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이여, 자기주도로 꿈을 보라

BOOKK(부크크) 출판사의 상품은 주문 제작 도서로 주문취소 및 반품이 불가하며, 배송완료까지 KBOOKSTORE 배송 일정 기준 +7일이 추가됩니다.
$34.81
SKU
9791137252349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Mon 05/5 - Fri 05/9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Wed 04/30 - Fri 05/2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1/08/04
Pages/Weight/Size 188*257*30mm
ISBN 9791137252349
Categories 청소년 > 청소년 생활/자기관리
Description
청소년들이 꿈의 날개를 마음껏 펼치기를 기대하며…

헌법 제 10조는 ‘행복추구권’이다. 누구나 행복할 권리가 있는 것이다. 하지만 우리 청소년들은 과연 행복할까? 행복하지 않다는 사실에 아마 동의할 것이다. 그렇다고 청소년을 탓할 수는 없다. 법과 제도, 사회는 기성세대가 만들었으니까… 더구나 교직에 있는 저자는 이런 사실이 안타깝다. 하루하루가 행복하다면 굳이 ‘꿈’을 강요할 필요가 없다. 만약 행복하지 않다면 ‘꿈’을 꾸는 것이 행복에 더 가까이 다가갈 것이다.

그렇다면 ‘꿈’이란 무엇일까? 도대체 ‘꿈’이 무엇이기에 이토록 청소년들에게 강요하는가? 그리고 어른들은 꿈꾸지 않으면서 아이들에게만 꿈을 강요하는 것은 아닌지… 이 책으로 꿈꾸는 것이 무겁거나 어렵지 않다는 것을 알려주고 싶었다. 어느 부분은 재미있게, 어느 부분은 생각지도 못한 생각들을 담아 꿈을 응원한다. 이 책을 읽는 동안 과연 꿈이 무엇이고 어떤 마음가짐으로 어떻게 행동하여야 하는지 돌아보는 시간이 된다면 좋겠다. 더군다나 코로나 19로 우리 아이들의 ‘꿈’이 점점 현실에서 멀어지는 것이 마음 아팠다. 그래서 그동안 학생들의 꿈을 응원하며 틈틈이 적은 글들로 블로그를 시작하였고 이제는 책으로 아이들의 꿈을 응원하고자 한다.
Contents
1. 꿈은 무엇일까?
꿈은 무엇일까? 18
‘꿈(Dream)’은 어떻게 하면 이룰 수 있을까? 19
Dream 습관 확인표 20
Dream(꿈) 시계 21
‘꿈’은 ‘땀’을 먹고 자란다 22
그대는 꿈을 어떻게 꾸나요? 23
꿈 관련 국가별 단어 24
꿈은 ‘잘하는 것(적성)’과 ‘좋아하는 것(흥미)’의 조합 25
중·고등학교 온라인 진로 심리검사 27
커리어넷 직업적성 검사 28
커리어넷 직업흥미 검사(K, H) 29
커리어넷 직업가치관 검사 30
커리어넷 진로성숙도 검사 31
커리어넷 온라인 진로상담 32
자기주도 진로체험 33
꿈(Dream)을 제대로 꾸기 위하여 34
꿈을 이루기 위해 표현하는 다양한 방법들 35
‘포기’란 꿈을 이루는 4가지 기술(Four 技) 36
꿈의 ‘실패’와 ‘포기’의 차이 37
꿈꾸기 위한 작은 성공(Small Victory) 습관 38
꿈을 이룬 사람들이 즐겨 쓰는 단어들 39
