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우리아이 처음신문

NIE 전문가의 읽고, 생각하고, 쓰는 신문활용기법
$21.60
SKU
9791138387309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hu 04/17 - Wed 04/23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Mon 04/14 - Wed 04/16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5/03/05
Pages/Weight/Size 190*260*20mm
ISBN 9791138387309
Categories 어린이 > 3-4학년
Description
지식의 꿀단지 신문으로 초등학습을 앞서서 쉽게
분야별 신문기사로 배경지식 쏙쏙!
읽고 쓰며 문해력&어휘력 탄탄!
다양한 NIE 활동으로 사고력 쑥쑥!
Contents
1장 경제

원주민의 고통, 젠트리피케이션
MZ세대를 사로잡는 로코노미
기후변화가 가져온 밥상물가의 위기
나만의 특별한 소비, 토핑경제
트럼프의 관세폭탄, 한국경제의 생존전략은?
한국 조선업, 세계시장에서 주목받다
김값이 금값? ‘김플레이션’
글로벌 부유세, 슈퍼리치를 겨냥하다!
작은 사치로 큰 행복, 스몰럭셔리

2장 사회

AI를 믿을 수 있을까?
퓨전한복, ‘전통문화 알려 vs 전통가치 훼손’
“족보가 족발보쌈 세트?” 아이들의 문해력
늘어나는 노○○존, 서로 배려하고 이해해요
소셜미디어로부터 청소년을 지켜라
새로운 문화공간 팝업스토어
소싸움, ‘전통문화 vs 동물학대’
출산율이 낮아진 한국, 어떻게 해결할까?
항공사 컵라면 서비스 중단, 차별 아닌가요?

3장 국제

원숭이 대탈출! 주민들은 불안해요
노트르담 대성당, 다시 열리다
논란 속의 우크라이나 전쟁 관광
아름다운 바르셀로나, 관광객이 너무 많아요!
에베레스트에 등반할 때는 배변봉투 지참!
이집트 피라미드 건설의 비밀
인도네시아에서 개발한 ‘물고기 우유’
콜로세움, 테마파크로 변신? 검투사 체험 논란
파나마 운하, 기후변화의 도전에 직면하다

4장 과학

나무로 만든 인공위성, 리그노샛
말라리아의 습격, 예방수칙을 잘 지켜요
머지않아 타게 될 자율주행 자동차
미래의 에너지원, 재생에너지
벼락이 떨어졌다! 안전하게 대피해요
소금으로 전기를 저장한다?
스페이스X의 스타십, 수직 착륙 성공
제주도의 특별한 아나운서
초록색의 ‘추풍낙엽’, 계절을 착각한 나무

5장 환경

라니냐? 어떤 영향을 주나?
엘니뇨로 하얗게 질려버린 산호초
미래의 먹거리 ‘식용곤충’
새로운 과일 지도, 국내산 망고 등장!
스위스 빙하의 눈물
젖소도 놀란 덴마크의 방귀세
제로웨이스트, 지구를 지키는 멋진 방법!
지구의 온도계, 우리가 바로 히어로!
LA 산불, 기후변화가 가져온 경고

6장 문화

피라미드 앞에 우뚝 선 강익중의 ‘네 개의 신전’
미키마우스, 저작권의 마법이 풀리다
테일러 스위프트의 영향력
한강 작가, 2024년 노벨 문학상 수상!
한국 애니메이션의 새로운 아이콘, ‘하츄핑’

정답과 예시
Author
김민정(모카쌤)
학원에서 초등학생과 중학생들을 가르쳤던 때가 있었습니다. 당시 생각 없이 단어를 외우고 앵무새처럼 말하던 아이들을 보며 안타까웠어요. 그때 마침 김향란 선생님이 활동하시는 신문활용교육(NIE)을 접하고, 아이들의 생각을 다양하게 열어주는 NIE에 매료되어, NIE 수업으로 학생들을 만나게 되었어요. 신문은 따분하다는 고정관념을 바꿔주고 싶어 다양한 방법으로 NIE를 알리고 있습니다. 저와 함께 수업하면서 신문의 재미를 느끼게 된 아이들을 보면 짜릿함을 느낍니다. 신문 속 살아있는 이야기로 아이들을 만나고자 온·오프라인에서 수업을 하고 NIE 교재를 만들고 있습니다.
학원에서 초등학생과 중학생들을 가르쳤던 때가 있었습니다. 당시 생각 없이 단어를 외우고 앵무새처럼 말하던 아이들을 보며 안타까웠어요. 그때 마침 김향란 선생님이 활동하시는 신문활용교육(NIE)을 접하고, 아이들의 생각을 다양하게 열어주는 NIE에 매료되어, NIE 수업으로 학생들을 만나게 되었어요. 신문은 따분하다는 고정관념을 바꿔주고 싶어 다양한 방법으로 NIE를 알리고 있습니다. 저와 함께 수업하면서 신문의 재미를 느끼게 된 아이들을 보면 짜릿함을 느낍니다. 신문 속 살아있는 이야기로 아이들을 만나고자 온·오프라인에서 수업을 하고 NIE 교재를 만들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