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석 세트

$129.60
SKU
9791155222027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4/18 - Thu 04/24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4/15 - Thu 04/17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9/12/31
Pages/Weight/Size 154*225*55mm
ISBN 9791155222027
Categories 인문 > 한국철학
Description
『연석(燕石)』은 한국고전번역원 한국문집번역총서로, 전주대학교 한국고전학연구소에서 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고전번역원의 지원을 받아 수행하였다.

유언호는 영조와 정조 시대의 정치가이자 문장가로 활발한 활동을 했던 것에 비해 현존하는 저작이 많지 않고, 문집은 생존했을 때도 사후에도 간행된 바가 없다. 여기에서 저본으로 한 장서각 소장 13책의 『연석』은 유언호의 글을 묶은 것으로, 필사되어 있는 사본(寫本)이다.
Contents
국역 연석 1책

해제 - 《국역 연석》
제1권
서 序
제2권
기 記
제3권
제발 題跋
제4권
찬 贊
명 銘
잠 箴
상량문 上樑文
교서 敎書
전문 箋文
옥죽책 玉竹冊
제5권
서 書
소 疏

국역 연석 2책

제6권
묘지명 墓誌銘
제7권
묘갈명 墓碣銘
묘표 墓表
비명 碑銘

국역 연석 3책

제8권
축문 祝文
제문 祭文
유사 遺事
몽연 蒙演
제9권
제문 祭文
애사 哀辭
유사 遺事

국역 연석 4책

제10권
소 疏
차 箚
계 啓
의 議
제11권
논 論
서 序
발 跋
제12권
의 義
강의 講義
제13권
전 傳
명의록단 明義錄斷
내각고사 內閣故事
Author
유언호,오항녕
1730(영조6)~1796(정조20).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기계(杞溪), 자는 사경(士京), 호는 즉지헌(則止軒), 시호는 충문(忠文)이다. 1761년(영조37)에 정시(庭試) 병과(丙科)에 합격하여, 시강원ㆍ승정원ㆍ사간원ㆍ홍문관의 여러 벼슬들을 역임하였다. 1771년에 권진응(權震應)이 영조가 당쟁의 폐해를 논한 책인 《엄제방유곤록(儼堤防裕昆錄)》을 비판하여 관직에서 해임되자 유언호가 권진응을 구원하는 차자(箚子)를 올렸는데, 당론을 비호한다는 죄목으로 남해(南海)로 유배되었다. 이후 1776년에 정조가 즉위하자 규장각 직제학이 되었고 이어 《명의록(明義錄)》의 편찬을 주관하였다. 1787년(정조11)에 우의정에 올랐다. 1788년 12월에 정조가 노론을 비판했던 조덕린(趙德?)의 손자인 조진도(趙進道)를 복과(復科)시키는 일을 논의하기 위해 대신들을 불렀을 때 병을 핑계로 들어오지 않은 일로 제주도 대정현(大靜縣)에 유배되었다가 3년 후에 풀려났다. 1795년에 좌의정이 되었다가 이듬해 세상을 떠났다. 1802년(순조2)에 정조묘(正祖廟)에 배향되었다. 춘궁(春宮)의 관원으로서 세손 시절부터 정조를 잘 보호하여 즉위 후 지극한 예우를 받았으며, 의리를 우선해서 조제하는 정조의 탕평책을 옹호하였다. 저서로 《즉지헌집(則止軒集)》·《연석(燕石)》 등이 전한다.
1730(영조6)~1796(정조20).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기계(杞溪), 자는 사경(士京), 호는 즉지헌(則止軒), 시호는 충문(忠文)이다. 1761년(영조37)에 정시(庭試) 병과(丙科)에 합격하여, 시강원ㆍ승정원ㆍ사간원ㆍ홍문관의 여러 벼슬들을 역임하였다. 1771년에 권진응(權震應)이 영조가 당쟁의 폐해를 논한 책인 《엄제방유곤록(儼堤防裕昆錄)》을 비판하여 관직에서 해임되자 유언호가 권진응을 구원하는 차자(箚子)를 올렸는데, 당론을 비호한다는 죄목으로 남해(南海)로 유배되었다. 이후 1776년에 정조가 즉위하자 규장각 직제학이 되었고 이어 《명의록(明義錄)》의 편찬을 주관하였다. 1787년(정조11)에 우의정에 올랐다. 1788년 12월에 정조가 노론을 비판했던 조덕린(趙德?)의 손자인 조진도(趙進道)를 복과(復科)시키는 일을 논의하기 위해 대신들을 불렀을 때 병을 핑계로 들어오지 않은 일로 제주도 대정현(大靜縣)에 유배되었다가 3년 후에 풀려났다. 1795년에 좌의정이 되었다가 이듬해 세상을 떠났다. 1802년(순조2)에 정조묘(正祖廟)에 배향되었다. 춘궁(春宮)의 관원으로서 세손 시절부터 정조를 잘 보호하여 즉위 후 지극한 예우를 받았으며, 의리를 우선해서 조제하는 정조의 탕평책을 옹호하였다. 저서로 《즉지헌집(則止軒集)》·《연석(燕石)》 등이 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