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버티(liberty)”라는 개념은 쉽게 번역되었지만 논쟁의 여지가 있는 개념이었다.
“라이트(right)”, “오소리티(authority)”, “파워(power)” 그리고
“소버린티(sovereignty)”라는 개념들은 처음에는 모두 ‘권’으로 옮겨졌으나 정치적 논쟁을 거치며 점차 구별되었다.
신조어 사회(社?)의 등장은 “소사이어티(society)”의 발견을 수반했다.
이 책은 정치사상사를 번역의 시각에서 접근하는 연구이다. 번역은 우리의 지식 생산과 전파의 거의 모든 과정에서 일어나는 일이다. 너무나 일상적으로 일어나다보니 우리는 이를 특별히 의식하지 않는다. 그래서 번역학(translation studies) 분야에서 상당한 연구 성과가 이미 축적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굳이 이를 참조하는 수고를 하지 않는 것을 당연하게 여긴다. 이 책은 현대 번역학보다는 20세기 중반 이후에 등장한 정치사상사 연구들로부터 영향을 받았다.스키너(Quentin Skinner)를 비롯한 ‘케임브리지 학파(Cambridge School)’의 정치사상사 혹은 지성사 연구와 코젤렉(Reinhart Koselleck)을 비롯한 독일의 역사학자들에 의해 주도된 개념사 연구가 대표적이다. 저자 하울랜드는 이 두 가지 연구 전통의 교집합으로부터 영감을 받아 동아시아 근대 초기에 서양정치사상 수용 과정에 관한 연구를 수행했다.
Contents
감사의 글
제1장 서론
19세기 일본 서구화
문명개화의 역사기술
의미론적 투명성의 문제
번역에서의 개념의 역사성
제2장 계몽된 문명의 기획
문명개화: 계몽된 문명
여담: “문명과 계몽”
계몽된 문명과 학자의 직분
문명과 언어
한학 논쟁
문명과 도덕성
제3장 번역 기술과 언어의 변화
충실성과 접근성
동류어와 그 해결방식
번역어와 외래어
일관성의 창조: 표준화와 형식화
제4장 자유의 구축
자율성과 개인의 재량
독립과 이기심
종교의 자유: 개인의 신앙과 공중 예배
출판의 자유: 자연적 진보와 일시적 공황
제5장 권리와 주권의 구분
서양 법과 정치제도의 번역
민권: 인민의 권리와 국민의 권리
주권에 대한 신문 논쟁
후쿠자와 유키치의 국권론
제6장 인민의 표상, 사회적 상상
도쿠가와 시대 신분 질서: ‘사농공상’ 혹은 ‘사민’
부르주아와 사무라이의 자기표상으로서의 사회
국회개설운동에서 인민 표상
스펜서의 진화론적 진보 이론에서 “소사이어티”와 “사회”
제7장 결론
옮긴이 후기
참고문헌
저자 및 역자 소개
색인
Author
더글라스 하울랜드,김현,박은영,소진형,손민석,송경호,이헌미,홍철기
시카고대학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드폴대학 교수를 거쳐, 현재 위스콘신 밀워키 대학의 교수로 재직 중이다. 19세기 동아시아의 서구화, 중국과 일본의 국제법과 국가주권, 자유주의 문제 등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저서로 Personal Liberty and Public Good: The Introduction of John Stuart Mill to Japan and China(2020), International Law and Japanese Sovereignty: The Emerging Global Order in the 19th Century(2016), Borders of Chinese Civilization Geography and History at Empire’s End Duke University Press Books(1996) 등이 있다.
시카고대학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드폴대학 교수를 거쳐, 현재 위스콘신 밀워키 대학의 교수로 재직 중이다. 19세기 동아시아의 서구화, 중국과 일본의 국제법과 국가주권, 자유주의 문제 등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저서로 Personal Liberty and Public Good: The Introduction of John Stuart Mill to Japan and China(2020), International Law and Japanese Sovereignty: The Emerging Global Order in the 19th Century(2016), Borders of Chinese Civilization Geography and History at Empire’s End Duke University Press Books(1996)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