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스님

박헌영 아들 원경 대종사 이야기
$28.94
SKU
9791155311431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Mon 05/12 - Fri 05/16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Wed 05/7 - Fri 05/9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3/12/06
Pages/Weight/Size 122*188*30mm
ISBN 9791155311431
Categories 역사
Description
한 스님
― 한 사람의 삶이 들려주는 큰 이야기

한 스님이 있다. 혼외자, ‘빨갱이’ 자식, 소년 빨치산, 유디티 요원, 북파 공작원 교관, 탈영병, 무술 고수, 한국판 강제 노동 수용소 국토건설단 단원, 음독자살 시도, 가명 14개 사용, 역사 관련 연구소 설립, 조계종 원로회의 부의장. 언뜻 어울리지 않는 조합이다. 이런 일을 모두 겪은 한 사람이 있다. 원경 스님(1941~2021)이다. 2021년 12월 6일, 원경 스님이 경기도 평택시 만기사에서 입적했다. 2023년 12월 6일, 원경 스님 입적 2주기를 맞아 평전 『한 스님』이 출간됐다.

한국 불교계를 대표하는 중요 인물이라 종교학자가 쓴 평전일 법하지만 지은이는 한국 정치를 연구하는 정치학자 손호철(서강대학교 명예 교수)이다. 정치학자가 종교인을 다룬 평전을 쓴 이유가 중요하다. 두 사람이 오랫동안 가까이 지낸 사이이기도 하지만 원경 스님의 일생이 이념 갈등과 전쟁, 학살 같은 ‘한국 현대사의 비극’과 ‘한반도의 모순’을 응축하고 있기 때문이다. 원경 스님의 속명 박병삼 앞에는 늘 ‘박헌영의 아들’이라는 수식어가 붙는다. 사회주의 독립운동가 박헌영(1900∼1956) 말이다. 손호철은 원경 스님과 모친 정순년이 생전에 한 구술, 현지답사, 인터뷰, 자료 조사를 바탕으로 ‘그리움의 족쇄를 끊으려 정처 없이 떠돈 한 영혼’의 80년 삶을 개인적이고 정치적인 맥락에서 들려준다. 『한 스님』은 원경 스님과 어머니 정순년이 구술한 회상과 역사적 사실에 기초한 ‘다큐멘터리’이지만 생생함을 더하려 대화를 집어넣어 소설 형식을 띠며, 가계도와 연대기, 주요 등장인물 해설 등을 부록으로 실어 독자의 이해를 돕는다.
Contents
발간사 그리운 우리 스님, 원경 스님│김세균(원경모임 대표)
서문 나는 왜 쓰는가

1부 버려진 소년

복수│아버지의 죽음│잘못된 만남│아지트 키퍼│박헌영의 아들│업│아버지를 만나다│짧은 행복│월북│폭풍 전야│이현상│버려진 소년│실패한 구출 작전│구세주│지리산으로│머리를 깎다│〈부용산〉

2부 소년 빨치산

전쟁의 포화 속으로│노근리│과천│인천 상륙 작전│관음암│구인사│상월 스님│가마골│다시 만난 이현상│남부군│‘삼금’과 ‘세 가지 각오’│가짜 이현상│소년 빨치산│석실│네이팜탄│하수복│하산│이현상 구출 작전│별이 떨어지다│갈칫국 기적│두 죽음│〈눈물 젖은 두만강〉

3부 복수심을 버리다

수련과 멸치 소동│방황, 대리 입대, 유디티│탈영과 수계│자수│어머니를 만나다│한 여자의 기구한 삶│음독자살│울릉도│복수심을 버리다│제선 스님│반란의 섬 제주도│강제 노동 수용소│사라진 한산│ 모정│현판 절도 사건│가호적│납치│기이한 도둑

4부 공수래공수거

재야│‘빨갱이 새끼 중’│한산의 흔적│교통사고│안기부│사상 기행│역사문제연구소│신륵사│커밍아웃 1│커밍아웃 2│‘이정상’│아버지 흔적을 찾아서│7월 19일│당취│만기사│대원각│《이정 박헌영 전집》│박정희와 박헌영│《못 다 부른 노래》│세 탑│공수래공수거│박사보다 높은 밥사와 술사│원로회의 부의장│《무너진 하늘》│흔적을 찾아서│아버지 곁으로

