혜강 최한기 연구

$27.00
SKU
9791155501825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Wed 04/23 - Tue 04/29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Fri 04/18 - Tue 04/22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6/10/20
Pages/Weight/Size 153*223*30mm
ISBN 9791155501825
Categories 인문 > 한국철학
Description
실학사상의 거대한 전회(轉廻), 과학적 실학자 최한기의 모든 것

조선 후기의 실학자 혜강 최한기(1803~1877)는 선현들의 기철학(氣哲學)을 계승하여 고도로 발전시킨 동시에, 이전 실학자들이 도입해놓은 서양의 과학지식을 극대화시킨 인물이다. 나아가 최한기의 학문은 시민적 입장에 한 걸음 더 다가선 실학이었기에, 이른바 ‘실학사상과 개화사상의 가교자’로서 그의 사상사적 위치가 정립되기도 한다. 이 책은 최한기에 대해 다섯 명의 학자가 각기 주제―최한기 학문의 거시적 체계, 기학의 철학적 내용, 정치사상, 세계인식, 자연철학―로 심화된 연구를 진전시킨 후, 중간발표와 집담회를 거치면서 그의 사상과 학문의 입체를 구상해본 결과의 기록이다. 실학사상의 계승 발전을 위해 설립된 재단법인 실시학사가 중점적으로 추진하여 발간하는 ‘실학연구총서’의 열두 번째 책이다.
Contents
· 간행사 ? 실학연구총서를 펴내며
· 이 책을 내면서

· 최한기의 가계와 연표 / 이우성 /
1. 최한기의 가계
2. 최한기의 연표

· 최한기의 생애와 사상 / 이우성 /
1. 실학의 전회(轉回)
2. 양한정(養閒亭)
3. 개화사상의 가교(架橋)

· 최한기 기학(氣?)의 학문체계 탐구 / 손병욱 /
1. 머리말
2. 기학의 학문적 성격
3. 과학으로 본 기학
4. 기학의 학문적 독창성
5. 맺음말

· 최한기의 기학과 경험적 인식론 / 허남진 /
1. 기학(氣學)
2. 전통 학문―성리학(性理學), 노장(老莊), 불교(佛敎), 서교(西敎)
3. 신기(神氣)
4. 천지(天地)의 기(氣)
5. 형체(形體)의 기(氣)와 수(數)
6. 추측(推測)
7. 경험(經驗)과 윤리(倫理)
8. 맺음말

· 최한기 정치사상의 재조명 / 백민정 /
1. 들어가는 말
2. 최한기 철학에서 통민운화(統民運化)와 정치의 위상
3. 민원(民願)에 기반한 국인공치(國人共治)의 정치적 함의
4. 정치 공공성의 의미와 공론(公論)의 수렴 과정
5. 나가는 말

· 최한기의 기화론(氣化論)과 세계인식 / 권오영 /
1. 머리말
2. 기화와 운화 개념의 연원과 변모
3. 세계인식의 방법론과 범주
4. 기화와 인도 중심의 세계인식
5. 맺음말

· 최한기의 중력이론에 나타난 동서의 자연철학 / 전용훈 /
1. 머리말
2. 서양 중세의 자연철학과 중력이론의 전래
3. 기 중심적 자연철학과 중력이론의 탐색
4. 기학적 중력이론의 확립
5. 기륜설의 고안과 뉴턴 역학 비판
6. 맺음말

·『혜강 최한기 연구』 집담회

· 혜강 연구논저 목록
· 찾아보기
Author
이우성,손병욱,허남진,백민정,권오영,전용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