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200만 명 시대, 우리는 삶의 역동성에 중독된 지정학적 나그네다. 어제는 런던 뉴몰든에서 조선족이 일하는 한국 식당에 가 3개 국어 메뉴판을 펼치고, 오늘은 중국 칭다오에서 한족과 조선족이 섞여 일하는 공장을 돌아보며, 내일은 서울 대림동 차이나타운에서 조선족 육아 도우미하고 함께 탈북자가 가져다주는 중국 음식을 먹는다. 평생직장의 잔해 위에서 더 좋은 ‘잡’을 찾아 구인 사이트를 뒤지며, ‘헬조선’을 떠나 북유럽 이민을 꿈꾸고, 목숨걸고 국경 넘어 불법 이민자로 살며, ‘먼 거리 가족’을 견뎌내는 ‘가족의 곳간’이 된다. 경제적 가난, 불확실한 미래, 내 집 마련의 꿈, 사회적 압력 등 ‘경쟁의 지리학’ 속에 떠날 기회만 노리는 우리는 ‘불안’과 ‘역동성’에 포획된 중독자다. 이동의 계급성에 좌절하고 점증하는 양극화에 내몰리는 정처 없는 월경자다. 뉴몰든, 칭다오, 서울에서, 우리는 모두 조선족이다.
『우리는 모두 조선족이다』는 이민자가 이민자를 만난 기록이다. 신혜란 서울대학교 지리학과 교수는 2010년부터 2014년까지 현지 조사와 인터뷰 등 질적 연구 방법을 써 런던, 칭다오, 서울에 사는 조선족과 북한 출신 이민자들을 연구하다가 자기도 이민자라는 사실을 깨닫는다. 신혜란 교수는 학교를 옮기고, 유학을 가고, 전공을 달리하고, 사는 곳을 바꿨다. 조선족은 사는 곳을 옮기고, 직업을 갈고, 나라를 바꿨다. 정처 모를 정체성들이었다.
Contents
머리말 / ‘지리’하지 않은 공감의 지리학
1장 / 떠남 ― 세 도시 이야기
“나라를 잘못 만나 떠돌아다니는 사람들”|조선족, 중국 조선족|런던, 칭다오, 서울|눈 굴리기, 눈 돌리기
2장 / 삶을 떠나다 ― 살 만한 곳 찾아 어쩌다 보니
“왜 엄마는 아직 여기 있어?” ― 내모는 힘과 당기는 힘|왜 굳이 런던, 칭다오, 서울|“이제 살았구나” ― 런던 뉴몰든에서 보낸 첫날|“영국 가면 호미로 금을 긁는다” ― 리경옥 씨 이야기|은인, 얌체, 사기꾼
3장 / 건너온 사람들― 합법과 불법 사이에 머물다
합법, 불법, 초법|“목숨 걸고 왔다” ― 스무 나라 찍고 영국으로 데려오는 브로커의 힘|신분 없는 사람들 ― 불법과 합법 사이 그 조그만 비자|“이 없으면 잇몸으로 산다” ― 법과 문화를 뛰어넘는 삶의 지혜|“큰일나는 것도 없어요” ― 북한 난민 신청의 유혹|“내가 불법이니까 나한테 말해요” ― 없는 듯 꽤 있는 서울의 불법 체류자|“이게 다 브로커 때문이다” ― 더 많은 돈을 쓰는 불법 체류자들
4장 / 모여 살기 ― 떠나온 이들의 방, 집, 동네
뉴몰든 함지박 식당 ― 지혜와 요령 사이 조선족의 런던살이|알고도 모르는 척 ― 조선족과 집 맡기의 경제학|같은 집 사는 사람, 같은 말 하는 친구|대림동 ― 서울 하늘 아래 조선족 동네|“요즘 이 동네 다 춘장 냄새예요” ― 장밋빛 인생에 끼어든 차이나 블루
5장 / 여기에도 있고 저기에도 있는 ― 적응, 동화, 비교, 분석
