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ut of Print

한국 역사인구학연구의 가능성

$27.00
SKU
9791155501894

 

본 상품은 품절 / 절판 등의 이유로 유통이 중단되어 주문이 불가합니다.

이용에 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12/6 - Thu 12/12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12/3 - Thu 12/5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6/08/31
Pages/Weight/Size 153*224*30mm
ISBN 9791155501894
Description
이 책 『한국 역사인구학연구의 가능성』은 조선왕조 이후의 인구자료, 특히 호적(戶籍)과 족보(族譜)를 대상으로 당시의 인구현상을 밝히고자 한 논문들을 모았다. 과거의 인구현상을 밝히는 연구방법론을 ‘역사인구학’이라 한다. 이미 인구학자들이 한국의 역사인구학 논문을 여러 편 발표한 바 있으나, 여기서는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의 연구팀이 시도한 연구성과가 소개되어 있다. 주로 국내외 영문 저널에 발표된 논문들이 중심이나 본서 구성상의 필요에 따라 한두 편의 국내 논문을 추가해 완성도를 높였다.

역사인구학은 근대적인 인구센서스가 행해지기 이전 단계의 인구현상과 변동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인구센서스는 국민국가 건설을 위한 과학적 정치적 목적에 의거하여 인구를 조사하는 것에서 유래했다. 말하자면 ‘인구’란 개개인을 집단적이고 통계학적으로 파악하여 경제성장의 척도로 삼는 근대학문 분석 개념이다. 그리고 인구학, 혹은 인구통계학은 출생, 사망, 혼인, 이동과 같은 인구 요소에 대해 통계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이다. 또한 현재의 인구현상으로부터 미래의 인구 변동을 예측하기 위한 연구방법론이다. 말하자면 역사인구학은 과거의 인구자료에 인구학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과거의 인구 현상 및 변동을 분석하는 연구 분야라 할 수 있다.

역사인구학은 사회과학 분야로 분류되지만, 이제 사회경제사를 비롯하여 인류문명의 다양한 역사적 축적을 연구방법론에 수용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인식이 팽배해 있다. 동아시아 역사인구학 연구자들도 이 책의 출간을 계기로 서구의 인구학적 선진지역을 기준으로 하는 연구방법론을 재고하고, 가령 역사인구학의 ‘동아시아적 유형’을 제기하거나, 분석상의 전혀 다른 기준으로 새로운 연구방법론을 제시할 때가 오지 않을까 기대해본다.
Contents
머리말 5

1부 호적·족보 자료

개인과 호(戶)의 추적 - 단성 호적 자료의 시계열적 특징들/김건태?박현준?조혜정
1. 머리말 21
2. 자료 28
3. 결과들 34
4. 결론 48

가족사와 역사인구학 연구를 위한 한국 사료 소개/박현준?이상국
1. 서론 55
2. 한국 족보 58
3. 한국의 호적대장 64
4. 결론 70

13~15세기 한국의 혼인, 사회적 위상, 그리고 가족계승?안동권씨 성화보를 중심으로/이상국?박현준
1. 서론 75
2. 데이터 78
3. 안동권씨 족보에 기록된 자들 80
4. 혼인관계와 네트워크 기록의 기준 84
5. 결론 95

2부 출생과 사망

13~15세기 안동권씨성화보 등재에 미친 출생순위와 사회적 위상의 영향/이상국
1. 서론 101
2. 자료 104
3. 족보 기재의 결정요소 110
4. 결론 119

17세기 후반~18세기 전반 사회적 위상이 여성의 초산연령에 미친 영향/손병규?이상국
1. 서론 122
2. 자료와 데이터 세팅 125
3. 여성들의 초산연령 133
4. 여성들의 초산연령 추정 136
5. 함의와 결론 142

17~20세기 사망의 계절성의 장기 패턴/이상국?손병규
1. 머리말 148
2. 자료 152
3. 결과 155
4. 함의와 결론 164

3부 혼인

18세기 초혼과 재혼의 사회사?단성호적을 중심으로/김건태
1. 머리말 171
2. 여성 초혼연령 173
3. 남성 초혼연령 181
4. 활발한 재혼 풍습 185
5. 맺음말 197

18세기 도시와 농촌의 결혼양상?대구지역 사례/김건태
1. 머리말 200
2. 분석지역 현황 및 자료 208
3. 남녀 초혼연령 221
4. 활발한 재혼 풍습 235
5. 맺음말 244

조선시대 양반의 혼인연령과 재혼금지가 출산에 미치는 영향-문집, 족보를 중심으로/박희진
1. 머리말 249
2. 자료 251
3. 혼인연령 253
4. 여성의 재혼금지 257
5. 출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61
6. 마무리 264

4부 양자

조선왕조 17~19세기 농촌지역 남성재혼과 입양?단성지역 안동권씨 족보로부터/손병규
1. 머리말 271
2. 『안동권씨족보데이터베이스』에 등재된 인구 274
3. 남성의 재혼과 그 경향 281
4. 입양의 현상 288
5. 맺음말 298

조선시대 입양을 통한 가계 계승/김건태?박현준
1. 머리말 303
2. 연구 질문들 307
3. 자료 309
4. 입양 추이 313
5. 입양된 가계 계승자들의 사회 지위 317
6. 결론 320

조선후기 입양의 시점과 범위에 대한 분석/권내현
1. 머리말 326
2. 가계의 계승과 단절 328
3. 입양의 시점 336
4. 입양의 범위 344
5. 맺음말 352

5부 20세기 초의 인구이동과 토지

20세기 초반 서울의 연령별 인구이동 패턴 연구/계봉오?박희진
1. 서론 359
2. 선행연구 검토: 전근대 한국 사회에 대한 인구학적 연구들 361
3. 유럽과 서울의 인구이동과 도시발전 364
4. 역사적 맥락: 1900년 전후의 서울 367
5. 자료 369
6. 방법론 374
7. 결과 380
8. 요약 및 토론 392

토지 소유와 출산력 1914~1925/김건태?박현준
1. 머리말 403
2. 역사인구에서 나타난 사회경제적 지위와 출산 407
3. 자료, 샘플, 변수들 412
4. 결과 420
5. 토론 427

20세기 전반, 한국 농촌지역의 이주 동향?경상도 산청군 신등면의 사례/손병규?이상국
1. 서론 434
2. 방법론 436
3. 결과 437
4. 논의와 결론 446
Author
손병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