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개발협력평가의 이해

$19.55
SKU
9791139210279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12/6 - Thu 12/12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12/3 - Thu 12/5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3/04/24
Pages/Weight/Size 152*225*30mm
ISBN 9791139210279
Categories 사회 정치 > 정치/외교
Description
이 책은 국제개발협력사업 평가와 모니터링의 이론부터 실제를 설명하는 책이다. 국제개발협력평가에 대한 중요성은 높아져 가고 있지만, 평가에 대해 이론부터 실제까지의 정보를 종합적이고 포괄적으로 소개한 책은 없었다. 이 책은 국제개발협력평가에 대한 체계적인 학습과 실제적인 평가 수행이 가능하도록 이론부터 실제까지의 평가에 대한 종합적 지식을 담았다. 프로그램이론과 변화이론과 같은 평가 관련 주요 이론을 소개하고, 단계별 평가업무 수행법을 예시와 함께 설명하며, 평가를 위한 실제 분석 도구(tools)와 조사 방법을 알려 준다. 또한, 영향평가, 인도주의활동평가와 같은 평가 관련 최신 동향을 소개하여 시의성 있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책은 독자 여러분들이 평가 기초 이론과 함께 실용적인 지식을 습득하고 평가를 실제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유용한 참고서가 될 것이다.
Contents
제1장 평가의 주요 개념

1. 평가 정의
2. 평가 목적
3. 평가 기준
4. 평가 원칙
5. 평가 종류

제2장 프로그램이론과 변화이론

1. 이론적 배경
2. 프로그램이론의 구성
3. 논리모형과 변화이론
4. 의미와 한계

제3장 평가 기획

1. 사전 조사
2. 평가 질문 개발
3. 평가계획서 수립

제4장 평가 수행

1. 평가수행계획서 작성
2. 데이터 수집
3. 현지 조사
4. 수행 관리

제5장 평가 종료와 보고

1. 평가결과보고서 작성
2. 평가 결과 소통
3. 평가 결과 활용

제6장 데이터 수집 I

1. 데이터 수집 전략
2. 문헌 조사
3. 인터뷰

제7장 데이터 수집 II

1. 포커스그룹
2. 전문가 판단
3. 설문 조사

제8장 표본 추출

1. 의미
2. 방법
3. 비무작위표집법
4. 무작위표집법

제9장 데이터 분석

1. 분석의 의미
2. 정성 분석
3. 정량 분석
4. 지표와 범위

제10장 영향평가 I: 정성평가와 RCT

1. 기여도분석
2. 가장중요한변화법
3. RCT와 인과추론
4. RCT 수행 방법
5. RCT 설계 시 고려 사항
6. RCT의 한계

제11장 영향평가 II: 준실험설계법

1. 전후비교법
2. 단절적시계열기획법
3. 비동등집단설계법
4. 회귀불연속기획법
5. 이중차분법

제12장 인도주의활동평가

1. 주요 개념
2. 모니터링과 평가 주기
3. 실시간평가와 공동평가
4. 주의 사항

제13장 평가 품질과 윤리

1. 평가 품질
2. 평가와 정치
3. 평가 윤리

제14장 조직성과관리

1. 배경과 의미
2. 사례 분석
3. 의미와 한계

참고문헌

표 목차
〈표 1-01〉 평가의 다양한 정의들
〈표 1-02〉 OECD DAC 평가 기준
〈표 1-03〉 평가의 종류
〈표 2-01〉 프로그램이론의 서로 다른 정의
〈표 2-02〉 논리모형 예시
〈표 2-03〉 PDM의 구조와 내용
〈표 3-01〉 평가 질문 유형
〈표 3-02〉 OECD DAC 평가 기준별 표준 질문
〈표 3-03〉 평가 질문 점검표
〈표 3-04〉 예산을 고려한 표본규모 조절
〈표 3-05〉 평가계획서의 구성
〈표 3-06〉 평가팀 업무 일자 산정 양식
〈표 3-07〉 평가 예산 항목 예시
〈표 4-01〉 평가매트릭스 양식
〈표 5-01〉 평가결과보고서 구성 예시
〈표 5-02〉 평가결과보고서 품질확인서
〈표 5-03〉 관리자답변매트릭스
〈표 6-01〉 SDGs 지표 관련 데이터베이스
〈표 6-02〉 문헌 자료 분류 기준
〈표 6-03〉 문헌 자료 선정 기준표 예시
〈표 7-01〉 개방형 질문과 폐쇄형 질문 비교
〈표 8-01〉 95% 신뢰 수준과 5% 오차 범위에 필요한 최소 표본 크기
〈표 8-02〉 엑셀로 생성한 난수표
〈표 9-01〉 코드와 코딩 구조 예시
〈표 9-02〉 코드 색인 예시
〈표 9-03〉 평가매트릭스를 활용한 삼각측량법
〈표 9-04〉 에티오피아인종 명목 데이터 빈도표
〈표 9-05〉 시험 성적 등간 데이터 빈도표
〈표 9-06〉 성별 만족도 조사결과표
〈표 9-07〉 QQT targeting 예시
〈표 13-01〉 유용성 세부 기준과 설명
〈표 13-02〉 타당성 세부 기준과 설명
〈표 13-03〉 정당성 세부 기준과 설명
〈표 13-04〉 정확성 세부 기준과 설명
〈표 13-05〉 책무성 세부 기준과 설명
〈표 13-06〉 AEA의 평가자를 위한 원칙
〈표 13-07〉 UNEG 평가 윤리 가이드라인의 평가 원칙
〈표 14-01〉 네덜란드 중점 지원 주제와 국별프로그램 연계

