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사정업무에 종사해 오면서 그동안의 손해사정사 자격증과 손해사정업무에 대해 정리해 보았으며 이 책이 손해사정사 시험을 준비하는 사람들과 손해사정업무에 종사하는 분들에게 그리고 손해사정사가 다소 생소한 일반인들이 자격증과 손해사정사의 업무를 이해하는데 참고가 되는 책이다.
Contents
Ⅰ. 서 언
1. 손해사정사 제도 소개 8
2. 법적 근거 9
3. 손해사정사 구분 10
4. 손해사정사 업무 11
Ⅱ. 손해사정이란 무엇인가
1. 손해사정의 의의 13
2. 손해사정의 기능 13
(1) 직접적 기능 14
(2) 간접적 기능 14
Ⅲ. 손해사정사 구분 및 업무
1. 손해사정사 분류 16
(1) 업무수행 형태에 따른 구분 16
(2) 업무영역에 따른 구분 17
2. 손해사정사 업무 19
(1) 검정의 과정 - 사고조사 과정 20
(2) 정산의 과정 - 보험금 결정 과정 22
3. 손해사정 및 보험금 지급절차 24
(1) 조사·확인 및 면·부책 결정 26
(2) 손해액 평가 26
(3) 협의 27
(4) 보험금 지급 27
(5) 회수 및 대위 27
(6) 보고 27
4. 손해사정사 역할과 책임 28
(1) 역할 28
(2) 의무와 책임 36
(3) 업무상 책임에 대한 손해배상책임 37
5. 손해사정사 보조인 활용 37
(1) 보조인 활용 37
(2) 보조인 자격 및 업무범위 38
6. 손해사정사 시험 종목 및 과목 40
7. 손해사정사 선임기준과 보수 지급책임 - 보험계약자등의 경우 43
(1) 손해사정사 선임기준 43
(2) 손해사정사 보수 지급책임 44
Ⅳ. 손해사정 사례
1. 사례 - 영업배상책임보험 대인사고 46
2. 사례 - 상해공제 사고 47
3. 사례 - 상해보험 사고 48
4. 사례 - 상해보험(질병) 사고 49
5. 손해사정 사례로 본 손해사정사 의견 50
Ⅴ. 일상에서의 사고의 원인과 맺는 말
1. 일상에서의 사고의 원인 52
2. 맺는 말 53
Author
신영순
교원(중등2급 정교사)
1종(기존-화재특종) 손해사정사
충북대학교 경영학 학사
성균관대학교 경영학 석사
메리츠화재해상보험㈜ 근무
서울손해사정㈜ 근무
KIG화재특종자동차손해사정㈜ 근무
KILA손해사정사무소 대표
1999년 손해ㆍ생명ㆍ공제회사 제3보험분야 손해사정위탁업무 최초 개시
2003년 선임손해사정사 보수기준 ‘인보험 보수표’ 제정
2005년 손해사정사 시험제도 개정안 제안(재정경제부, 한국손해사정사회)
2019년 한국보험학회 정책세미나 ‘손해사정제도 개선방안’ 공동논문중 ‘손해사정사 시험 및 보수제도’ 부문 연구
(전)보험연수원 및 배화여자대학교 무역과 강사
(전)한국손해사정사회 소속 1,2종 독립손해사정업협의회 부회장
(전)보험신보 기자
(전)한국산업인력공단 NCS홈닥터(재물손해사정)
교원(중등2급 정교사)
1종(기존-화재특종) 손해사정사
충북대학교 경영학 학사
성균관대학교 경영학 석사
메리츠화재해상보험㈜ 근무
서울손해사정㈜ 근무
KIG화재특종자동차손해사정㈜ 근무
KILA손해사정사무소 대표
1999년 손해ㆍ생명ㆍ공제회사 제3보험분야 손해사정위탁업무 최초 개시
2003년 선임손해사정사 보수기준 ‘인보험 보수표’ 제정
2005년 손해사정사 시험제도 개정안 제안(재정경제부, 한국손해사정사회)
2019년 한국보험학회 정책세미나 ‘손해사정제도 개선방안’ 공동논문중 ‘손해사정사 시험 및 보수제도’ 부문 연구
(전)보험연수원 및 배화여자대학교 무역과 강사
(전)한국손해사정사회 소속 1,2종 독립손해사정업협의회 부회장
(전)보험신보 기자
(전)한국산업인력공단 NCS홈닥터(재물손해사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