꿈을 이룬 사람들이 즐겨 쓰는 문장들 40
기록하면서 나의 꿈 찾기(예시 30가지) 41
꿈을 꾸고 있는 사람들의 특징 42
꿈을 이루기 위한 ‘화두(話頭)’ 찾기 43
꿈을 이루기 위한 30일(1달) 습관 만들기 예시(기초) 44
꿈을 이루기 위한 60일(2달) 습관 만들기 예시(심화) 45
꿈을 이루기 위한 인생 운명의 ‘단어’ 46
꿈을 이루는 데 도움이 되는 ‘자연 생태계’들 47
꿈을 이루는 데 도움이 되는 ‘꿈의 호르몬’들 50
꿈을 이루는 데 도움이 되는 ‘용어(用語)’들 52
꿈을 이루는 데 도움이 되는 ‘공식(公式)’들 54
드림(버킷) 리스트(Dream List, Bucket List) 58
삶의 목표라는 ‘꿈(Dream)’과 ‘버킷 리스트(Bucket List)’ 59

2. 꿈에 대하여
‘꿈이 있는 동네’에서 볼 수 있는 100가지 모습 62
‘꿈이 없는 동네’에서 볼 수 있는 100가지 모습 63
주소로 알아보는 꿈이 있는 사람들과 없는 사람들 64
꿈의 ‘학교’를 알고 있는가? 65
꿈을 가로막는 5대 ‘적(敵)’은 무엇일까? 66
꿈을 여행할 것인가? 관광할 것인가? 67
꿈에는 ‘남들처럼’이나 ‘남들보다’가 아닌 ‘바로 나’ 68
‘나(自)’의 소중함을 얼마나 알고 있는가? 70
꿈을 향한 적극적인 사고방식 71
꿈이 저절로 영글리가 없다 72
꿈의 ‘와이파이(Wi-Fi)’를 찾아다녀라 73
꿈은 ‘1kg의 계획’보다 ‘1g의 실천’이 중요하다 74
꿈의 1% 법칙(The 1 percent Rule) 75
‘끝’ 글자로 알아보는 다양한 꿈의 직업들 77
세상에 ‘나쁜 직업’은 없다. ‘맞지 않는 직업’만 있을 뿐 78
꿈은 시간이 나서 하는 것이 아니라 시간을 내서 하는 것이다 80
꿈은 ‘크면 클수록’ ‘더 작고 간단’하게 시작해야 한다 81
꿈은 ‘지금-여기’부터 시작하는 것이다 82
꿈은 ‘지금까지’보다 ‘지금부터’이다 83
꿈은 ‘나중, 다음’이 아닌 ‘지금’이다 84
꿈은 ‘소유’보다 ‘경험’이 중요하다 85
꿈은 ‘패션(Fashion)’ 보다는 ‘스타일(Style)’ 86
그대는 꿈을 ‘모래’에 새길 것인가? ‘바위’에 새길 것인가? 87
꿈은 ‘평균’이나 ‘표준’에 얽매이지 않는다 88
꿈을 꾸는 여정은 ‘속도’보다 ‘방향’이다 89
꿈이 없는 자! ‘기울어진 운동장’과 ‘유리 천장’ 탓한다 90
꿈은 남다른 ‘?’가 쌓이고 쌓여 ‘!’가 되는 과정이다 91
꿈은 ‘덤’이나 ‘별책(別冊)부록’이 아니다 92
지금 생각대로 살지 않으면 사는 대로 생각하게 된다 93
아무 것도 하지 않으면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다 94
‘때문에’와 ‘덕분에’ 어느 단어를 쓰는가? 95
꿈은 ‘몸’과 ‘마음’이 함께하는 시간에 비례한다 96
꿈은 ‘비르투(노력)’가 앞서고 ‘포르투나(운명)’가 뒤따른다 97
어떤 칼라(Collar)의 꿈 블루? 화이트? 그레이? 골든? 실리콘? 98
‘Digital Nomad(디지털 유목민)’ 시대의 ‘Dream Nomad’ 99

3. 그대여! 이렇게 꿈꿔라
세상을 향해 마음껏 꿈꾸는 그대가 ‘바로 나’다 103
시간 흐르는 대로 아무 생각 없는 사람은 ‘아무나’다 104
