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곱얼굴 고려사

BOOKK(부크크) 출판사의 상품은 주문 제작 도서로 주문취소 및 반품이 불가하며, 배송완료까지 KBOOKSTORE 배송 일정 기준 +7일이 추가됩니다.
$64.77
SKU
9791137246379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ue 12/10 - Mon 12/16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hu 12/5 - Mon 12/9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1/05/28
Pages/Weight/Size 188*257*40mm
ISBN 9791137246379
Categories 사회 정치 > 사회학
Contents
머 리 말 ⅴ

제 1 부 ‘고려국가연구’ 이론

여 는 장

1. 연구 목적과 연구 문제 1
2. 연구의 과제 3
3. 연구방법 5

제 1 장 고려국가에 대한 국가이론적 접근

1. 종합 학문으로서의 국가이론과 국가학 8
(1) 고려국가에 대한 기존 학문과 접근들의 평가 종합 / 8
(2) 기존 학문 연구의 한계와 극복 / 9
(3) 융합·통합·종합학문으로서의 국가학과 국가이론 / 9
(4) 역사 주체로서의 7가지 수준의 국가 개념 변수 / 10
2. 상위맥락으로서의 국가 12
(1) '나라'로서의 국가 / 12
(2) '지배이데올로기·상부구조'로서의 국가 / 15
(3) '지배연합·지배계급·지배블럭'으로서의 국가 / 16
3. 중간맥락으로서의 국가 17
(4) '사회관계의 응집'으로서의 국가 / 17
(5) '관료기구와 법 질서의 총체'로서의 국가 / 18
(6) '정부·정권·통치집단'으로서의 국가 / 19
4. 하위맥락 구성부문으로서의 국가 20
(7) '국왕·국가관리자·국가엘리트'로서의 국가 / 20
5. 3차원과 7가지 개념 변수 수준의 종합 23
(1) 이론적 관점과 선행연구들의 관계 / 23
(2) 국가개념의 맥락과 계층구조에 대한 주요 학자들의 국가이론 비교 / 24
6. 국가위기와 세계체제 위기 및 사회계급 위기 26
(1) 세계체제위기와 고려 / 26
(2) 사회계급위기와 고려 / 27
(3) 상위맥락에서의 국가위기 / 28
(4) 중간맥락에서의 국가위기 / 30
(5) 하위맥락 구성부문에서의 국가위기 / 31
7. 국가위기와 국가변동의 일반이론: 문명순환론, 국가발전론, 세계체제론 및
국가변동론 31
(1) 스펭글러의 문명순환론과 기승전결론 / 31
(2) 알몬드와 박동서의 국가발전 이론: 국가형성, 국민형성, 경제발전, 참여 및 배분 / 33
(3) 스펭글러의 문명순환론과 알몬드의 국가발전단계론의 통합 / 33
(4) 토인비의 문명순환론 / 34
(5) 크레벨드의 국가발전의 단계별 유형과 전개 / 38
(6) 진덕규와 만의 IEMP 이론에 따른 국가의 유형과 역사적 전개 /39
(7) 국가의 7가지 개념 변수 간의 상호관계: 내인론, 외인론 및 통합론 / 41
8. 저자의 국가위기와 국가변동론 46
(1) 국가위기와 국가변동론 / 46
(2) 저자의 중세국가 이후 근현대국가의 융성과 몰락에 따른 국가변동론 / 48
(3) 통합론 / 53
9. 국가성격과 국가능력의 변화 54
(1) 국가의 역할 / 54
(2) 국가의 힘 / 55
(3) 국가자율성 / 55
(4) 국가의 비연속성과 연속성 / 56
(5) 국가의 '비동시성의 동시성'과 '동시성의 비동시성’ / 57
(6) 국가의 경로창조성과 경로의존성 / 59
(7) 거버넌스와 거버넌스 능력 / 61
(8) 국가능력, 시장능력, 시민사회능력 및 거버넌스 능력 / 62
10. 행정과 행정의 변화 64
(1) '관료기구와 법질서의 총체로서의 국가'와 행정의 관계 / 64
(2) 행정환경 / 64
(3) 행정의 주체와 행정제도 / 65
(4) 이 책에서의 행정의 내용 / 66
11. 정책과 정책의 변화 67
(1) 정책유형의 이론적 분류 / 67
(2) 한국의 행정과 정책의 유형 분류 / 67
(3) 정책유형과 국가변동 및 국가발전단계와의 통합 / 69
12. 한국 중세국가에 대한 융합학문적 접근과 통합적 연구방법 70
(1) 정상과학과 융합적 접근의 필요성 / 70
(2) 상위맥락·중간맥락·구성부문에 대한 다양한 연구방법 / 72
(3) 국가의 7가지 개념 변수별 접근방법 / 75
(4) 국가, 국가위기, 국가변동, 및 국가능력의 상호관계 비교 개괄 / 79
13. 이 책의 분석틀 80
(1) 이 책의 거시적 분석틀 / 80
(2) [분석틀 Ⅰ]: 국가의 7가지 개념 변수별 분석 / 80
(3) [분석틀 Ⅱ]: 세계체제·사회계급·7개의 변수간 상호관계 분석틀 / 81
(4) [분석틀 Ⅲ]: 국가·위기·변동·성격변화·행정·정책의 분석틀 / 81
(5) [분석틀 Ⅳ]: 세계체제·사회계급·국가간의 상호활동 분석틀 / 82
(6) [분석틀 Ⅴ]: 세계체제와 사회계급 중심의 국가 유형 분석틀 / 83
14. 고려의 기·승·전·결 시대구분 83
(1) 고려의 시대구분 / 83
(2) 저자의 고려 시기구분의 기준과 기·승·전·결의 네 시기 / 86

