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시화

평양의 시와 인물들
$36.80
SKU
9791155504727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12/6 - Thu 12/12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12/3 - Thu 12/5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1/06/20
Pages/Weight/Size 148*220*35mm
ISBN 9791155504727
Categories 인문 > 독서/비평
Description
서글피 탄식하고 엄숙히 두려워하며
관서關西의 한 문인은
천겁 변방의 문학사를 써내려갔다
소외의 땅 평안도
지역문학의 집대성
김점의 『서경시화』

조선 후기 평양 출신 문인 김점(金漸, 1695~?)의 『서경시화(西京詩話)』와 별권의 부록편인 『칠옹냉설(漆翁冷屑)』을 ‘서북지역문인’ 연구로 학위를 받은 고전문학자 장유승이 현대어로 옮기고 주해와 서설을 단 책이다. 고대부터 18세기 초까지 평안도 지역문인과 작품들을 통시적으로 정리하여 그 자체로 하나의 체계적인 지방문학사를 구성했다. 지역의 문학을 정리하겠다는 확실한 목적의식 하에 편찬된 조선시대 시화서로는 이 책이 유일하다.
근세의 한 시절 배척의 그림자가 드리워졌던 비운의 땅, 평안도. 김점이 개괄하는 이곳의 문학사는 한마디로 ‘쇠퇴의 문학사’다. 다만 쇠퇴라는 관점은 작가나 작품의 양적 질적 저하에 있는 것이 아니라, 지역인에 대한 차별이 심화되면서 이들이 능력을 발휘할 기회가 사라지고, 그 문학적 성취가 사장되고 말았다는 현실인식에 바탕을 둔 것이다. 소외야말로 문학의 힘이런가. 김점은 서북의 소외가 심화될수록 오히려 문학의 외연은 확장되는 모습을 통찰해냈다. 우리 고전문학의 정수를 가려 꼽은, 성균관대학교출판부 ‘시화총서시리즈’의 어느덧 일곱 번째 책이다.
Contents
서설

〈서경시화 권1〉
서문(1)|서문(2)|평안도 문학의 기원|우리 문학의 시조 을지문덕|귀신의 도움을 받은 정지상|정지상과 김부식|조연수의 시|조준의 시|이승소의 고향|한극창과 김은서의 시|홍승범의 시|강의봉의 시|임제와 『상영록』|박위의 시|허관의 시|전벽의 시|황윤후의 시|이진의 시|기자의 후손 선우협|김여욱의 시|김여욱과 허관의 우열|오준망의 시|양만영의 시|홍익중의 시|허절이 명성을 떨치다|홍만조가 허절을 인정하다|이만우의 시|이시항의 시|전석지의 시|허필의 시|허절과 김점의 인연|김점의 중부|이인채의 재주|근래 평안도 문인들|평양 이외 지역의 발전|평안도 문인의 대두|『고려사』에 수록된 평안도 문인|김반의 시|어변갑의 급제를 예언하다|어변갑의 시|어세겸의 시|김안국과 김정국|김정과 김필성의 시|최덕중의 시|한우신의 시|변환의 시|변지익의 시|윤영, 김호익, 안헌민의 시|정두평의 시|임익빈의 시|민광보의 시|허휘의 시|강간이 정우량의 인정을 받다|청북 문인의 대두|문신기가 선조에게 인정받다|김현중과 김남욱의 시|중국인 정선갑|유상기가 남구만의 대구를 짓다|평안도의 의로운 선비들|휴정의 시|평안도 승려의 시|낭열의 시|평안도 여인의 시|평안도의 신동|평안도인의 저술|평안도인의 문집|저술을 남긴 평안도인|문집이 있는 평안도인|『동문선』에 수록된 평안도인의 시|역사책에 수록된 평안도인|시호를 받은 평안도인|평안도의 서예가(1)|평안도의 서예가(2): 김학기|평안도의 서예가(3): 홍승범|평안도의 서예가(4): 변환|평안도의 서예가(5): 조흥종|평안도의 서예가(6): 양의원|평안도의 서예가(7): 홍선|평안도의 서예가(8): 김여욱|평안도의 서예가(9): 황재요|평안도의 화가(1): 조세걸, 송창엽|평안도의 화가(2): 김진여, 최만하

〈서경시화 권2〉
우리나라 시가의 기원|평안도의 사언시|기자의 〈홍범〉(1)|기자의 〈홍범〉(2)|평안도의 명(銘), 찬(贊), 전(傳)|어세겸의 〈귀물명〉|양덕록의 〈고경명〉|이진의 〈갑을장명〉|이진의 〈추우찬〉|김태좌의 〈수박자전〉|변지익의 〈화납부〉|김정보의 〈귀거래사〉|평양에서 발견된 옛 거울|역사에 기록된 평안도|평안도의 풍습|평안도의 군주들|평안도의 신하들|평안도의 승려들|평안도 문인 총론|글 짓는 법|평안도 문학사|평안도 한시 명구|오언시 명구|칠언시 명구|음률에 올릴 만한 구절|오언시와 칠언시의 기구|오언시와 칠언시의 결구|옛사람의 시를 점화한 시|칠언시를 잘라 만든 오언시|오언시를 보태 만든 칠언시|용사에 뛰어난 시|평안도 고대 문학|천남생과 천남건 형제|장원급제한 평안도인|정지상의 죽음|김학기와 김반에 관한 사실|일찍 두각을 나타낸 평안도인|부자형제가 모두 뛰어난 평안도인|부자가 과거에 급제한 평안도인|형제가 과거에 급제한 평안도인|조손이 과거에 급제한 평안도인|출세한 평안도인|외직으로 부임한 평안도인|삼장을 통과한 평안도인|평안도 별시의 내력|젊어서 과거에 급제한 평안도인|늙어서 과거에 급제한 평안도인|평안도의 불행