그대 머리가 ‘잔머리’가 아닌 ‘일머리’가 되게 하라 105
그대 뇌(腦)가 ‘번뇌, 고뇌’가 아닌 ‘주뇌’가 되게 하라 106
그대 코가 ‘잠자코’가 아닌 ‘기어코’가 되게 하라 107
그대 귀가 ‘콧방귀나 팔랑귀’가 아닌 ‘존귀와 고귀’가 되게 하라 108
그대 입이 ‘맨입’이 아닌 ‘몰입’이 되게 하라 109
그대 이가 ‘몽니’가 아닌 ‘하모니(Harmony)’가 되게 하라 110
그대 목이 ‘맹목이나 반목’이 아닌 ‘안목이나 화목’이 되게 하라 111
그대 손이 ‘훼손이나 파손’이 아닌 ‘겸손과 일손’이 되게 하라 112
그대 발이 ‘오리발이나 반발’이 아닌 ‘자발과 활발’이 되게 하라 113
그대 다리가 ‘헛다리와 구닥다리’가 아닌 ‘사다리와 무쇠다리’가 되게 하라 114
그대 몸이 ‘멱살, 망신살’이 아닌 ‘익살, 햇살’이 되게 하자 115
그대 심장에 ‘기피(忌避), 회피(回避), 도피(逃避)’가 아닌 ‘해피(Happy)’가 흐르게 하라 116
그대 신발을 ‘맹신, 과신’이 아닌 ‘소신, 자신’을 신으라 117
그대 안경을 ‘색안경(色眼鏡)’이 아닌 ‘삼매경(三昧境)’을 쓰라 118
그대 시력이 ‘근시, 난시’가 아닌 ‘역시’가 되게 하라 119
그대 눈이 ‘색맹’보다 ‘꿈맹’이 되지 않게 하라 120
그대! ‘누군가’가 아닌 ‘내가(歌)’를 노래하라 121
그대! ‘눈총’이 아닌 ‘눈빛’을 사용하라 122
그대! ‘거짓말, 막말, 반말’이 아닌 ‘참말, 바른말, 존댓말’을 하라 123
그대! ‘군소리, 허튼소리’ 하지 않고 ‘똑소리, 웃음소리’를 내라 124
그대! ‘비웃음, 쓴웃음’이 아닌 ‘함박웃음’을 지어라 125
그대! ‘꼰대’ 말고 ‘환대, 관대, 존대, 접대’하라 126
그대! ‘깔깔(성깔, 눈깔)’이 아닌 ‘깔깔깔깔(빛깔, 색깔, 맛깔, 깔깔)’ 하라 127
그대! ‘콜콜(리콜, 시시콜콜)’이 아닌 ‘콜콜콜(앵콜, 러브콜, 커튼콜)’ 하라 128
그대! ‘앞태’ 못지않게 ‘뒤태’도 아름답게 하라 129
그대! ‘몸매, 구매’가 아닌 ‘눈매’를 가져라 130
그대! ‘좌뇌(左腦)’와 ‘우뇌(右腦)’를 함께 써라 131
그대! 몸의 ‘플렉스(Flex)’보다는 생각의 ‘플러스(Plus, +)’를 하라 132

4. 꿈을 이루는 사람들
나만 힘든가? 그러나 성공한 이들도 힘든 시기가 있었다 136
신체의 약점을 극복한 성공인 137
학력! 그런 것 신경 안 쓴다. 학력에 당당한 직업인 138
꿈을 위해 가난에 누구보다 당당한 성공인 139
누구보다 끝없는 도전으로 꿈을 이룬 성공인 140
한때는 공부 꼴찌였지만…. 세레나데를 부르는 성공인 141
어릴 적 꿈을 마침내 이룬 성공인 142
‘나이’, 그까짓 것… 늦은 때란 없다는 도전인 143
‘카르페 디엠(Carpe Diem, 지금을 즐겨라)’ 144
‘아모르 파티(Amor Fati, 運命愛, 운명을 사랑하라)’ 145
‘비바 라 비다(Viva La Vida, 인생이여 만세)’ 146
‘꼭두각시’가 아닌 ‘우렁각시’ 147
‘린치핀(Linchpin)’과 ‘킹핀(Kingpin)’ 148
‘검은 백조(Black Swan, 블랙스완)’와 ‘회색코뿔소(Grey Rhino)’ 149
