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상가임대차 분쟁 해결을 위해 필요한 거의 모든 법률조문, 판례, 사례들을 망라하고 있고, 이러한 법률조문, 판례, 사례들이 어떻게 분쟁 해결을 위한 절차나 방법을 구체화하고 있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상가임대차와 관련하여 분쟁을 겪고 있는 당사자들은 대부분 인터넷에 떠도는 정보에 의존하고 있는데, 그러한 정보들은 단편적일 수밖에 없고, 그 중에서도 내 마음에 드는 정보를 선택적으로 받아들이고 있어서 그러한 정보들로는 상가임대차 분쟁을 올바르게 해결할 수 없다. 결국 원칙으로 돌아가서 상가임대차에 관한 법률조문, 판례, 사례들이 구체화하는 매뉴얼이 우리를 합리적인 분쟁 해결로 이끌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가임대차 분쟁 매뉴얼을 통해 임대인과 임차인이 극한의 대립으로 소모적인 갈등을 이어 가는 것을 지양하고, 서로에게 이익이 되는 상생의 길로 나아가기를 소망해 본다.
Contents
머리말
제1장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
01. 목적(제1조)
02. 적용범위(제2조)
03. 대항력 등(제3조)
04. 확정일자 부여 및 임대차정보의 제공 등(제4조)
05. 보증금의 회수(제5조)
06. 임차권등기명령(제6조)
07. 민법에 따른 임대차등기의 효력 등(제7조)
08. 경매에 의한 임차권의 소멸(제8조)
09. 임대차기간 등(제9조)
10. 계약갱신 요구 등(제10조)
11. 계약갱신의 특례(제10조의2)
12. 권리금의 정의 등(제10조의3)
13. 권리금 회수기회 보호 등(제10조의4)
14. 권리금 적용 제외(제10조의5)
15. 표준권리금계약서의 작성 등(제10조의6)
16. 권리금 평가기준의 고시(제10조의7)
17. 차임연체와 해지(제10조의8)
18. 계약 갱신요구 등에 관한 임시 특례(제10조의9)
19. 차임 등의 증감청구권(제11조)
20. 폐업으로 인한 임차인의 해지권(제11조의2)
21. 월 차임 전환 시 산정률의 제한(제12조)
22. 전대차관계에 대한 적용 등(제13조)
23. 보증금 중 일정액의 보호(제14조)
24. 상가건물임대차위원회(제14조의2)
25. 강행규정(제15조)
26. 일시사용을 위한 임대차(제16조)
27. 미등기전세에의 준용(제17조)
28. 소액사건심판법의 준용(제18조)
29. 표준계약서의 작성 등(제19조)
30. 상가건물임대차분쟁조정위원회(제20조)
31. 주택임대차분쟁조정위원회 준용(제21조)
32. 벌칙 적용에서 공무원 의제(제22조)
고려대학교 법과대학 법학과 졸업
건국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제2기 법학전문석사 졸업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행정법 박사 수료
변호사(변호사시험 제2회), 세무사
한국자산관리공사(KAMCO) 고문변호사
법무법인 라움 구성원변호사
국내 다수 집합건물 관리단, 대규모점포관리자, 자산
운용사, 건설사, 상인회, 번영회 고문변호사
고려대학교 법과대학 법학과 졸업
건국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제2기 법학전문석사 졸업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행정법 박사 수료
변호사(변호사시험 제2회), 세무사
한국자산관리공사(KAMCO) 고문변호사
법무법인 라움 구성원변호사
국내 다수 집합건물 관리단, 대규모점포관리자, 자산
운용사, 건설사, 상인회, 번영회 고문변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