제 2 부 상위맥락으로서의 고려국가

제 2 장 고려의 '나라'로서의 국가

1. '나라'로서의 국가: 황제국 89
(1) '나라'로서의 국가 / 89
(2) 황제국가로서의 고려 / 92
2. 황제국으로서의 국호 및 연호 등 109
(1) 국호로서의 '고려’와 '코리아' /109
(2) 황제국으로서의 황제·연호 사용 등 /110
(3) 황제국으로서의 여러 체제들 /111
3. 민족형성과 국민형성 111
(1) 고려의 민족형성과 국민형성 / 112
(2) 한민족과 고려의 민족·국민의 단일적 성격 / 125
(3) 단일민족론 비판과 평가 / 134
(4) 다원적·개방적·역동적·다종족적 성격 / 137
(5) '삼한일통'·'삼국부흥운동'에서 고조선계승과 '고려국가 단위의 사회통합' / 139
(6) 고려의 민족구성과 인구 구성 / 146
4. 영토 154
(1) 영토 / 154
(2) 고려 영토에 대한 새로운 학설들 / 158
(3) 고려의 영토 변동 / 177
5. 도읍지·황도·수도·부수도 193
(1) 도읍지 개경의 역사와 행정 / 193
(2) 황도 개경의 구성 / 195
(3) 임시 수도 강도 시기 / 200
(4) 부수도: 양경·3경·4경제 / 202
(5) 5도·5도호부·8목 / 204
(6) 천리장성·고려장성 / 205
6. 주권을 유지하기 위한 전쟁과 외교 206
(1) 고려시대 주권의 성격 / 206
(2) 절대권력으로서의 주권 형성 및 확장 과정 / 207
(3) 거란과 몽골 등 주변 국가들과의 전쟁을 중심으로 본 주권 / 210
(4) 고려의 주권 유지와 외교 / 214
(5) 역대 국왕들의 계승 및 폐위 등을 통한 주권의 성격 변화 / 215
(6) 원 간섭기의 내정간섭의 유형과 주권 / 216
7. '나라로서의 국가'의 전개 219
(1) 주요 역사적 사건들의 시기별 전개 / 219
(2) 주요 역사적 사건들의 시기별 정리 / 221
8. 동북아시아 대제국으로서의 고려의 전개와 국가능력 223

