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ut of Print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윤리와 시민성

$16.20
SKU
9791155505397

 

본 상품은 품절 / 절판 등의 이유로 유통이 중단되어 주문이 불가합니다.

이용에 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Mon 12/9 - Fri 12/13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Wed 12/4 - Fri 12/6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2/05/31
Pages/Weight/Size 152*225*20mm
ISBN 9791155505397
Categories 사회 정치 > 사회학
Description
4차 산업혁명과 함께 코로나19(COVID-19) 팬데믹으로 인해 AI, 아바타, 메타버스, 소셜미디어 등 뉴미디어 테크놀로지가 우리 일상과 소통에서 갖는 영향력이 커지고 있다.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온라인 공간에서 혐오와 갈등, 증오가 소통의 본질을 위협할 정도로 증폭되는 등 부작용들도 터져 나오고 있다. 디지털 커뮤니케이션의 반시민성(Digital Communication Incivility)이라 불리는 악성 댓글, 혐오 표현, 허위 정보 등 반사회적이고 타인에게 해를 가하는 문제적 표현과 소통 경향이 눈에 띄게 증가함에 따라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의 본격적인 대응이 필요해졌다.

이 책은 우리 사회의 건강한 소통을 위해 필요한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윤리와 시민성 확립을 위한 이론적 틀과 현실적 방안을 함께 제시한다. 커뮤니케이션학자 8인이 한국의 디지털 미디어와 시민성에 관련된 윤리적 문제들을 다양하게 다룬 이 책은 AI로부터 아바타, 메타버스, 소셜미디어, 이용자창작콘텐츠(UGC)를 둘러싼 최근의 사례들을 중심으로 각자의 문제의식, 연구방법과 사례분석 결과를 제시하고 있으며, 디지털 시민교육과 테크 산업계의 윤리준칙, 정부 정책 입안에 도움이 될 친사회적인 해결 방안도 모색했다.

이 책은 총 8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1장부터 3장까지는 디지털 윤리와 시민성에 관한 연구 목적, 개념화, 이론 모형 등 학술적인 토대를 논의했고, 4장부터 8장까지는 온라인 소비, 아바타, 메타버스, 소셜미디어, UGC(이용자 창작 콘텐츠) 등 다양한 영역에서 디지털 윤리와 시민성 문제의 사례를 다루고 해결책을 제안했다.
Contents
머리말 건강한 소통을 위한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윤리와 시민성 금희조

01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윤리와 시민성, 무엇을 어떻게 연구할 것인가? 금희조
02 디지털에서의 반시민성 개념 임인재
03 온라인 반시민성 결정요인에 대한 통합적 이론 모델 이세영
04 고객과 온라인 소비문화에서의 윤리 전은미
05 가상환경에서 아바타 시민성 김소영
06 메타버스와 커뮤니케이션 박윤정
07 소셜미디어의 책임성과 윤리적 문제 박현지
08 이용자창작콘텐츠(UGC) 플랫폼에서의 커뮤니케이션 윤리 김지현

참고문헌
Author
금희조
성균관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다. 위스콘신-매디슨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레거시 미디어뿐 아니라 SNS 등 뉴미디어가 이용자 개인과 사회 전반에 어떤 임팩트를 가지는지 사회과학적 관점으로 탐구하고 있다. 삼성영상사업단 프로듀서와 텍사스?샌안토니오 대학교 조교수를 역임했다. 현재 성균관대학교 미디어문화융합대학원 원장과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기획이사 및 편집위원을 맡고 있다. 한국언론학회 연구이사, 한국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편집이사, 특임이사,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총무이사 등을 역임했다. 주요 연구 분야는 미디어 효과, 뉴미디어의 사회적 임팩트, 정치 커뮤니케이션이다. Communication Research,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Political Communication, Journal of Advertising,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Journalism and Mass Communication Quarterly, International Journal of Communication, ≪한국방송학보≫, ≪한국언론학보≫ 등에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성균관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다. 위스콘신-매디슨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레거시 미디어뿐 아니라 SNS 등 뉴미디어가 이용자 개인과 사회 전반에 어떤 임팩트를 가지는지 사회과학적 관점으로 탐구하고 있다. 삼성영상사업단 프로듀서와 텍사스?샌안토니오 대학교 조교수를 역임했다. 현재 성균관대학교 미디어문화융합대학원 원장과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기획이사 및 편집위원을 맡고 있다. 한국언론학회 연구이사, 한국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편집이사, 특임이사,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총무이사 등을 역임했다. 주요 연구 분야는 미디어 효과, 뉴미디어의 사회적 임팩트, 정치 커뮤니케이션이다. Communication Research,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Political Communication, Journal of Advertising,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Journalism and Mass Communication Quarterly, International Journal of Communication, ≪한국방송학보≫, ≪한국언론학보≫ 등에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