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포 기독교 근대 역사관의 배경

$18.14
SKU
9791138841399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2 - Thu 05/8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4/29 - Thu 05/1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5/04/09
Pages/Weight/Size 152*225*20mm
ISBN 9791138841399
Categories 종교 > 기독교(개신교)
Description
『목포 기독교 근대 역사관의 배경』은 전라도, 특히 목포 지역의 기독교 역사와 선교 활동을 심도 있게 조명하는 연구서다. 최은수 저자는 초기 선교사들의 헌신적인 활동과 지역 교회의 성장을 기록하며, 복음 전파뿐만 아니라 의료 및 교육 사역이 어떻게 지역 사회의 변화에 기여했는지를 분석한다. 이 책은 단순한 과거의 기록을 넘어 현재와 미래의 신앙 공동체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한다. 기독교 역사 유물의 의미, 교회사 서술 원칙, 선교사들의 희생과 헌신을 통해 한국 교회가 지켜야 할 가치와 사명을 되새길 수 있도록 돕는다. 또한, 목포권을 중심으로 한 전라도 기독교 역사관을 통해 신앙의 흐름을 탐구한다.
Contents
추천사

제1장 서언(Preface)

제2장 중요한 원칙들(Important Principles)

목포 기독교 근대 역사관의 원칙들
기독교 역사 박물관의 원칙들
교회 설립일 기준을 위한 고려사항들과 다섯 가지 기준
기독교 유물에 대한 원칙들
기독교 역사 박물관 관장의 자격과 원칙들
각 교회의 교회사 서술의 원칙들

제3장 근본이 좋은 목포권 사람들: 초기 기독교 역사의 정착과 성장

세계장로교회의 본산이자 원뿌리, 스코틀랜드 장로교회
전라도 교회의 원천, 미 남장로교회
전라도 교회의 은인, 윤치호와 언더우드 선교사(Horace Grant Underwood)
미 남장로교 총회 파송 7인의 선교사와 노회 파송 1인의 선교사
대한제국 주미공사 이채연과 그의 부인 배선 여사, 그리고 리니 데이비스 선교사

제4장 목포권이 좋은 땅임을 알아본 전라도 최초의 서양 의사 선교사 알레산드로 다말 드류(Alessandro Damar Drew) 박사·언어천재 윌리엄 레이놀즈(William Reynolds) 선교사

제5장 한국교회의 지브롤터(Gibraltar) 해협, 목포

제6장 목포의 좋은 땅에 펼쳐진 삼각편대: 복음전도, 의료, 교육

목포 선교 스테이션의 삼각편대 중 한 축, 복음전도 사역
목포 선교 스테이션의 삼각편대 중 한 축, 의료사역
목포 선교 스테이션의 삼각편대 중 한 축, 교육 및 소외계층 사역

제7장 목포권 사람들 중심의 스토리텔링 (Storytelling)

목포권 기독교 근대 역사관의 설립 목적
섹션별 주제들
각 섹션의 중간에 위치시켜서 강약과 선택/집중 가능케 하는 인터섹션

후기(Postlude)
감사의 글
Author
최은수
최은수 교수는 한국 신학계에서 최연소 박사학위 취득 및 최연소 신학 교수 임용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 영국 스코틀랜드글라스고 대학교에서 교회사 전공으로 철학박사(Ph.D)를 받았는데, 세계 장로교의 본산인 스코틀랜드에서 본산 장로교회사를 주제로 학위를 한 유일한 장본인이기도 하다. 한국과 미국 등 신학교에서 교회사와 신학을 가르쳐 오고 있다. 현재는 Berkeley GTU 연구교수와 IME Foundation 이사장으로 있다.

이런 차원에서 미 남장로교의 호남 선교에 대한 연구와 기념사업과 연관하여 다각도로 협력하고 있다. 아울러 최근에 아르메니아 조지아 연구소(The Armenia Georgia Studies Institute, AGSI)를 설립하여 대표로 있으면서 성경과 역사를 이해하는 유대교와 유대주의 사관에서 탈피하여 아르메니아 조지아 중심의 기독교 역사관 연구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이를 위해 아르메니아 조지아 연구소 카페(cafe.naver.com/armeniageorgia)를 통해 아르메니아 조지아 성지순례의 우선성과 필요성을 대중화시키고 있는 중이다. 저작으로는 『세계교회사』, 『초대교회사』, 『장로교 정치제도 형성사』, 『가족기도』, 『언약도』, 『한국의 나사렛, 군산 근대 의료 선교 역사』(근간)가 있다.
최은수 교수는 한국 신학계에서 최연소 박사학위 취득 및 최연소 신학 교수 임용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 영국 스코틀랜드글라스고 대학교에서 교회사 전공으로 철학박사(Ph.D)를 받았는데, 세계 장로교의 본산인 스코틀랜드에서 본산 장로교회사를 주제로 학위를 한 유일한 장본인이기도 하다. 한국과 미국 등 신학교에서 교회사와 신학을 가르쳐 오고 있다. 현재는 Berkeley GTU 연구교수와 IME Foundation 이사장으로 있다.

이런 차원에서 미 남장로교의 호남 선교에 대한 연구와 기념사업과 연관하여 다각도로 협력하고 있다. 아울러 최근에 아르메니아 조지아 연구소(The Armenia Georgia Studies Institute, AGSI)를 설립하여 대표로 있으면서 성경과 역사를 이해하는 유대교와 유대주의 사관에서 탈피하여 아르메니아 조지아 중심의 기독교 역사관 연구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이를 위해 아르메니아 조지아 연구소 카페(cafe.naver.com/armeniageorgia)를 통해 아르메니아 조지아 성지순례의 우선성과 필요성을 대중화시키고 있는 중이다. 저작으로는 『세계교회사』, 『초대교회사』, 『장로교 정치제도 형성사』, 『가족기도』, 『언약도』, 『한국의 나사렛, 군산 근대 의료 선교 역사』(근간)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