제 3 장 고려의 '지배이데올로기·상부구조'로서의 국가

1. 고려 지배이데올로기·상부구조의 전개 225
(1) 고조선계승주의·고구려계승주의·신라계승주의 / 225
(2) 고조선민족주의·단군민족주의 /229
(3) '조선역사상 1천 년내 제1대 사건': 묘청의 난 진압과 윤관의 9성 반환 / 244
2. 고려의 종교와 지배이데올로기의 전개 247
(1) 건국 초기의 유교·불교·선교·풍수지리의 융합사상 / 247
(2) 중기 이후의 유교와 불교 / 249
(3) 후기 성리학·주자학의 등장 / 249
(4) '삼국부흥운동'에서 '고려국가 단위의 사회통합' / 249
3. <훈요십조>와 고려의 지배이데올로기 250
(1) <훈요십조>의 서론으로서 태조의 입장 피력 / 251
(2) <훈요십조> 본문의 내용 / 252
(3) <훈요십조>의 의의 / 253
(4) <훈요십조>의 발견 경위와 위작설 / 255
(5) 지배이데올로기로서의 불교이념과 유교이념의 관계 / 260
4. '치국의 도'로서의 유교와 유교지배이데올로기 261
(1) 유교와 역대 제왕의 노력 / 261
(2) 유교지배이데올로기와 유교정치 / 264
(3) 유학파와 국풍파의 대결 / 265
(4) 성리학(신유교)의 수용과 분화 / 266
(5) 성리학의 발전과 사대부세력의 성장 / 268
5. 고려의 대승불교와 불교지배이데올로기 278
(1) 고려의 호불정책과 불교사원의 정치세력화 / 278
(2) 불교의 발달과 교리정리 및 대장경 조판 / 284
(3) 교종과 선종의 통합과 조계종의 성립 / 285
(4) 원간섭기 불교계의 변화와 발전 / 288
6. 고려의 지배이데올로기로서의 풍수지리사상과 도교 289
(1) 풍수지리사상 / 289
(2) 도교와 민간신앙 / 291
7. 고려시대의 경제사상 295
(1) 유교·불교 이념과 경제순환사상 / 295
(2) 중농이념과 상업관 및 화폐·이자관 등의 경제관 / 295
8. 무신집권시기 지배이데올로기의 확산과 역사의식 296
(1) 문신들의 좌절과 문학활동 / 296
(2) 지배이데올로기의 확산과 역사의식 / 297
9.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나타난 이데올로기적 대결 300
(1) 《삼국사기》 편찬과정의 이데올로기적인 대결 / 300
(2) 《삼국유사》에 나타난 국풍파·불교·왕권파의 응전 / 301
(3) 《제왕운기》에서의 단군조선과 고려 국가 뿌리관 / 303
(4) 세계주의와 고려의 주체적 역사의식 / 304
10. 유교합리주의와 불교전통주의, 국풍과 당풍·화풍·유학 305
11. 고려시대 '지배이데올로기로서의 국가'의 전개 307
(1) 건국 초기의 유교·불교·선교·풍수지리의 융합사상 / 307
(2) 중기 이후의 유교와 불교 / 307
(3) 성리학·주자학의 등장 / 307
12. 고려의 지배이데올로기와 고려의 문화력 309
제 4 장 고려의 '지배연합·지배계급'으로서의 국가