‘다크호스(Dark Horse)’와 ‘보랏빛 소(Purple Cow)’ 150
‘네오포비아(Neophobia)’가 아닌 ‘네오필리아(Neophilia)’ 151
‘레드오션(Red Ocean)’이 아닌 ‘블루오션(Blue Ocean)’ 152
‘디스토피아(Dystopia)’가 아닌 ‘유토피아(Utopia)’ 153
‘크로노스(Kronos)’가 아닌 ‘카이로스(Kairos)’ 154
‘소유자(Owner)’가 아닌 ‘승자(Winner)’ 155
‘오너스(Onus)’를 넘어 ‘보너스(Bonus)’ 156
‘카오스(Chaos)’를 넘어 ‘코스모스(Cosmos)’ 157
‘스카(Scar, 상처)’를 넘어 ‘스타(Star)’ 158
‘콜라보(Collaboration)’로 ‘브라보(Bravo)’ 159
‘V-log(Video-log)’로 ‘로그인(Log-in)’ 160
‘샤우팅(Shouting)’과 함께 ‘파이팅(Fighting)’ 161
‘마이크로(Micro)’와 함께 ‘매크로(Macro)’ 162
‘빵빠레(Fanfare)’와 함께 ‘피날레(Finale)’ 163
‘오소독스(Orthodox)’인가? ‘사우스포(South Paw)’인가? 164
‘머피(Murphy)의 법칙’이 아닌 ‘샐리(Sally)의 법칙’ 165

5. 꿈꾸는 자의 다양한 모습
꿈꾸는 자! 그대 스스로를 고용하라 168
꿈꾸는 자! ‘오감(五感)’에서도 답을 찾는다 169
꿈꾸는 자! ‘지능(知能, IQ)’이 아닌 ‘지혜(智慧)’로 산다 170
꿈꾸는 자! ‘도박’이 아닌 ‘도전’을 즐긴다 171
꿈꾸는 자! ‘가치(價値)’만큼 소중한 ‘같이’ 172
꿈꾸는 자! ‘맨날, 허구한 날’이 아닌 ‘앞날’을 꿈꾼다 173
꿈꾸는 자! ‘오발탄, 불발탄, 공포탄’이 아닌 ‘신호탄, 조명탄, 직격탄’을 쏜다 174
꿈꾸는 자! ‘5소문(헛소문, 뜬소문, 악소문, 뒷소문, 호소문)’이 아닌 ‘입소문’이 난다 175
꿈꾸는 자! ‘쓴잔, 패잔’이 아닌 ‘축배’을 든다 176
꿈꾸는 자! ‘완벽, 철벽’이 아닌 ‘개벽’을 넘는다 177
꿈꾸는 자! ‘기진맥진, 지지부진’이 아닌 ‘흥미진진, 무궁무진’하다 178
꿈꾸는 자! ‘잿빛’이 아닌 ‘장밋빛’을 본다 179
꿈꾸는 자! ‘남이 하라는 대로’가 아닌 ‘꿈꾸는 대로’를 걷는다 180
꿈꾸는 자! ‘뒤안길, 방랑길’이 아닌 ‘꿈길’을 걷는다 181
꿈꾸는 자! ‘염병(染病)’이 아닌 ‘열병(熱病)’을 앓는다 182
꿈꾸는 자! ‘보석(寶石)’처럼 빛나기 전 ‘원석(原石)’이었다 183
꿈꾸는 자! ‘열불’이 아닌 ‘등불’을 켠다 184
꿈꾸는 자! 학창 시절 ‘내신’이 아닌 ‘자신’을 믿는다 185
꿈꾸는 자! ‘평범(平凡)’을 넘어 ‘비범(非凡)’으로 나아간다 186
꿈꾸는 자! ‘방전’이 되지 않도록 끊임없는 ‘충전’을 한다 187
꿈꾸는 자! ‘차별(差別)’이 아니라 ‘샛별’을 본다 188
꿈꾸는 자! ‘학벌(學閥)’이 아닌 ‘심벌(Symbol)’을 만든다 189
꿈꾸는 자! ‘실패’를 넘어서 ‘제패(制?)’한다 190
꿈꾸는 자! 댓글(Reply, 리플)은 ‘악플’이 아닌 ‘선플’ 191
꿈꾸는 자! ‘학연, 혈연, 지연’이 아닌 ‘인연’으로 살아간다 192
