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찍이 위당 정인보 선생은 이렇게 말했다. “근세의 학자로서 이익과 안정복은 역사학으로 빼어났고, 정약용은 정치학으로 뛰어났다. 그러나 심대윤은 적막한 가운데 외롭게 지켜, 명성이 파묻히게 되었다. … 그러나 공정하게 논평하건대 정밀한 뜻과 빼어난 해석이 여러 학설 가운데에서 빼어났으니 삼한(三韓?조선) 경학의 밝은 빛이라 하겠다.”
백운(白雲) 심대윤(沈大允, 1806~1872). 증조부의 당화로 폐족 상태를 전전했지만, 생존을 위해 수공업에 종사하고 약국 운영도 마다치 않으며, 학문 연구에 몰두한 19세기 사상가이다. 하지만 당대에 그의 학문은 수구적이고 폐쇄적인 정신 풍토에서 제빛을 보지 못해 사장되어야만 했다. 여기저기 흩어져 있던 그의 글을 모아 영인한 [심대윤 전집](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원구원 刊, 2005)이 세상에 나온 것도 비교적 근래의 일이다.
이 책 [백운집]은 한문 원전 그대로였던 [심대윤 전집]을 현대의 독자들이 읽기 쉽게 우리말로 번역하고, 그에 세세한 주석을 붙인 것이다. 19세기 은둔의 삶을 살 수밖에 없었던 한 사상가의 삶의 고뇌와 그 사상의 정수가 오늘날의 언어로 고스란히 옮겨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