1. 고려의 지배연합과 지배계급의 성격 310
(1) 호족연합정권론을 중심으로 한 지배계급·지배연합 성격 논쟁 / 310
(2) 귀족제사회설(음서제설)과 관료제사회설(과거제설)의 논쟁 / 313
2. 고려 사회 호족연합·지배세력의 형성과 왕권의 견제 314
(1) 태조의 호족포용정책과 결혼정책 및 사성정책 / 314
(2) 호족 견제정책과 《훈요십조》 / 315
(3) 광종과 성종의 왕권강화와 중앙집권 강화 정치개혁 / 316
(4) 중앙통치조직과 지방행정체제 강화에 의한 호족의 권력 약화 / 316
3. 지배세력의 변동 316
(1) 고려사회의 중층적 갈등구조와 반란의 발생 / 316
(2) 개경문벌·외척세력의 등장과 왕권·신권의 갈등: 이자겸의 난 / 317
(3) 문신개경세력과 서경문신세력으로의 분화와 권력투쟁: 묘청의 난 / 321
(4) 문벌귀족의 횡포와 무신세력의 등장: 무신의 난 / 326
(5) 최씨 무신정권 시대 / 329
(6) 무신정권의 영향과 고려사회의 변화 / 333
(7) 피지배층의 세력화와 농민봉기·농민항쟁 / 334
4. 원 간섭기 부원세력의 등장 342
(1) 고려와 원의 왕실 간 결혼동맹과 고려 지배연합의 성격 / 342
(2) 여몽전쟁 시기의 반국가적 부원세력의 등장 / 344
(3) 고려에서의 부원세력의 등장 / 346
(4) 신흥사대부층의 등장과 정권변동 / 347
5. 고려시대 '지배연합·지배계급으로서의 국가'의 전개 351

제 3 부 중간맥락으로서의 고려국가

제 5 장 고려의 '사회관계 응집'으로서의 국가

1. 사회관계의 응집: 고려 국가형성의 생산과 기술의 기초 353
(1) 중세 고려의 사회관계에 대한 다양한 이론 / 353
(2) 한국 고대 및 중세사회 발전단계에 대한 여러 가설 / 356
(3) 마르크스주의 봉건사회론과 중세 노예제사회론 / 357
2. 고려 중세사회의 계급구조 358
(1) 고려의 지배계급과 피지배계급 / 358
(2) 고려의 신분·계급 구조 / 363
(3) 고려사회의 신분구조와 직역구조 / 372
3. 고려사회의 성격: 귀족사회인가, 관료제사회인가? 377
(1) 귀족제사회설(음서제설)· 관료제사회설(과거제설)· 문벌귀족사회설 / 377
(2) 고려사회의 귀족사회성과 관료사회성 / 378
(3) 귀족제사회설과 그 비판 내용 / 381
(4) 양반사회론과 다원사회론 / 382
4. 고려의 본관제와 지방지배질서 및 민족통합 386
(1) 고려사회의 본관제 / 386
(2) 사성정책과 본관제 / 387
(3) 군현제 개정 / 388
(4) 역분전의 시행 / 389
(5) 본관제를 보는 시각 / 389
(6) 본관제 시행의 배경 / 390
(7) 본관제의 특징 / 391
5. 경제력을 중심으로 한 사회관계의 응집 형성 393
(1) 신라통일기 사회관계의 역사적인 모순구조 / 393
(2) 고려의 후삼국 통합과 역사적 모순의 극복 노력 / 395
6. 경제·과학기술과 사회관계의 변화 396
(1) 화약제조와 해군력 향상 무기체계 구축 / 396
(2) 목화의 도입과 직조기술의 발명으로 인한 의생활 혁신 / 396
(3) 농업기술의 변화와 농업생산력 변화 / 397
(4) 세계 최초 금속활자 발명과 인쇄술의 발달 / 397
(5) 고려청자의 발명과 문화력 발달 / 398
(6) 과학기술과 의·약학의 발달과 선진문명국가로의 발전 / 398
7. 사회관계의 응집과 중세국가의 형성 402
(1) 한국 중세의 사회관계 성격 논쟁: 국내 차원과 세계 차원 / 402
(2) 고려의 사회관계와 국가의 형성 / 405
8. 고려시대 '사회관계 응집으로서의 국가'의 전개 405

