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 원인조사론

$24.12
SKU
9791141037208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9 - Thu 05/15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5/6 - Thu 05/8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3/07/25
Pages/Weight/Size 148*210*20mm
ISBN 9791141037208
Categories 대학교재 > 사회과학 계열
Description
재난 원인조사론 책은 재난의 원인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대응 전략과 예방 방법을 제시하는데 초점을 맞춘 책이다.
Contents
1. 서론
1.1. 책의 목적 및 범위 8
1.2. 타겟 독자 소개 9
1.3. 책의 필요성 11
 
2. 재난 원인 조사의 중요성
2.1. 인명 구조 및 자산 보호 15
2.2. 예방 및 대비책 발굴 16
 
3. 재난 원인의 분류
3.1. 구조적 원인 19
3.1.1. 인프라 불완전성 21
3.1.2. 건축 설계와 공사 방법 22
3.2. 기술적 원인
3.2.1. 설비 고장 및 부적절한 유지보수 25
3.2.2. 신기술 도입과 관련된 잠재 위험 28
3.3. 인적 원인
3.3.1. 인식 부족 및 교육 미비 32
3.3.2. 직무유기 및 에러 34
3.4. 환경적 원인
3.4.1. 기후변화 영향 36
3.4.2. 인구 밀도와 접촉 확률 37
4. 재난 원인 조사 방법론
4.1. 조사 과정 및 대상 선정 41
4.1.1. 기존 연구 및 사례 분석 43
4.1.2. 탐색적 조사 45
4.2. 데이터 수집 및 분석 47
4.2.1. 정량적 방법론 49
4.2.2. 정성적 방법론 50
4.3. 실험 및 연구 52
4.3.1. 실험 설계 및 방법론 53
4.3.2. 연구 및 관찰 기법 56
4.4. 인터뷰 및 정보 검증 58
4.4.1. 전문가 인터뷰 60
4.4.2. 현장 조사 및 영상 분석 61
 
5. 실제 재난 사례와 원인 분석
5.1. 사례별 재난 원인 조사 및 논의 64
5.1.1. 세계 대표적 재난 사례 66
5.1.2. 국내 재난 사례 70
5.2. 각 사례에서 배울 수 있는 교훈 72
5.2.1. 예방적 대책 수립 76
5.2.2. 효율적 구조조직 협력 79
5.3. 사례별 구조적, 기술적, 인적, 환경적 원인의 영 향 81
5.3.1. 기존 시스템의 한계 86
5.3.2. 신기술 도입의 필요성 88
 
6. 개선 방안 및 대응 전략
6.1. 사례별 개선 방안 제시 92
6.1.1. 시스템 및 프로세스 개선 98
6.1.2. 인재 양성 및 교육 체계 구축 100
6.2. 대응 전략 수립 및 실행 102
6.2.1. 재난에 대한 선제적 대응 104
6.2.2. 현장 대응능력 개발 107
6.3. 단기 대책과 장기 대책의 차이 109
6.3.1. 단기적 대응 최적화 111
6.3.2. 방향성에 기반한 장기적 대응 전략 113
 
7. 재난 원인 조사의 한계 및 보완 방안
7.1. 정보 공유와 협업의 중요성 116
7.1.1. 국가 간 및 기관 간 정보 교환 116
7.1.2. 커뮤니케이션 체계 구축 117
7.2. 법적 및 제도적 한계 122
7.2.1. 현행 제도의 미비점 124
7.2.2. 법제 개선을 위한 연구 127
7.3. 보다 효과적인 재난 원인 조사 방식 129
7.3.1. 분석 및 모니터링 기술 발전 129
7.3.2. AI 및 로봇 기술의 활용 129
 
8. 결론 및 미래 전망
8.1. 재난 원인 조사의 발전 방향 133
8.1.1. 지속 가능한 발전과 안전문화 135
8.1.2. 스마트시티 추진과 지능형 재난관리 138
8.2. 지속 가능한 재난관리와 대응 140
8.2.1. 탄력적 사회 구조의 필요성 140
8.2.2. 재난 커뮤니케이션 및 정보 유통 시스템 141
8.3. 사회와 기술 변화에 따른 적응 143
8.3.1. 사회 변화에 따른 재난 예측 145
8.3.2. 기술 발전의 확산과 활용 가능성 148
 
부록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152
Author
이수길
저자 이수길 박사는 재난안전학 분야의 전문가로, DI재난안전연구소의 소장을 맡고 있습니다. 그는 재난안전관리와 관련된 여러 논문을 발표하였으며, "공무원 재난관리 교육프로그램의 요구도 분석"과 "고위험군 종사자에 대한 부적절한 장비 착용이 안전사고 위험성 인식과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등의 논문은 많은 연구자들에게 많은 영향을 미쳤습니다. 또한, 그는 "재난 원인조사론"이라는 책을 집필하였으며, 이 책은 재난 발생 원인 세분화에 집중하여, 인간이 일으키는 기술적 문제뿐만 아니라, 사회 및 정치적인 요인이 담긴 면을 다루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활동을 통해 그는 재난안전 분야에서 지식과 전문성을 인정받는 인물 중 한 사람입니다.
저자 이수길 박사는 재난안전학 분야의 전문가로, DI재난안전연구소의 소장을 맡고 있습니다. 그는 재난안전관리와 관련된 여러 논문을 발표하였으며, "공무원 재난관리 교육프로그램의 요구도 분석"과 "고위험군 종사자에 대한 부적절한 장비 착용이 안전사고 위험성 인식과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등의 논문은 많은 연구자들에게 많은 영향을 미쳤습니다. 또한, 그는 "재난 원인조사론"이라는 책을 집필하였으며, 이 책은 재난 발생 원인 세분화에 집중하여, 인간이 일으키는 기술적 문제뿐만 아니라, 사회 및 정치적인 요인이 담긴 면을 다루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활동을 통해 그는 재난안전 분야에서 지식과 전문성을 인정받는 인물 중 한 사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