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와 민주주의

새로운 진보 정치학의 모색
$25.92
SKU
9791155310922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Mon 05/12 - Fri 05/16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Wed 05/7 - Fri 05/9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8/02/09
Pages/Weight/Size 128*188*35mm
ISBN 9791155310922
Categories 사회 정치 > 사회비평/비판
Description
낡은 국가와 새로운 민주주의 ?새로운 진보 정치학의 가능성을 묻는다

‘손호철의 사색’ 시리즈의 1권 『국가와 민주주의 ?새로운 진보 정치학의 모색』은 마르크스주의 정치학의 시각에서 진보적 정치 이론에 관해 쓴 글들을 모았다. ‘새로운’ 진보 정치학의 모색이라는 부제에서 알 수 있듯이, ‘멸종 위기의 희귀종’인 마르크스주의 연구자로서 마르크스주의의 핵심을 굳게 지키면서도 형해화된 원칙과 훈고학적 문헌 연구에 머물지 않고 변화된 상황에 걸맞은 이론적 혁신을 모색한 지적 기록이다.

1부인 ‘정치와 정치학’은 사회과학과 정치에 관한 존재론적 의문에서 시작해 진보 정치학의 과제와 방법 등을 주제로 한 글들을 모았다. 먼저 마르크스주의의 관점에서 현대 주류 사회과학의 이데올로기적 성격을 살펴본다. 또한 보수주의, 자유주의, 마르크스주의, 포스트마르크스의의 관점에서 정치란 무엇인지 묻는다. 이어서 현실 사회주의의 붕괴와 포스트주의의 유행 속에서 새로운 진보 정치학이 무엇을 고민하고 어떻게 연구해야 할지를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신자유주의 시대 대학이 나아갈 방향을 정치학자의 관점에서 ‘포스트 신자유주의 대학’이라는 문제의식 아래 제시한다.

2부 ‘국가와 권력’은 마르크스주의 국가론의 핵심 문제인 국가자율성 문제부터 공장법 분석 등에 나타난 카를 마르크스의 국가론, 국가론 관련 개념들의 사용법, 이른바 ‘신좌파’ 국가론을 대표하는 니코스 풀란차스의 구조주의 국가론, 아직까지는 가장 개선된 네오마르크스주의 또는 신좌파 국가론이라 부를 수 있는 밥 제솝의 전략관계적 국가론, 포스트주의 이론가인 미셸 푸코의 권력론 등을 다룬다. 또한 3부 ‘민주주의, 자유주의, 사회주의’는 미국 『연방주의 교서』에 관한 비판적 독해에서 시작해, 자유민주주의로 대표되는 자유주의에 관한 비판을 비롯해 페레스트로이카 이후에 펼쳐진 민주주의 관련 논쟁과 재평가에 관련된 문제, 사회주의와 민주주의, 신자유주의 시대의 선거와 사회 정책의 연관성, 현대 미국 사회의 변동과 정당 정치의 변화, 마르크스주의와 선거에 이르는 다양한 이론적 문제들을 분석한다.

그사이 이론(현실 분석 틀), 운동(변혁 운동), 체제(사회주의) 수준에서 마르크스주의는 위기에 빠지고 투자 대비 산출의 ‘가성비’도 떨어졌지만, 아직 변함없는 세상의 질서 속에 다른 가능성을 보여주는 대안으로서 여전히 유효하다.


Contents
‘손호철의 사색’을 펴내며
머리말

1부 정치와 정치학

1장 사회과학, 과학인가 이데올로기인가 ?학문의 ‘이데올로기’적 성격과 마르크스주의
2장 정치란 무엇인가 ?보수주의, 자유주의, 마르크스주의, 포스트마르크스주의의 관점
3장 진보 정치학, 무엇을 할 것인가
4장 새로운 정치학을 위한 모색 ?대안 교재를 중심으로
5장 신자유주의 시대의 대학 ?자본의 ‘지식 공장’과 ‘인력 공장’을 넘어서

2부 국가와 권력

1장 국가자율성의 과학적 이해
2장 공장법 분석과 마르크스의 자본주의 국가론
3장 ‘계급 지배의 도구’로서의 국가와 ‘도구주의적’ 국가
4장 자본주의 국가, 총자본인가 자본분파인가
5장 국가자율성, 국가능력, 국가강도, 국가경도
6장 니코스 풀란차스의 국가 이론
7장 밥 제솝의 ‘전략-관계적’ 국가론 ?마르크스주의 국가론의 최후의 보루?
*보론* 전략-관계적 국가론, 그 이후
8장 푸코의 권력론 읽기 ?무늬만의 탈근대성