스카이프, 카카오톡, 페이스북 ― 다중 정체성과 미래의 다문화 사회|“한국 사람들도 힘들었을 거예요” ― 착취와 공생 사이에서|“우리는 조선족이라서 한 민족이니까” ― 칭다오로 간 조선족 구일 씨|“뿌 하우 이스” ― 칭다오로 간 한국인 사장들|여기가 한국도 아니고 우리 땅인데|“한족은 한국말 한국 사람은 중국말” ― 칭다오에서 사라지는 조선족 중간 관리자|도왔는데 오히려 설 자리가 없어졌다
6장 / 브리티시 차이니즈 코리언 ― 나는 어느 나라 사람이냐고 묻는 조선족 아이들
월드컵과 조선족 ― 어느 나라를 응원하는지 묻는 다문화 사회|“둘 다 내 나라예요” ― 낳아준 어머니 한국, 길러준 어머니 중국|브리티시 차이니즈 코리언 ― 도대체 나는 어느 나라 사람일까|“조선 사람이라고 생각하고 살았어요” ― 나라 없는 사람들이 모인 런던 조선족협회|“삶의 운명을 개변하는 거지!” ― 조선족 여성이 얘기하는 조선족
7장 / 사람이 제도다 ― 조선족들하고 가까이 지내는 한국 사람들
당연한 다문화 혜택 대 다문화 쇼핑|조선족을 대표할 구 의원? ― 국적 취득한 조선족과 정치인이 하는 속계산|법은 멀고 사람은 가깝고 ― 조선족 돌보는 한국인 최성길 씨|우리 경찰 형님 ― 대림동 동포들하고 축구 하는 한범식 씨
8장 / 조선족의 조선족 ― 차별받는 다른 쪽 조선인, 탈북자
3등 국민 ― 조선족보다 차별받는 탈북자들|진짜 탈북자와 가짜 탈북자 ― 조선족과 탈북자 사이의 거리감 또는 존재감|난민들의 나라 영국의 끼리끼리 네트워크
9장 / 먼 거리 가족 ― 삶 속에 들어온 경쟁의 지리학
떨어져 사는 우리, 아직 가족일까|“잘 받았어. 고생했어” ― 가족의 곳간이 되다|우리는 아직 가족인가 ― 시간이 지나면서 나도 변하고 가족도 변한다|“떨어져 살 때보다 걱정이 두 배” ― 다시 합쳐도 걱정|가족의 재탄생 또는 시대병
10장 / “십자가를 찾아가라” ― 떠나온 이가 잡은 ‘하나님’
뿌리 없는 이민자, 뿌리 깊은 종교|“한국 사람도 북한 사람도 아니었다” ― 뉴몰든 조선족 교회 박동욱 씨|‘조선족교회’에서 ‘한민족교회’로, 그러나 계속 있는 금|“교회 밥은 공짜 밥이었어요” ― 기독교 안에서 위안받는 리경옥 씨 이야기|김일성과 김정일 대신 ‘하나님’ ― 런던의 북한 교회|“이제는 익숙해져서 우리나라 같다” ― 쉼터와 교회, 서울 조선족의 안식처
11장 / 중국으로 돌아갈까? ― 돌아가려고 떠난 이들의 떠나오기
떠나기와 돌아가기|금의환향 ― 미루어진 마감과 실패한 꿈 사이에서|“가도 문제예요” ― 영국살이에 익숙해진 떠나온 이들|“여기는 자유가 있다” ― ‘왔다갔다’가 몸에 밴 서울 조선족
12장 / 남의 땅 나의 삶 ― 나그네는 한 나라에 머물지 않는다
역마살 ― 나그네 삶의 정체성|지정학적 나그네 ― 강하고 독하고 실용적인 조선족|“적응하는 수밖에 없다” ― 이동의 시대를 살아가는 중간자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