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의 광기와 예술

동아시아 문인들의 자유와 창조의 미학
$41.04
SKU
9791155504352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31 - Thu 06/6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5/28 - Thu 05/30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0/12/30
Pages/Weight/Size 152*225*40mm
ISBN 9791155504352
Categories 인문 > 동양철학
Description
감행했으나 자유롭고
완고하지만 높으며
쓸쓸하여도 독립적인 한 정신을
우리는 광기라 불렀다

창조와 혁신의 세계에 가닿은
동아시아 문인·화가·명필들의
인문적 광기의 파노라마


광기어린 ‘광자(狂者)’, 고집스런 ‘견자(?者).’ 동양문화권에서 이들은 단순히 미치거나 유별난 사람이 아니었다. 부적응자, 반항아, 문제아처럼 언뜻 사회가 제시하는 틀에 들어맞지 않는 사람들로 보이지만, 이들은 정작 세상을 다르게 볼 줄 알고, 관성적 규칙 너머 새로운 영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었던 혁신가였다. 이들에 의해 동양의 철학과 예술은 살아 숨 쉬고 생기를 보존할 수 있었다.

이 책은 ‘광(狂)’자와 ‘견(?)’자의 의미를 중심에 두고 중국철학과 중국예술의 특징을 포괄적으로 재구성하면서, 저 자유롭고 독립적인 사유와 정신이 동아시아 시(詩)·서(書)·화(畵)의 예술에 스며든 자취를 흥미롭게 서사화한 연구서다.

오랜 시간 자신의 연구에서 유가와 노장의 지평을 확대해온 저자는, 이러한 동양의 광기는 정주이학자들이 사회·정치적 안정을 위해 윤리 차원에서 부정적으로 이해한 것을 제외하면, 철학·문화·예술 등 자유와 창조의 세계에 가닿는 ‘인문광기’의 차원으로 주목받아왔다고 결론 내린다. 성균관대학교출판부 학술기획총서 ‘知의회랑’의 열다섯 번째 책.
Contents
책을 열면서

제1부 철학에 나타난 광견관

|제1장| 광자정신에 관한 기초적 이해
1. 지언(至言)으로서 광언(狂言)
2. 광(狂)자 용례와 광자정신
3. 성(聖)과 광(狂)의 관계성
4. 광자에 대한 다양한 이해

|제2장| 유가의 광견관
1. 공자의 광견관
2. 유소의 중용을 기준으로 한 광견관

|제3장| 도가의 광언과 광자정신
1. 노자의 정언약반(正言若反)식 광언
2. 장자의 소요물화(逍遙物化)적 광언과 광자정신
3. 장자의 진아(眞我) 추구와 광자정신

|제4장| 음주문화와 위진의 임탄적 광
1. 음주문화의 긍정과 광기
2. 통음(痛飮)과 예술의 광기
3. 죽림칠현의 방외(方外)적 광기

|제5장| 송대 이학자들의 광자관
1. 광사 증점의 욕기영귀(浴沂?歸)
2. 주희의 욕기영귀 평가와 광자관
3. 증점의 광자 성향과 심광(心狂)

|제6장| 양명학의 광견관
1. 왕수인의 광자흉차(狂者胸次)의 광자정신
2. 이지의 애광(愛狂)의 광자관
3. 원굉도의 대용(大用)의 신광자관
4. 광선(狂禪), 광과 선의 결합

|제7장| 조선조 유학자들의 광견관
1. 조선조 학문 경향과 광견인식
2. 성(聖)과 광(狂)에 관한 견해와 광견인식
3. 광자보다 견자를 중시하는 사유

|제8장| 조선조 유학자의 욕기영귀 이해
1. 욕기영귀의 요순기상 적용에 관한 문제점
2. 시어에 나타난 욕기영귀
3. 신독(愼獨) 이후의 욕기영귀 추구

제2부 동양예술에 나타난 광기

|제9장| 서화 도통론과 광견에서 중행으로
1. 유가 중화미학의 지향점
2. 서예의 도통론(道統論)과 광견관
3. 회화의 정파론과 광견관

|제10장| 광견미학의 문예적 적용
1. 발분의식과 광
2. 도연명의 심원(心遠)적 광자정신
3. 문文의 독자성과 광기
4. 성령설(性靈說)과 문예적 광기

|제11장| 중국회화에 나타난 광견미학
1. 양해의 발묵과 광기화풍
2. 서위 대사의화(大寫意畵)의 광기
3. 화은(畵隱) 예찬의 견자화풍

|제12장| 중국서예에 나타난 광견미학
1. 장욱 광초(狂草)의 표일(飄逸)적 광기
2. 회소의 신선풍 광초(狂草)
3. 정섭의 육분반서(六分半書)와 광괴(狂怪)미학
4. 항목의 중행(中行) 중심주의 광견관

|제13장| 조선조 회화에 나타난 광견미학
1. 이단화풍과 주광(酒狂) 김명국
2. 광초희작(狂草戱作) 화풍과 최북
3. 장승업의 해의반박(解衣般?)과 광기
4. 임희지의 광탄한 삶과 광기
5. 조희룡의 아법(我法)과 노장철학
6. 이인상의 도광닉영(韜光匿影)과 견자화풍
7. 예찬을 닮고자 한 전기의 견자화풍

|제14장| 조선조 서예의 광견미학
1. 정주이학 중심주의와 조선조의 서풍 경향
2. 양사언의 유선(遊仙)적 광기서풍
3. 유몽인의 자휴광일(恣?狂佚)의 광자서풍
4. 이광사의 전광기도(顚狂?倒)적 광기서풍
5. 이삼만의 우졸(愚拙)적 광기서풍
6. 성수침의 남산유연(南山悠然)적 견자서풍
7. 황기로의 은일 지향적 광견서풍

책을 마치며
|보론| 광견정신을 이해하기 위한 자료

참고문헌

찾아보기

총서 ‘知의회랑’을 기획하며
Author
조민환
동양의 그림과 글씨 및 유물·유적에는 유가철학과 도가철학이 담겨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동양철학과 동양예술의 경계 허물기에 주력하면서 예술작품을 철학적으로 이해하는 새로운 눈을 제시해 왔다. 한국풍수명리철학회 회장, 도가·도교학회 회장, 도교문화학회 회장, 서예학회 회장, 동양예술학회 회장 등을 역임. 논저에 『동양의 광기와 예술』, 『동양예술미학산책』, 『중국철학과 예술정신』, 『유학자들이 보는 노장철학』, 『노장철학으로 동아시아문화를 읽는다』 등 다수의 글이 있다.
동양의 그림과 글씨 및 유물·유적에는 유가철학과 도가철학이 담겨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동양철학과 동양예술의 경계 허물기에 주력하면서 예술작품을 철학적으로 이해하는 새로운 눈을 제시해 왔다. 한국풍수명리철학회 회장, 도가·도교학회 회장, 도교문화학회 회장, 서예학회 회장, 동양예술학회 회장 등을 역임. 논저에 『동양의 광기와 예술』, 『동양예술미학산책』, 『중국철학과 예술정신』, 『유학자들이 보는 노장철학』, 『노장철학으로 동아시아문화를 읽는다』 등 다수의 글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