제 6 장 고려의 '관료기구와 법질서의 총체'로서의 국가

1. 고려의 '관료기구와 법 질서의 총체'로서의 국가 407
(1) 헌법으로서의 <훈요십조>와 최승로의 시무책 / 407
(2) 귀족관료국가의 제도화와 법질서 확립 / 408
(3) 귀족관료국가의 정립과 법·제도화 확립 / 409
2. 고려 귀족관료국가의 중앙통치조직과 관료기구 410
(1) 중앙집권적 양반체제의 지향과 통치조직 / 410
(2) 태조의 호족포용정책·북진정책과 문종의 특별관청을 통한 귀족관료국가체제 구축 / 411
(3) 3성 6부의 일반행정관청과 109개의 특별행정관청 / 412
(4) 호족연합정권, 귀족관료국가와 합의제 기관의 고유성 / 412
3. 중앙통치기구의 조직화와 통치체제의 정비 413
(1) 중앙통치조직의 뿌리 / 413
(2) 고려 중앙통치조직과 조직개편 정신 / 418
(3) 고려시대 관계·관직 전반 / 424
(4) 정원 4천 4백 명 고려 관료의 계급과 구
Author
김석준
현재 서울미디어대학원대학교 총장이다.
서울대학교 학사·행정학석사, 미국 UCLA 석사·정치학 박사이며 미국 파이 베타 카파(Phi Beta Kappa Society) 회원, 이화여자대학교 교수·기획처장·정보과학대학원장, BK21 한국사회뉴거버넌스 교육-연구단 단장, 하버드대학교 옌칭연구소 초빙교수, 옥스퍼드대학교 벨리올칼리지 초빙교수, UCLA 정치학과·서울대학교 행정학과 초빙교수, 안양대학교 총장, 한국행정학회 회장, 한국NGO학회 창립공동대표, 11대 과학기술정책연구원장, 17대 국회의원, 대한민국 국회 역사왜곡대책특위 위원, 대한민국 헌정회 영토특위 부위원장, 한국대학신문 발행인, UNESCO 한국위원회 위원, 사단법인 사월회 공동의장, 통일정책연구협의회 공동의장, 한국산업정책학회 창립초대회장, 문화재청 정책자문위원장,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정책부위원장·조직위원장·윤리위원장·상임집행부위원장, 비전@한국 창립공동대표, 바른사회시민회의 창립 및 창립공동대표, 전국대학교 기획처장협의회 창립초대회장, 전국사립대학교 총장협의회 수석부회장·차기회장, 행정고등고시·입법고등고시·지방행정고시·5급공무원승진시험위원 등 국가고시 위원, 대통령 자문 정책기획위원회 위원·행정개혁위원회 위원·대한민국정부 총리실 및 행정 각 부처 자문위원(행정자치부, 교육부, 법무부, 산업자원부, 문화공보부, 지식경제부, 교육과학기술부 등)으로 활동하였다.

주요 저서로는
『The State, Public Policy and NIC Development』(1988, Daeyoungmoonwhasa)
『Empowering Korea With New Innovations』(대표저자, 2011, Jimoondang)
『Making the High-Speed Train Fly: Korean Global STI Strategy』(대표저자, 2011, Jimoondang)
『한국산업화국가론』(1992, 나남)
『한국자본주의국가위기론』(1991, 풀빛)
『국가변동론』(1994, 법문사)
『미군정기의 국가와 행정』(1996,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현대 대통령연구 1』(2000, 대영문화사)
『국가능력과 경제통치술』(2002,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국가와 공공정책』(공저, 1991, 법문사)
『대통령과 국가정책』(공저, 1994, 대영문화사)
『뉴 거버넌스 연구』(공저, 2000, 대영문화사)
『뉴 거버넌스와 사이버거버넌스 연구』(공저, 2001, 대영문화사)
『거버넌스의 정치학』(공저, 2005, 법문사)
『거버넌스의 이해』(공저, 2002, 대영문화사) 등 학술논문 100여 편이 있다.

한국행정학회 초대학술상(저술) 수상, 대한민국 국무총리 표창,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우수 기관장상> 수상, UCLA 대학원 최우수졸업(Phi Beta Kappa), 국회사무처 선정 <17대 국회 의정활동 최우수의원>, 국회도서관 선정 <공부하는 의원상> 수상, 한국여성유권자연맹 선정 <여성유권자가 뽑은 우수정치인상> 등 다수의 수상 내역이 있다.

