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3월부터 학교폭력에 대한 논의는 단위학교의 자치위원회에서 교육지원청의 심의위원회로 이관되었다. 심의위원회를 구성하는 위원들은 첨예한 학교폭력 사안의 구석구석을 만나며, 날카롭게 부딪치는 보호자들의 전투를 목격하곤 한다. 이 책은 '학교폭력대책 심의위원회'가 단순히 심의기구로서가 아니라 교육기구로서 각 당사자들과 보호자들을 어떻게 만날 것이며 어떤 질문을 던질 것인지 함께 고민하고자 하는 책이다.
심의위원회는 학교라는 공동체에서의 갈등과 폭력에 대해 단순히 '조치'하는 기구로 각인되어서는 안 된다. 품격있는 심의위원들의 질문을 통해 당사자가 나름의 깨달음을 얻고, 그 깨달음으로 다시금 자신의 문제를 직면하는 용기를 갖도록 응원해야 한다. 당사자가 자발적 문제해결자가 되도록 ‘가치’를 선물해 줘야 하는 이유다. 그 응원과 동기부여를 통해 심의위원회가 이후 당사자 모두를 회복적 절차(전라북도교육청 회복조정지원단)로 연결하는 이른바 ‘회복의 다리’ 가 되어 주기를 바라는 책이다.
학교폭력의 10가지 유형별로 목차를 구성하였으며 유형에 따른 피, 가해추정학생의 개념과 공론화되는 과정에서 겪어야 했을 부담과 어려움 등이 사실관계로 다투는 한계에서 벗어나 청소년들이 성장 가능성에 대해 질문하기를 주문하는 형식으로 플롯화하였다. 심의위원으로서의 맥락찾기와 내용분석 후 핵심쟁점을 완성해 과는 과정의 유의미성을 정리하였다. 특히 심의위원이 유의해야 할 지점과 날카롭고 따스한 시선의 중요성을 간결하고 명쾌하게 설명하여 인간에게 다가서는 입체적 접근에 관한 지침서이자 '깨달음의 질문'활용서이다.
전라북도교육청 회복조정지원단의 선임조정위원이다. 전라북도교육청의 회복적 조정은 2018년 시범사업을 시작으로 현재에 이르기까지 전국 각지의 유사한 절차들 중에서 가장 짜임새 있으며 학교공동체의 적극적인 호응을 받고 있는 사업으로 평가받고 있다.
한재훈, 시범사업 이전의 기획단계부터 참여하여 교육공동체의 회복을 위한 다양한 연구를 통해 조정 매뉴얼을 개발, 제작하였으며 공익적 공유를 하고 있다. 선임조정위원으로서 교육현장에서의 조정업무를 수행함은 물론 다른 조정위원들에 대한 연수와 교육, 그 외 학교 공동체의 각 구성원들에 대한 교육과 나눔활동 등도 함께 하고 있다. 6개 타 시도교육청 분쟁조정지원단 조정자의 전문성 제고 연수와 생활교육담당교사 및 교장, 교감의 갈등관리 연수 등은 현재도 진행중이다.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졸업 후 민주시민교육, 교육공동체 회복을 위한 교육현장실천가로 활동 중이다.
전라북도교육청 회복조정지원단의 선임조정위원이다. 전라북도교육청의 회복적 조정은 2018년 시범사업을 시작으로 현재에 이르기까지 전국 각지의 유사한 절차들 중에서 가장 짜임새 있으며 학교공동체의 적극적인 호응을 받고 있는 사업으로 평가받고 있다.
한재훈, 시범사업 이전의 기획단계부터 참여하여 교육공동체의 회복을 위한 다양한 연구를 통해 조정 매뉴얼을 개발, 제작하였으며 공익적 공유를 하고 있다. 선임조정위원으로서 교육현장에서의 조정업무를 수행함은 물론 다른 조정위원들에 대한 연수와 교육, 그 외 학교 공동체의 각 구성원들에 대한 교육과 나눔활동 등도 함께 하고 있다. 6개 타 시도교육청 분쟁조정지원단 조정자의 전문성 제고 연수와 생활교육담당교사 및 교장, 교감의 갈등관리 연수 등은 현재도 진행중이다.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졸업 후 민주시민교육, 교육공동체 회복을 위한 교육현장실천가로 활동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