꿈꾸는 자! ‘로또(Lotto)’가 아닌 ‘마니또(Manito)’를 가진다 193
꿈꾸는 자! ‘초심’과 ‘열심’ 못지 않게 ‘뒷심’도 발휘한다 194
꿈꾸는 자! ‘기억력’ 보다 ‘상상력’을 발휘한다 195
꿈꾸는 자! ‘검색’보다 ‘사색(思索)’을 더 많이 한다 196
꿈꾸는 자! ‘꾸미기’보다 ‘가꾸기’를 한다 197
꿈꾸는 자! 행동은 ‘인싸(Insider)’, 생각은 ‘아싸(Outsider)’ 한다 198
꿈꾸는 자! ‘무덤덤’ 하지 않고 ‘팬덤(Fandom)’을 즐긴다 199
꿈꾸는 자! ‘브랜드(Brand)’보다 ‘마인드(Mind)’를 중시한다 200
꿈꾸는 자! ‘컨택트(Contact)’와 ‘언택트(Untact)’를 넘나든다 201
꿈꾸는 자! ‘가글링’ 하듯 ‘구글링(Googling)’도 한다 202
꿈꾸는 자! ‘슈퍼카(Super-car)’가 아닌 ‘유레카(Eureka)’를 탄다 203
꿈꾸는 자! ‘아파트(Apartment)’가 아닌 ‘아지트(Agitpunkt)’를 가진다 204
꿈꾸는 자! ‘빅뱅(Big-bang)’같은 ‘인터러뱅(Interrobang)’를 좋아한다 205
꿈꾸는 자! ‘잡필(雜筆)’로 시작하여 ‘집필(執筆)’을 한다 206

6. 꿈을 가꾸어가는 모습
꿈은 ‘날갯짓(본캐)’과 ‘딴짓(부캐)’으로 함께 난다 210
아는 ‘척’, 보는 ‘척’, 듣는 ‘척’, 믿는 ‘척’하지 말고 엄지 ‘척’ 한다 211
꿈은 ‘꼼수, 속임수’가 아닌 ‘신의 한 수’를 둔다 212
꿈이 있는 놈! 꿈이 없는 놈! 꿈만 꾸는 놈! 213
꿈은 ‘비틀비틀’해도 ‘꿈틀꿈틀’ 나가는 것이다 214
‘꿈 일기’는 ‘부글부글’이 아닌 ‘싱글벙글’로 쓴다 215
꿈의 책은 ‘자책, 무대책’이 아닌 ‘묘책, 최선책’이다 216
이제는 진정 ‘학부모(學父母)’가 아닌 ‘부모(父母)’의 시대이다 217
꿈꾸기는 ‘모범생’보다 ‘모험생’이 더 유리하다 218
이런 날이 올 ‘줄’과 내 이럴 ‘줄’ 그리고 ‘씨줄’과 ‘날줄’ 219
꿈은 ‘발끈’보다 ‘7끈(끈끈, 매끈, 따끈, 화끈, 질끈, 너끈, 불끈)’ 220
꿈은 ‘불쾌’보다 ‘7쾌(유쾌, 상쾌, 통쾌, 경쾌, 흔쾌, 완쾌, 명쾌)’ 221
꿈의 ‘겨자씨’는 ‘7씨(맵씨, 솜씨, 말씨, 맘씨, 글씨, 불씨, 홀씨)’ 222
꿈은 ‘Painful(괴로운)’이 아닌 ‘멋진 8-ful’로 자라난다 223
‘절망(絶望)’의 ‘덫’에 빠지지 말고 ‘희망(希望)’의 ‘닻’을 올려라 224
꿈은 ‘우연’으로도 찾아오지만, ‘필연’을 동반한다 225
꿈은 ‘흉내’를 내는 것이 아니라 ‘땀내’가 나야 한다 226
꿈은 ‘시늉’이 아니라 ‘숭늉’처럼 우러나야 한다 227
꿈은 ‘첫걸음’으로 시작하고 ‘한 걸음’씩 나아가는 것이다 228
꿈은 ‘뒷바람(순풍, 順風)’도 만나고 ‘맞바람(역풍, 逆風)’도 만난다 229
꿈의 여정에서 만나는 돌은 ‘걸림돌’인가? ‘디딤돌’인가? 230
함께하는 꿈은 ‘손사래’가 아니라 ‘헹가래’이다 231
진로(進路)는 ‘저절로’나 ‘탄탄대로’가 아니며, ‘미로’도 아니다 232
꿈의 하루하루는 ‘차일피일’이 아니라 ‘매일 매일’이다 233
‘전지전능’이나 ‘다재다능’이 아니라 ‘대체 불가능’이 되자 234
꿈의 ‘굶주림’이 ‘몸부림’을 부른다 235