3부 민주주의, 자유주의, 사회주의

1장 미국 『연방주의 교서』 비판
2장 자유민주주의와 선거
3장 민주주의의 이론적 문제
4장 페레스트로이카 이후 새로운 민주주의론
5장 새로운 세계 질서와 민주주의
6장 ‘다원민주주의적’ 정치 질서와 정당
7장 신자유주의 선거와 사회정책
8장 현대 미국 사회의 변동과 정당 정치의 변화 ?보수화의 기원을 다시 생각한다
9장 마르크스주의와 선거


참고 문헌
Author
손호철
화가를 꿈꾸다 서울대학교 정치학과로 진학했다. 선배를 잘못 만나 운동권이 됐고, 제적, 투옥, 강제 징집을 거쳐 8년 만에 졸업했다. 어렵게 기자가 됐지만, 신군부가 저지른 ‘1980년 광주 학살’에 저항하다 유학을 가야 했다. 귀국한 뒤 서강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일하며 사회과학대 학장과 대학원장 등을 지냈다. 2018년 정년을 마친 뒤 서강대학교 명예교수로 있으면서 정의당 정의정책연구소 이사장을 맡고 있다. 한국정치연구회 회장, 복지국가연구회 회장, 『진보평론』 공동대표, 민주화를 위한 전국교수협의회 상임의장, 국정원 과거사건진실규명을 통한 발전위원회(국정원 진실위) 위원, 간행물윤리위원회 좋은책 선정위원 등을 지내며 진보적 학술 활동과 사회운동을 펼쳐왔다. 『국가와 민주주의』, 『한국과 한국 정치』, 『촛불혁명과 2017년 체제』 등 이론서, 『유신 공주와 촛불』, 『빵과 자유를 위한 정치』 등 정치평론집, 『즐거운 좌파』라는 에세이를 냈다. 여행과 사진 찍기를 좋아해 『마추픽추 정상에서 라틴아메리카를 보다』, 『레드 로드 ― 대장정 13800Km 중국을 보다』 등 역사 기행서와 『슈팅 이미지』(공저)라는 사진집을 냈으며, ‘제1회 포토코리아 사진전’에 초대 작가로 참여해 ‘대륙의 꿈’이라는 사진전을 열었다. 마키아벨리와 그람시 로드를 시작으로 로자 룩셈부르크 로드, 레온 트로츠키 로드 등 진보 사상 기행을 준비하고 있다.
화가를 꿈꾸다 서울대학교 정치학과로 진학했다. 선배를 잘못 만나 운동권이 됐고, 제적, 투옥, 강제 징집을 거쳐 8년 만에 졸업했다. 어렵게 기자가 됐지만, 신군부가 저지른 ‘1980년 광주 학살’에 저항하다 유학을 가야 했다. 귀국한 뒤 서강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일하며 사회과학대 학장과 대학원장 등을 지냈다. 2018년 정년을 마친 뒤 서강대학교 명예교수로 있으면서 정의당 정의정책연구소 이사장을 맡고 있다. 한국정치연구회 회장, 복지국가연구회 회장, 『진보평론』 공동대표, 민주화를 위한 전국교수협의회 상임의장, 국정원 과거사건진실규명을 통한 발전위원회(국정원 진실위) 위원, 간행물윤리위원회 좋은책 선정위원 등을 지내며 진보적 학술 활동과 사회운동을 펼쳐왔다. 『국가와 민주주의』, 『한국과 한국 정치』, 『촛불혁명과 2017년 체제』 등 이론서, 『유신 공주와 촛불』, 『빵과 자유를 위한 정치』 등 정치평론집, 『즐거운 좌파』라는 에세이를 냈다. 여행과 사진 찍기를 좋아해 『마추픽추 정상에서 라틴아메리카를 보다』, 『레드 로드 ― 대장정 13800Km 중국을 보다』 등 역사 기행서와 『슈팅 이미지』(공저)라는 사진집을 냈으며, ‘제1회 포토코리아 사진전’에 초대 작가로 참여해 ‘대륙의 꿈’이라는 사진전을 열었다. 마키아벨리와 그람시 로드를 시작으로 로자 룩셈부르크 로드, 레온 트로츠키 로드 등 진보 사상 기행을 준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