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에르케고어의 불안과 자유의 상관관계를 해석해 인간의 원천성에 대해 고찰하고, 정신분석학 또는 심층심리학의 사상적 연원으로써 불안의 개념 탐색”
국내에서 정신분석 연구가 활발함에도 불구하고 사상적 연원 측면에서 키에르케고어와 관련한 연구가 아직 일천한 현실이다. 이러한 차에 키에르케고어의 저작을 관통하는 불안과 자유의 상관관계를 해석해 인간의 원천성에 대해 세밀히 고찰하고, 현대사회에서 주목하는 정신분석학 또는 심층심리학의 사상적 연원으로써 불안의 개념을 탐색한 이 책의 출간은 매우 시의적절한 일이다.
키에르케고어가 불안을 통해 설명하려고 했던 인간의 내면적 본질에 대한 탐구는 현대 정신분석학과 심리학의 관심사인 개인의 우울이나 불안과 같은 현대적인 문제와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는 문제이기도 하다. 키에르케고어는 이전의 철학자들이 삶의 단편적 양상으로 바라보았던 불안을 인간의 본성과 관련해 탐구해야 할 중요한 가치로 보고 이를 철학사의 장으로 끌어들였다.
현대 문화에서 불안은 일반 대중의 상상력을 사로잡는 중요한 개념이 되고 있는데, 이는 인간 정신이 완전히 파악하지 못한 불투명한 내면의 지점과 관계하는 불안이 현대인들에게 이질화의 경험을 이끌며 인간의 삶에 대한 새로운 사유를 도출해 주고 있기 때문이다.
키에르케고어의 실존적 불안에 대한 심오한 해석은 두 세기가 지난 지금에도 여전히 매력적이다. 그는 실존적 개인성을 상실하게 만드는 일체의 시도에 맞서는 철학을 통해 새롭게 인간 주체를 인식할 수 있도록 물꼬를 튼 사상가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키에르케고어에게 있어 불안이란 무엇인가?
인간 내면의 복잡하고 헤아릴 수 없는 저 깊은 심연에서 모든 개인이 제각기 맞닥뜨릴 수밖에 없는 기분이 불안이다. 이런 불안은 죄를 짓기 이전의 평화와 안식의 상태인 순진함에서 출발한다. 맑고 깨끗한 순진무구함의 상태인 순진함은 처음으로 불안이 출현하는 상태이며, 다른 형태의 불안을 분석하기 위한 중요한 첫 지점이다. 순진함의 상태에서 만나는 불안은 장차 자기의식이 깨어날 때 뒤따를 자유를 예감하는 자신의 가능성에 대한 불안이다. 순진함으로서의 불안은 자아가 아직 완전히 자리를 잡지 못한 상태에서 발생했기 때문에 낮은 단계의 불안이라고 할 수 있다. 순진함의 상태에서의 불안은 정신이 전제되지만, 자기와 관계 맺는 것을 실패하는 절망 이전에 다가오는 것이다.
키에르케고어는 그의 저서 [불안의 개념]을 통해 인간에게 잠재된 불안을 구체화해 드러내준다. 여기서 논구한 불안은 인간학적 의미의 자유를 탐색한 실험적 심리학이었다. 불안에 대한 성찰은 개인에게 새로운 가능성을 창조할 수 있는 자유를 회복시켜준다. 자유는 새로운 가능성을 잉태하는 힘이기 때문이다. 현대사회에서 기존의 한계를 뛰어넘으려 전개하는 각종 형태의 혁신이라는 활동도 결국 키에르케고어가 이미 선취해 다룬 가능성의 불안과 다름없는 것이다.
구체적 존재로서 개인이 가능성에 대한 가능성으로의 미지의 가능성 앞에서 느끼는 ‘자유의 현기증’이 곧 불안이다. 가능성은 자기 안에서 ‘확장하는 요인’을 예감해 자기를 제약하는 부자유의 상태를 극복하도록 한다. 그렇기 때문에 현대적 의미에서 불안은 새로운 혁신이나 창의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면서 동시에 새로운 가능성을 잉태하는 자유와의 상관관계를 통해 인간의 원천성을 세밀하게 고찰할 수 있는 개념이다.
불안의 개념을 통해 인간이 스스로의 내면성을 회복하고자 하는 것은 현대 인간학의 과제이면서 동시에 종교에 미뤄놓은 과제이기도 하다. 인간은 진정한 내면성을 획득하기 위해 부단히 자신을 넘어서고자 하는데, 그것은 자유를 근거로 하는 초월을 통해 가능하다. 그래서 인간학적 의미의 자유를 고찰하는 철학의 역사 안에서 종교적이고 신학적 사유가 낳는 자유와의 양립 가능성에 대한 문제는 여전히 난제로 남아 있다.
Contents
서문
1장 실존과 불안
1. 실존적 불안과 내면성
2. 불안의 개념을 정초하기 위한 원죄의 해석
3. 불안에 얽매인 자유의 회복인 ‘반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