꿈은 ‘절박(切迫)’할수록 ‘대박’에 가까워진다 236
꿈은 ‘수치(數値)’가 모여서 ‘가치(價値)’를 만든다 237
꿈의 미완성은 경제적 ‘궁핍(窮乏)’보다 정신적 ‘결핍(缺乏)’에서 비롯된다 238
꿈꾸는 일에 ‘정답(正答)’만 찾으면 ‘답답’해지게 된다 239
꿈은 ‘이기적(利己的)’ 보다 ‘이타적(利他的)’일 때 더 잘 자란다 240
꿈은 ‘푸념, 체념, 단념’하지 않고 ‘이루려는 신념’에 ‘전념’한다 241
비록 ‘금수저’는 아니지만 ‘꿈수저’는 만들 수 있다 242
일상의 ‘덕후’가 일생의 ‘노후(老後)’를 즐길 수 있다 243
‘부정적 생각’은 들어내고 ‘긍정적 생각’은 드러내자 244
꿈의 ‘세러머니(Ceremony)’가 최고의 ‘머니(Money)’ 245

7. 꿈을 이끌어가는 관점
꿈을 ‘Long-run’을 하기 위해서는 ‘Long-learn’을 해야 한다 248
꿈을 ‘Lead’ 하기 위해서는 ‘Read’ 해야 한다 249
꿈은 ‘Our’와 ‘Hour’의 소중함을 되새긴다 250
꿈은 ‘END’보다는 ‘AND’에 가깝다 251
꿈은 ‘Right’해야 ‘Light’가 된다 252
꿈을 이루려는 의지의 ‘아이(Eye)’가 ‘아이(I)’를 만든다 253
꿈은 ‘YOLO(욜로)’와 ‘YODO(요도)’가 함께 한다 254
꿈은 ‘Zoom-in’과 ‘Zoom-out’을 넘나든다 255
꿈은 ‘인증 샷’으로 시작하여 ‘인생 샷’으로 완성한다 256
‘할 수 없는’과 ‘할 수 있는’은 글자 받침 차이 뿐 257
꿈은 ‘마이너스(Minus)의 손’이 아닌 ‘마이더스(Midas)의 손’ 258
꿈은 ‘인터뷰어(Interviewer)’인가? ‘인터뷰이(Interviewee)’인가? 259
위대한 꿈의 ‘비전(Vision)’이 새로운 ‘버전(Version)’들을 만들어간다 260
꿈꾸는 ‘아이들’이 자라서 ‘아이돌’이 된다 261
꿈에 ‘미치지’ 못하면 ‘마치지’ 못할 수 있다 262
꿈을 ‘잊고’ 있나요? ‘잇고’ 있나요? 263
그대는 꿈의 ‘포로’인가? ‘프로’인가? 264
진정한 꿈은 ‘입시(入試)’나 ‘입사(入社)’ 따위에 현혹되지 않는다 265
진정한 꿈은 ‘걱정’이 아닌 ‘격정(激情)’으로 이룬다 266
꿈꾸지 않는 병은 ‘고질 병(病)’인가? ‘고칠 병(病)’인가? 267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진로’와 ‘진료’ 268
진로가 없는 진학은 무의미하다 269
세상을 바라보는 창문, 관점 270
세상을 바라보는 개(犬, 견) 8마리 271
세상을 바라보는 닭(鷄, 계) 8마리 272
사람은 보고 싶어 하는 것만 보고 믿고 싶은 것만 믿는다 273
자신의 관점과 이중잣대 275
꿈은 ‘성적’인가? ‘적성’인가? 276
‘기적’을 바라는 자는 ‘적기’를 가벼이 하지 마라 277
일반고등학교 학생의 생각들 278
학교에 관한 여러 가지 생각들 280
내가 아는 곳들에 관한 생각 281
나는 무슨 생각을 많이 하는가? 282
삶에서 무시할 수 없는 ‘돈’에 대한 생각들 283
자살 금지! 살자 지금! 284
심야에 가출(家出)? 야심차게 출가(出家)? 285
