤리적 자유주의 수용─프랜시스 웨일랜드와 존 힐 버튼과의 비교__김현
1. 유길준의 문명국, 어떤 자유주의인가?
2. 문명국의 조건Ⅰ: 인(人)의 권리로서 자유
3. 문명국의 조건Ⅱ: 인(人)의 의무로서 자주
4. 문명국의 조건Ⅲ: 개화의 촉진제로서 상업
5. 진보적 개혁의 대상: 법과 교육
6. 개혁의 방법: 위로부터의 개혁
7. 19세기 조선의 윤리적 자유주의자 유길준

4장 전병훈의 서양 번역서 독해방식─『정신철학통편』__소진형
1. 전병훈과 동아시아 전통적 지식인의 근대의 책읽기
2. 전병훈이 읽은 서양 번역서와 정신, 철학, 심리의 의미 1
3. 번역의 번역을 읽는 방법: 선별, 발췌, 배치
4. 번역의 착시효과, 그리고 적극적 독서의 의미

2부 일본의 정치와 종교, 문화유산

1장 메이지 일본에서의 ‘통치성’ 담론─신체-국가론 소고__김태진
1. ‘다스림’이란 무엇인가?
2. 대일본제국헌법에서의 ‘수뇌’
3. 군인칙유의 ‘우두머리’
4. 「교육칙어」의 유기체
5. ‘통치’라는 신체성: 전통적인 관점과의 비교
6. 왕의 신체와 국가라는 신체

2장 천황제 국가의 전쟁과 종교─15년 전쟁기 일본 기독교의 전쟁 협력__박은영
1. 국가와 종교
2. 일본 기독교의 시민권 획득 노력
3. 전시 하 종교통제와 종교단체법
4. 일본기독교단의 수립과 활동
5. 피해자 의식과 ‘전쟁책임’
6. ‘전쟁책임고백’이 나오기까지

3장 일본의 근대화 산업유산과 도시재생─도미오카 제사장과 실크산업 유산군을 중심으로__박삼헌
1. 일본의 산업유산은 ‘근대화’ 유산
2. 도미오카 제사장과 실크산업 유산군의 구성과 세계유산으로서의 가치
3. 일본 근대산업발상지, 도미오카제사장 스토리의 등장
4. 도미오카 제사장 주변의 마을만들기와 세계문화유산 등록
5. 도미오카 제사장과 실크산업 유산군의 UNESCO 세계유산 등록의 의미

3부 냉전과 탈냉전기 문화지형

1장 20세기 냉전복음주의와 문화풍경─전사(前史)__손민석
1. 환태평양 관점에서의 냉전복음주의 전사(前史)
2. 근본주의-현대주의 논쟁 이후 변화 양상
3. ‘시대에 발맞춘’ 근본주의자들의 젊은이 대중 집회
4. ‘근육질 기독교’를 내면화한 제자훈련
5. 미국 패권의 시대와 ‘종족화’(種族化)된 냉전복음주의
6. 시류를 탄 근육질 기독교 돌아보기

2장 냉전기 디아스포라 문학의 정치성과 월남민 김은국의 경계넘기__정주아
1. 어느 월남민의 미국행과 소설쓰기
2. 무책임한 국가의 희생양과 버려진 백성들
3. 월남민의 반공의식과 백색 테러리즘의 상상력
4. 미국인의 자격과 ‘유랑민/세계시민’의 이중발화
5. 공간의 정치성과 냉전기 디아스포라 문학의 해석

3장 디아스포라 기억의 재현과 탈냉전 역사쓰기의 가능성─『굿바이 마이러브 NK』와 『유역』__이헌미
1. 한인 디아스포라와 탈냉전 역사쓰기의 문제들
2. 영상·문학적 역사 재현과 제3의 공간으로서의 디아스포라
3. 무국적자들의 디아스포라 기억을 아카이빙하기
4.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재현의 공백과 침묵을 읽기
5. 디아스포라 기억의 다방향적 접합과 비로소 보이는 것들
6. 타인의 얼굴을 마주하기

4부 정치담론의 역사성과 동시대성

1장 시큐리티 개념의 수용과 번역어 ‘안보’의 성립__ 김현·송경호
1. ‘안보’의 개념사
2. 시큐리티 개념의 초기 수용과 번역
3. 일반적 번역어로서 ‘안전(安全)’의 등장
4. 예외적 번역어로서 ‘안전보장(安全保障)’의 등장
5. ‘안보(安保)’의 유행과 일반적 번역어로의 성립
6. ‘시큐리티=안보’의 성립

2장 포퓰리즘 개념의 냉전 자유주의적 기원─ 매카시즘에 대한 다원주의적 비판과 탈-이데올로기적 지식인 정치__홍철기
1. 문제설정: 포퓰리즘, 논쟁적 개념에서 대립적 개념으로
2. 매카시즘에 대한 반공주의적 비판: 포퓰리즘의 대문자 개념에서 소문자 개념으로
3. 반지성주의 비판과 탈-이데올로기적 지식인 정치
4. 몇 가지 제언

3장 현대 포퓰리즘이 제기한 질문은 무엇인가?__이관후
1. ‘누가 통치할 것인가’의 문제
2. 인민인가, 엘리트인가?
3. 근대 이전 통치자의 자격
4. 근현대 민주주의에서 통치자의 자격
5. 통치자의 자격과 포퓰리즘
6. 홉스의 고민

저자 소개
Author
박은영,손민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