또한 세계 3대 인명록·명예의 전당에 등재되어있다.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이 큰 100인 등재』(미국인명정보기관·ABI, 2002)
『21세기 탁월한 지식인 2000명 등재』(영국국제인명센터·IBC, 2001)
『마르퀴즈 후즈후 세계인명록(Who’s Who in the World) 등재』(미국 Marquis Who’s Who, 2001)
현재 서울미디어대학원대학교 총장이다.
서울대학교 학사·행정학석사, 미국 UCLA 석사·정치학 박사이며 미국 파이 베타 카파(Phi Beta Kappa Society) 회원, 이화여자대학교 교수·기획처장·정보과학대학원장, BK21 한국사회뉴거버넌스 교육-연구단 단장, 하버드대학교 옌칭연구소 초빙교수, 옥스퍼드대학교 벨리올칼리지 초빙교수, UCLA 정치학과·서울대학교 행정학과 초빙교수, 안양대학교 총장, 한국행정학회 회장, 한국NGO학회 창립공동대표, 11대 과학기술정책연구원장, 17대 국회의원, 대한민국 국회 역사왜곡대책특위 위원, 대한민국 헌정회 영토특위 부위원장, 한국대학신문 발행인, UNESCO 한국위원회 위원, 사단법인 사월회 공동의장, 통일정책연구협의회 공동의장, 한국산업정책학회 창립초대회장, 문화재청 정책자문위원장,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정책부위원장·조직위원장·윤리위원장·상임집행부위원장, 비전@한국 창립공동대표, 바른사회시민회의 창립 및 창립공동대표, 전국대학교 기획처장협의회 창립초대회장, 전국사립대학교 총장협의회 수석부회장·차기회장, 행정고등고시·입법고등고시·지방행정고시·5급공무원승진시험위원 등 국가고시 위원, 대통령 자문 정책기획위원회 위원·행정개혁위원회 위원·대한민국정부 총리실 및 행정 각 부처 자문위원(행정자치부, 교육부, 법무부, 산업자원부, 문화공보부, 지식경제부, 교육과학기술부 등)으로 활동하였다.

주요 저서로는
『The State, Public Policy and NIC Development』(1988, Daeyoungmoonwhasa)
『Empowering Korea With New Innovations』(대표저자, 2011, Jimoondang)
『Making the High-Speed Train Fly: Korean Global STI Strategy』(대표저자, 2011, Jimoondang)
『한국산업화국가론』(1992, 나남)
『한국자본주의국가위기론』(1991, 풀빛)
『국가변동론』(1994, 법문사)
『미군정기의 국가와 행정』(1996,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현대 대통령연구 1』(2000, 대영문화사)
『국가능력과 경제통치술』(2002,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국가와 공공정책』(공저, 1991, 법문사)
『대통령과 국가정책』(공저, 1994, 대영문화사)
『뉴 거버넌스 연구』(공저, 2000, 대영문화사)
『뉴 거버넌스와 사이버거버넌스 연구』(공저, 2001, 대영문화사)
『거버넌스의 정치학』(공저, 2005, 법문사)
『거버넌스의 이해』(공저, 2002, 대영문화사) 등 학술논문 100여 편이 있다.

한국행정학회 초대학술상(저술) 수상, 대한민국 국무총리 표창,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우수 기관장상> 수상, UCLA 대학원 최우수졸업(Phi Beta Kappa), 국회사무처 선정 <17대 국회 의정활동 최우수의원>, 국회도서관 선정 <공부하는 의원상> 수상, 한국여성유권자연맹 선정 <여성유권자가 뽑은 우수정치인상> 등 다수의 수상 내역이 있다.

또한 세계 3대 인명록·명예의 전당에 등재되어있다.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이 큰 100인 등재』(미국인명정보기관·ABI, 2002)
『21세기 탁월한 지식인 2000명 등재』(영국국제인명센터·IBC, 2001)
『마르퀴즈 후즈후 세계인명록(Who’s Who in the World) 등재』(미국 Marquis Who’s Who,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