점(·) 하나로 세상을 다르게 볼 수 있다. 286
시간과 세월은 가는 것인가? 오는 것인가? 290

부록
꿈을 이루기 위해 주변에 꿈을 적는 곳 292
꿈을 이루기 위한 내 운명 ‘단어(Keyword)’ 찾기 293
꿈을 이루는 데 도움이 되는 ‘심리적 현상(現想)’들 294
꿈을 이루는 데 도움이 되는 ‘행운의 주문(呪文)’들 295
꿈을 이루는 데 도움이 되는 ‘한 줄 명언’ 296
무언가를 살 수 있는 ‘돈’과 무언가를 할 수 있는 ‘꿈’ 297
꿈(Dream) 사전(事典) 298
꿈 수식(數式) 302
꿈 십자말 303
Dream Diary(四子成語, 사자성어) 304
Author
김민환
거제제일고등학교 공모 교장(2020.3.1. ~ 2024.2.29.)
이학박사
중등학교 수학교사 26.6년, 진로진학상담교사 3.6년
경남교육청 진로교육 담당 장학사 4.6년
전 교육부 교육과정심의위원회(진로와 직업) 심의위원(4년)
전 중학교 진로와 직업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 검수위원
현 고등학교 진로와 직업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 집필위원
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대입상담교사단(3년)
전 커리어넷 사이버 진로상담원(4년)
진로독서 가이드북(2013, 공저)
교육부 및 교육청 진로교육 자료 개발(16회)
교육부 및 교육청, 지자체 심사, 자문, 심의 등 위촉 활동(50회)
교육부 및 교육청, 지자체 진로교육 심포지움, 포럼, 워크숍 패널 참석(10회)
학생, 학부모, 교사 및 지자체 등 전국 진로교육 특강 150회
(서울대, 경상대, 인제대, 대교협, 강원, 대전, 대구, 울산, 경북, 경남, 한국고용정보원, 통계청, 농업진흥청, 김해도서관 등)
거제제일고등학교 공모 교장(2020.3.1. ~ 2024.2.29.)
이학박사
중등학교 수학교사 26.6년, 진로진학상담교사 3.6년
경남교육청 진로교육 담당 장학사 4.6년
전 교육부 교육과정심의위원회(진로와 직업) 심의위원(4년)
전 중학교 진로와 직업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 검수위원
현 고등학교 진로와 직업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 집필위원
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대입상담교사단(3년)
전 커리어넷 사이버 진로상담원(4년)
진로독서 가이드북(2013, 공저)
교육부 및 교육청 진로교육 자료 개발(16회)
교육부 및 교육청, 지자체 심사, 자문, 심의 등 위촉 활동(50회)
교육부 및 교육청, 지자체 진로교육 심포지움, 포럼, 워크숍 패널 참석(10회)
학생, 학부모, 교사 및 지자체 등 전국 진로교육 특강 150회
(서울대, 경상대, 인제대, 대교협, 강원, 대전, 대구, 울산, 경북, 경남, 한국고용정보원, 통계청, 농업진흥청, 김해도서관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