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추관협착증’은 노령화에 따라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대표적인 퇴행성 질환 중 하나이다. 우리나라 국민의 기대 수명이 83세를 넘어가면서 퇴행성 질환의 환자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많은 사람들은 부득이 척추관협착증을 겪으며 살아야 한다. 이처럼 누구나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척추관협착증에서 과잉 검사와 과잉 시술 및 수술로 사회적 비용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척추관협착증에는 여러 치료 방법들이 제시되어 있지만, 어떤 치료법이 가장 적정한지, 또한 치료를 받아야 하는지 말아야 하는지 일반인들은 쉽게 구별하기 어렵다. 이 책에서는 척추관협착증에 대한 여러 치료법을 치료 방법의 임상적 유용성, 과학적 타당성, 안전성, 후유증 발생 가능성 등을 엄격하게 따져 총 5등급으로 분류하여 제시한다. 불필요한 검사와 시술 및 수술로 환자들의 허리가 더 망가지기 전에 반드시 알아야 할 사항들을 읽기 쉽고 친절하게 소개한다.
Contents
머리말
★ 치료별 추천 등급
1장 척추관협착증이란?
1. 척추관협착증의 정의
2. 척추관협착증의 발견
3. 선천성, 발달성, 퇴행성 척추관협착증
4. 척추전방전위증에 의한 척추관협착증
5. 척추관협착증 발생률과 유병률
6. 척추관협착증의 분류와 원인
2장 척추관협착증의 증상
1. 다리 통증, 하지 통증, 다리 저린감
2. 요통, 허리 통증, 엉치 통증
3. 신경인성 간헐적 파행
4. 추간판인성 서혜부 통증, 사타구니 통증
5. 발바닥 저림증
6. 야간 하지 경련, 다리에 쥐가 난다
7. 하지 근력 저하와 보행장애
8. 하지 평형 기능 저하, 감각 저하
9. 대소변 장애
10. 하지불안 증후군
11. 요추 후만 척추변형
12. 삶의 질 저하
3장 척추관협착증의 진단
1. 이학적 및 신경학적 검사
2. 척추관협착증 자가 진단을 위한 설문지
3. 영상학적 검사에 의한 진단
★ 척추관협착증 사례들
1. 수술 적응증과 비적응증
2. 수술 후 평가 방법
3. 수술적 치료 방법들
★ 미세현미경 편측후궁절개-양측감압술 사례들
7장 척추유합술과 척추고정술
1. 척추유합술과 척추고정술의 차이
2. 척추유합술의 발전과 여러 가지 방법들
3. 척추고정술의 발전
4. 척추고정술의 여러 가지 방법들
5. 척추유합술과 척추고정술은 필요하지 않다
6. 척추유합술이 시행되는 이유
8장 척추전방전위증
1. 척추전방전위증이란?
2. 척추전방전위증의 발견
3. 척추전방전위증 치료의 발전
4. 자연 경과와 안정화된 척추전방전위증
★ 안정화된 척추전방전위증 사례들
5. 척추후방전위증과 척추측방전위증
9장 척추관협착증 치료의 국내 도입과 발전
1. 1967년 : 척추전방전위증 치료 시작
2. 1974년 : 척추관협착증의 국내 소개
3. 1980년대 : 척추고정술의 시작
4. 1990년대 : 케이지 기구 사용
5. 1990년대 : 척추경 나사못 척추고정술과 후방 요추체간 유합술
6. 1997년 : 편측후궁절개-양측감압술
7. 2003년 : 단일 방향 내시경 수술
8. 2016년 : 양방향 내시경 수술
10장 척추 활액낭종
★ 척추 활액낭종 사례들
11장 고정술 금속 기구에 대한 과민반응(알레르기, 알러지)
12장 척추 질환에서 인공지능, 인공 디스크, 로봇 척추 수술
1. 척추 질환에서 인공지능
2. 인공 디스크
3. 로봇 척추 수술
13장 척추관협착증 예방법과 허리건강 운동법
1. 걷기
2. 수영
3. 스트레칭
4. 근력 강화 운동
5. 맥켄지 신전 운동
6. 윌리엄스 굴곡 운동
7. 거꾸리 기구 운동
8. 실내 자전거 운동
참고문헌
Author
어환
성균관대학교 명예교수. 대한민국 최고의 척추 명의.
1994년부터 2018년까지 삼성서울병원 재직 동안 총 2,375명의 척추 환자를 수술했다. 2018년부터 현재까지는 삼성창원병원에서 230명의 척추 환자를 수술했으나 지금까지 의료과오나 의료분쟁이 단 한 건도 발생하지 않았다. EBS 프로그램 [명의]에 두 차례 출연해 척추 지식을 전파했으며 다수 언론을 통해 척추질환에 대한 과잉 검사와 과잉 수술의 폐해를 경고했다. 환자 증상에 따라 허리 통증의 원인을 정확하게 진단하여 최적의 진단법과 치료법을 선택할 수 있도록 힘쓰고 있다. 저서 『허리디스크 수술 없이 낫기』(2020)가 있다.
서울고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에서 의학사를 취득하였으며 동 대학교 대학원에서 의학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국군덕정병원과 국군서울지구병원 신경외과 과장, 한림대학교 신경외과학 조교수와 부교수를 거쳐 1994년 삼성서울병원 개원부터 24년간 신경외과에서 근무했다. 일본 도쿄대학교 뇌신경외과와 미국 애리조나 BNI(Barrow Neurological Institute)에서 연수했으며,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외과학 주임교수, 삼성서울병원 척추센터장, 교육수련부장,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학장, 대한척추신경외과학회 회장, 성균관대학교 의무부총장을 역임하였다. 2018년부터 성균관대학교 부속 삼성창원병원 신경외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비상근 심사위원, 산업재해보상보험재심사위원회 위원, 서울중앙지방법원 조정위원, 대한척추신경외과학회 고문으로도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성균관대학교 명예교수. 대한민국 최고의 척추 명의.
1994년부터 2018년까지 삼성서울병원 재직 동안 총 2,375명의 척추 환자를 수술했다. 2018년부터 현재까지는 삼성창원병원에서 230명의 척추 환자를 수술했으나 지금까지 의료과오나 의료분쟁이 단 한 건도 발생하지 않았다. EBS 프로그램 [명의]에 두 차례 출연해 척추 지식을 전파했으며 다수 언론을 통해 척추질환에 대한 과잉 검사와 과잉 수술의 폐해를 경고했다. 환자 증상에 따라 허리 통증의 원인을 정확하게 진단하여 최적의 진단법과 치료법을 선택할 수 있도록 힘쓰고 있다. 저서 『허리디스크 수술 없이 낫기』(2020)가 있다.
서울고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에서 의학사를 취득하였으며 동 대학교 대학원에서 의학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국군덕정병원과 국군서울지구병원 신경외과 과장, 한림대학교 신경외과학 조교수와 부교수를 거쳐 1994년 삼성서울병원 개원부터 24년간 신경외과에서 근무했다. 일본 도쿄대학교 뇌신경외과와 미국 애리조나 BNI(Barrow Neurological Institute)에서 연수했으며,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외과학 주임교수, 삼성서울병원 척추센터장, 교육수련부장,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학장, 대한척추신경외과학회 회장, 성균관대학교 의무부총장을 역임하였다. 2018년부터 성균관대학교 부속 삼성창원병원 신경외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비상근 심사위원, 산업재해보상보험재심사위원회 위원, 서울중앙지방법원 조정위원, 대한척추신경외과학회 고문으로도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