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만 체계이론에 의한 유교의 상호 소통 가능성 -유교정치 체계와의 교섭을 중심으로-│양해림
1. 들어가는 말
2. 루만의 체계이론
3. 맺는말: 체계이론과 유교의 현대적 의미
탈유교사회 중국의 정치문화와 유학 부흥현상│김명희
1. 들어가며
2. 중국 현대사에서 유학의 쇠락
3. G2가 된 중국에서 유학의 부흥
4. 나오며
개항기 신문 매체를 통해 본 공론 개념의 의미장 -『한성순보』·『한성주보』·『독립신문』을 중심으로-│문경득
1. 들어가며
2. 개항기 신문 매체의 공론 개념 분석
3. 개항기 공론 개념 의미장의 변화
4. 나가며
근대 전환기 호남의 공론장과 유학적 관계망 -호남학회와 『호남학보』를 중심으로-│황태묵
1. 들어가며
2. 공론장의 형성 과정과 공론 표출 양상
3. 지식인 공동체의 성격과 유학적 관계망
4. 나가며
2부│ 탈유교사회의 문화와 정책
정인보의 조선 유교와 한국 고대사 인식 -「오천 년간 조선의 얼」을 중심으로-│류시현
1. 머리말
2. 정인보의 조선 유교에 관한 이해
3. 정인보의 ‘얼’ 사상과 민족사의 구상
4. 정인보의 한국 고대사 인식과 서술
5. 맺음말
식민지기 조선 기독교회의 자립론에 관한 일고찰 -1930년대를 중심으로-│배귀득
1. 들어가며
2. 조선 교회의 ‘자립’과 ‘해외 전도’
3. 1930년대 조선인 기독교 신자의 서구 선교사로부터의 독립 문제
4. 신사참배 거부 문제 -미션스쿨의 폐교 및 경영권을 둘러싼 문제
5. 나가며
빈민에 대한 차별적 관리, 유교와 근대 통치의 관계│김윤희
1. 들어가는 글
2. 조선 사회의 빈민, 적자와 비류의 경계
3. 『서유견문』의 빈민, 자기결정권을 인정받는 자와 그렇지 못한 자의 경계
4. 생산적 노동 인력으로서의 빈민
5. 구제의 효과를 스스로 증명해야 하는 존재
6. 나오는 글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의 향약정책 -관북향약(關北鄕約)을 중심으로?│장순순
1. 머리말
2. 1920년 향약 실태와 조선총독부 당국의 향약 조사
3. 관북향약의 제정과 특징
4. 조선총독부의 향약정책과 관북향약
5. 맺음말
식민지 조선의 사상정화공작(思想淨化工作)과 향약(鄕約)·자위단(自衛團)│미즈노 나오키
1. 머리말
2. 함경북도 남3군(南三郡)의 사상정화공작과 향약
3. 사상정화공작과 자위단
4. 자위단의 확대와 그 변용
5.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