〈서경시화 권3〉
을지문덕의 시는 〈맥수가〉에서 나왔다|정지상의 칠언절구(1)|정지상의 칠언절구(2)|정지상의 요체|조준의 기세|어변갑의 효성|어세겸과 이승소의 차이|정승의 기상이 있는 시|이승소의 미인도 시|김안국의 시|한극창, 김명한, 이진, 전벽의 시|전벽의 시(1)|전벽의 시(2)|전벽의 시(3)|전벽의 시(4)|전벽의 시(5)|전벽의 시(6)|이진의 차운시|이진의 절구|이진의 악부시|황윤후의 시|변씨 삼부자의 시|출세한 황윤후와 불우한 변환|변지수의 〈유소사〉|변지익의 시문|변지익의 〈요유복〉|변지익의 〈화납부〉|허관의 시(1)|허관의 시(2)|허관의 시(3)|김여욱의 시(1)|김여욱의 시(2)|허관, 김여욱, 이진의 특색|이진과 김호익이 시구를 다투다|김호익의 득의작|양만영과 정광문(1)|양만영과 정광문(2)|정광문의 시|허절의 시풍|허절의 절구|허절의 기러기 시|허절의 과체시|이만우의 시(1)|이만우의 시(2)|허필의 시풍|허필의 오언절구|허필의 섣달 그믐 시|시능궁인(詩能窮人)|절구시 짓는 법|평안도의 과체시|평안도의 부|을지문덕과 정지상|시는 용병과 같다|평안도 시인들의 비유

〈서경시화 보록〉
평양의 어제시|김황원과 이지저의 우열|이색의 부벽루 시(1)|이색의 부벽루 시(2)|정지상의 남포 시|장근과 남효온의 기자묘 시|정경세와 정두경의 기자묘 시|김시습이 평양에서 지은 시|한권과 유강의 기생 시|심수경과 권응인의 선연동 시|윤계선과 권필의 선연동 시|고경명의 백상루 시|이정구가 최립을 칭찬한 시|최립의 연광정 시|정두경의 통군정 시|박엽의 자만시|홍익한의 시|김창흡의 부벽루 시|이색과 김창흡의 시|김유의 부벽루 시|윤봉조, 강박, 오광운, 윤광찬의 제영시|임숙영의 〈통군정서〉|제영에서 뽑을 만한 연구|명나라 조사들의 시|축맹헌의 백상루 시|허국의 망월정 시|조사들의 부벽루 시|조사들의 명구(1)|조사들의 명구(2)

〈칠옹냉설 상〉
굳세고 올바름|꼿꼿하고 곧음|절개를 지킴|충성을 다함|부모에게 효도함|형제와 우애함|친척과 화목함|청렴결백함|남다른 행실|장수의 자질|식견과 도량|빼어난 풍채|벼슬한 자취|조짐을 알다|깊은 학문|뛰어난 문장|총명하고 민첩함

〈칠옹냉설 하〉
자유롭게 행동함|우스운 이야기|오만하고 방자함|의롭고 호탕함|탐욕스럽고 인색함|서툴고 소박함|용감히 물러남|곤란을 당함|학문이 모자람|포상을 받음|좋은 징조|신성하고 기이함|여러 가지 재주|기생과 풍류|부록

원문/ 찾아보기
Author
김점,장유승
본관은 김해(金海), 자는 중홍(仲鴻), 호는 현포(玄圃)이며 평양 출신이다. 십대 중반에 문산(文山) 허절(許?)을 사사하여 문학적 재능을 인정받고, 1717년 평안도 관찰사로 부임한 김유(金?)와 사제의 인연을 맺었다. 1721년 진사시에 합격하여 성균관에 입학했으나 문과에는 급제하지 못했다. 이후 성천(成川)으로 이주하여 독서하며 여생을 마쳤다. 80세 무렵 평안도 관찰사로 부임한 채제공(蔡濟恭)을 만났는데, 이 인연으로 채제공이 문집 『현포산인집(玄圃山人集)』의 서문을 써주었다. 문집은 전하지 않고, 『서경시화』와 『칠옹냉설』이 전한다.
본관은 김해(金海), 자는 중홍(仲鴻), 호는 현포(玄圃)이며 평양 출신이다. 십대 중반에 문산(文山) 허절(許?)을 사사하여 문학적 재능을 인정받고, 1717년 평안도 관찰사로 부임한 김유(金?)와 사제의 인연을 맺었다. 1721년 진사시에 합격하여 성균관에 입학했으나 문과에는 급제하지 못했다. 이후 성천(成川)으로 이주하여 독서하며 여생을 마쳤다. 80세 무렵 평안도 관찰사로 부임한 채제공(蔡濟恭)을 만났는데, 이 인연으로 채제공이 문집 『현포산인집(玄圃山人集)』의 서문을 써주었다. 문집은 전하지 않고, 『서경시화』와 『칠옹냉설』이 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