그림 목차
〈그림 2-01〉 프로그램이론의 구조
〈그림 2-02〉 변화이론 예시
〈그림 2-03〉 프로그램이론 예시
〈그림 2-04〉 PDM의 논리 체계
〈그림 2-05〉 변화이론 도식화 예시
〈그림 2-06〉 구체화된 변화이론 도식의 예시
〈그림 3-01〉 평가 기획 절차
〈그림 4-01〉 평가 수행 절차
〈그림 5-01〉 평가 종료 절차
〈그림 5-02〉 그래프를 활용한 시각화 예시
〈그림 5-03〉 워드클라우드를 사용한 핵심 단어 표현 예시
〈그림 9-01〉 상자수염그래프
〈그림 9-02〉 표준정규분포 그래프
〈그림 11-01〉 전후비교법
〈그림 11-02〉 단절적시계열기획법
〈그림 11-03〉 단순 비동등집단설계법
〈그림 11-04〉 코호트 비동등집단설계법
〈그림 11-05〉 기초선 추가 비동등집단설계법
〈그림 11-06〉 회귀불연속기획법
〈그림 11-07〉 이중차분법
〈그림 14-01〉 개발협력기관 조직성과관리틀
〈그림 14-02〉 네덜란드 원조 성과체계

상자 목차
〈상자 1-01〉 OECD DAC의 평가 정의
〈상자 1-02〉 모니터링과 평가 비교
〈상자 3-01〉 사업 평가 기획 수립에 필요한 주요 문서 예시
〈상자 3-02〉 사업 관련 주요 이해관계자 예시
〈상자 4-01〉 평가수행계획서 목차 예시
〈상자 6-01〉 반구조화인터뷰 추가 질문 예시
〈상자 6-02〉 인터뷰 체크리스트
〈상자 6-03〉 인터뷰기법 사용 시 유의점
〈상자 7-01〉 포커스그룹 사용 시 유의점
〈상자 7-02〉 평가에서 델파이 기법 사용
〈상자 7-03〉 설문 조사 질문 작성에서 발생 가능한 실수
〈상자 7-04〉 설문 조사 시 유의점
〈상자 8-01〉 미국 대선 여론 조사와 표집틀의 중요성
〈상자 10-01〉 평가 협약서 주요 내용
〈상자 12-01〉 인도주의활동 원칙
〈상자 12-02〉 인도주의 지원 평가 기준
〈상자 13-01〉 뉘른베르크 강령
〈상자 13-02〉 터스키기 매독 실험
Author
박수영
KOICA ODA연구센터 센터장이며, 『Jour-nal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편집위원장입니다. 영국 멘체스터대학교 글로벌개발연구소(Global Devleopment Institute)에서 개발정책학 박사학위를 취득했습니다. 한국국제협력단(KOICA), 유엔 아시아태평양경제사회위원회(UN-ESCAP), 호주 국제개발청(AusAID) 등에서 사업 기획 및 관리, 평가와 모니터링 등 다양한 개발협력 업무를 수행했으며, 개발효과성, 성과관리, 개발정책일관성 분야에 연구를 계속해 왔습니다. 주요 참여 저서는 『열두 개의 키워드로 이해하는 국제개발협력』, 『국제개발협력(입문편)』이 있습니다. 연구 발간물로는 『개발재원: TOSSD와 혼합재원 논의를 중심으로』, 『개발협력 평가 지수 분석과 함의: CDI와 QuODA를 중심으로』, 『Post-2015 체제의 개발재원 논의분석』, 『지속가능개발목표(SDGs) 수립현황과 대응방안』, 『원조효과성 분석 연구 동향 고찰을 통한 개발협력 정책 제언』, 『Analysis of Saemaul Undong: a Korean rural development programme in the 1970s』 등이 있습니다.
KOICA ODA연구센터 센터장이며, 『Jour-nal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편집위원장입니다. 영국 멘체스터대학교 글로벌개발연구소(Global Devleopment Institute)에서 개발정책학 박사학위를 취득했습니다. 한국국제협력단(KOICA), 유엔 아시아태평양경제사회위원회(UN-ESCAP), 호주 국제개발청(AusAID) 등에서 사업 기획 및 관리, 평가와 모니터링 등 다양한 개발협력 업무를 수행했으며, 개발효과성, 성과관리, 개발정책일관성 분야에 연구를 계속해 왔습니다. 주요 참여 저서는 『열두 개의 키워드로 이해하는 국제개발협력』, 『국제개발협력(입문편)』이 있습니다. 연구 발간물로는 『개발재원: TOSSD와 혼합재원 논의를 중심으로』, 『개발협력 평가 지수 분석과 함의: CDI와 QuODA를 중심으로』, 『Post-2015 체제의 개발재원 논의분석』, 『지속가능개발목표(SDGs) 수립현황과 대응방안』, 『원조효과성 분석 연구 동향 고찰을 통한 개발협력 정책 제언』, 『Analysis of Saemaul Undong: a Korean rural development programme in the 1970s』 등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