부록
1. 원경 스님 가계도
2. 원경 스님 연대기
3. 주요 등장인물
4. 참고 자료
5. 원경 스님 관련 글 모음
Author
손호철
화가를 꿈꾸다 서울대학교 정치학과로 진학했다. 선배를 잘못 만나 운동권이 됐고, 제적, 투옥, 강제 징집을 거쳐 8년 만에 졸업했다. 어렵게 기자가 됐지만, 신군부가 저지른 ‘1980년 광주 학살’에 저항하다 유학을 가야 했다. 귀국한 뒤 서강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일하며 사회과학대 학장과 대학원장 등을 지냈다. 2018년 정년을 마친 뒤 서강대학교 명예 교수로 있으면서 정의당 정의정책연구소 이사장을 맡고 있다. 한국정치연구회 회장, 복지국가연구회 회장, 《진보평론》 공동대표, 민주화를 위한 전국교수협의회 상임의장, 국정원 과거사건진실규명을 통한 발전위원회(국정원 진실위) 위원, 간행물윤리위원회 좋은책 선정위원 등을 지내며 진보적 학술 활동과 사회운동을 펼쳐왔다. 《국가와 민주주의》, 《한국과 한국 정치》, 《촛불혁명과 2017년 체제》 등 이론서, 《유신 공주와 촛불》, 《빵과 자유를 위한 정치》 등 정치평론집, 《즐거운 좌파》라는 에세이를 냈다. 여행과 사진 찍기를 좋아해 《마추픽추 정상에서 라틴아메리카를 보다》, 《카미노 데 쿠바 ? 즐거운 혁명의 나라 쿠바로 가는 길》, 《물속에 쓴 이름들 ? 마키아벨리에서 그람시까지, 손호철의 이탈리아 사상 기행》, 《레드 로드 ? 대장정 15500킬로미터, 중국을 보다》, 《키워드 한국 현대사 기행》(전 2권) 등 역사 기행서와 《슈팅 이미지》(공저)라는 사진집을 냈으며, ‘제1회 포토코리아 사진전’에 초대 작가로 참여해 ‘대륙의 꿈’이라는 사진전을 열었다. 마키아벨리와 그람시 로드를 시작으로 로자 룩셈부르크 로드, 레온 트로츠키 로드 등 진보 사상 기행을 준비하고 있다.
화가를 꿈꾸다 서울대학교 정치학과로 진학했다. 선배를 잘못 만나 운동권이 됐고, 제적, 투옥, 강제 징집을 거쳐 8년 만에 졸업했다. 어렵게 기자가 됐지만, 신군부가 저지른 ‘1980년 광주 학살’에 저항하다 유학을 가야 했다. 귀국한 뒤 서강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일하며 사회과학대 학장과 대학원장 등을 지냈다. 2018년 정년을 마친 뒤 서강대학교 명예 교수로 있으면서 정의당 정의정책연구소 이사장을 맡고 있다. 한국정치연구회 회장, 복지국가연구회 회장, 《진보평론》 공동대표, 민주화를 위한 전국교수협의회 상임의장, 국정원 과거사건진실규명을 통한 발전위원회(국정원 진실위) 위원, 간행물윤리위원회 좋은책 선정위원 등을 지내며 진보적 학술 활동과 사회운동을 펼쳐왔다. 《국가와 민주주의》, 《한국과 한국 정치》, 《촛불혁명과 2017년 체제》 등 이론서, 《유신 공주와 촛불》, 《빵과 자유를 위한 정치》 등 정치평론집, 《즐거운 좌파》라는 에세이를 냈다. 여행과 사진 찍기를 좋아해 《마추픽추 정상에서 라틴아메리카를 보다》, 《카미노 데 쿠바 ? 즐거운 혁명의 나라 쿠바로 가는 길》, 《물속에 쓴 이름들 ? 마키아벨리에서 그람시까지, 손호철의 이탈리아 사상 기행》, 《레드 로드 ? 대장정 15500킬로미터, 중국을 보다》, 《키워드 한국 현대사 기행》(전 2권) 등 역사 기행서와 《슈팅 이미지》(공저)라는 사진집을 냈으며, ‘제1회 포토코리아 사진전’에 초대 작가로 참여해 ‘대륙의 꿈’이라는 사진전을 열었다. 마키아벨리와 그람시 로드를 시작으로 로자 룩셈부르크 로드, 레온 트로츠키 로드 등 진보 사상 기행을 준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