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국민총생산(gross domestic product, GDP) 대비 공교육 투자 비율과 여러 지표가 경제협력개발기구(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평균보다 높다. 더욱이 고등학교의 교육 환경은 더 좋은 편이다. 그러나 학생 수 감소로 고등학교는 생존의 경쟁에 직면하고 있다. 이런 학생 수 감소로 인한 적정 학교 규모와 교사 학생비율에 대한 궁금증이 생긴다. OECD 평균보다 낮은 교사 1인당 학생 비율의 우리의 교육 정책이 효율성 측면에서 효과가 있을까? 또는 2016년 2017년 두 차례 수능 개편에서 전반적으로 학업 부담을 줄이면서, 학생의 요구사항을 반영하는 방식으로 변화가 되었는가? 현 정부에서는 특목고와 자사고 등의 학제 상 다른 학교를 일반고등학교로 전환하게 하여 일반고등학교를 살리기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특목고인 외국어고등학교와 자율고 등의 교육적 수요를 과연 일반고등학교에서 담아 갈 수 있는지와 지역별 학력차이를 효율성과 생산성의 관점에서 분석하여 정책적 대안을 제시한다.
Contents
표 목차
그림 목차
I. 서론 1
1. 배경과 목적 1
1) 배경 1
2) 목적 5
2. 내용과 방법 7
1) 내용 7
2) 방법 10
3. 구성 13
II. 일반고등학교 발전과정과 현황 15
1. 고등학교 발전과정 15
1) 시대별 학교의 역사 15
2) 근대 초기 학교의 현황 19
3) 고등학교 역사 22
4) 학제유형별 고등학교 22
2. 일반 고등학교의 현황 24
1) 학생수 현황 24
2) 고등학교 현황 28
3) 교원 현황 35
4) OECD와 비교 38
5) 지역별 수능점수 현황 43
III. 분석의 이론모형 59
1. 선행연구 59
1) DEA를 이용한 선행연구 59
2) MPI를 이용한 선행연구 66
3) SFA를 이용한 선행연구 68
4) SDF를 이용한 선행연구 72
2. 선행연구 한계점과 차별성 76
1) 선행연구의 한계점 76
2) 차별성 80
3. 이론 배경 82
1) 교육효율성 접근법 82
2) DEA 접근법 83
3) MPI과 GMPI 접근법 84
4) 내생성 문제 85
5) 교육생산함수 87
6) 모수적 접근법 88
7) 확률패널모형 90
8) Greene의 TFE와 TRE모형 96
9) 확률거리함수모형 98
10) 총요소생산성(TFP)모형 99
11) 토빗모형 101
12) 비선형 최적규모모형 102
4. 이론 모형 103
1) 분석대상과 프로그램 103
2) 변수 선정 배경 104
3) 산출변수 104
4) 투입변수 106
5) 변수목록 108
6) 결정요인변수 111
7) 생산성결정요인 116
8) DEA 모형 118
9) 비모수적 생산성모형 119
10) 분석사용모형 120
11) 적정학교규모 121
12) 결정요인모형 122
부산대학교 경제학 박사. 블록체인 알고리즘, 신경망 전문가 지원 시스템, 빅데이타와 코딩언어(R, Python) 등의 융합학문 연구와 강의를 하고 있다. 교육경제 컨설턴트, 영어전문가, 음악 치유사. AI 교육 전문가로 교육과 경제와 미래학 관련 학술지에 논문 게재하고 있다.
게임이론을 적용한 블록체인 알고리즘 구현을 연구하였다. 지금은 계량경제, 빅데이타와 코딩언어(R, Python)를 융합한 연구를 하고 있다. 교육경제컨설턴트로, 영어학원과 취미로 음악실을 운영하고 있고, 교육경제관련 유명 학술지에 여러편의 논문을 게재하였다. 사교육이 일반고등학생의 성적향상과 대학진학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는가? 등을 다방면으로 모델링하고 있다.
부산대학교 경제학 박사. 블록체인 알고리즘, 신경망 전문가 지원 시스템, 빅데이타와 코딩언어(R, Python) 등의 융합학문 연구와 강의를 하고 있다. 교육경제 컨설턴트, 영어전문가, 음악 치유사. AI 교육 전문가로 교육과 경제와 미래학 관련 학술지에 논문 게재하고 있다.
게임이론을 적용한 블록체인 알고리즘 구현을 연구하였다. 지금은 계량경제, 빅데이타와 코딩언어(R, Python)를 융합한 연구를 하고 있다. 교육경제컨설턴트로, 영어학원과 취미로 음악실을 운영하고 있고, 교육경제관련 유명 학술지에 여러편의 논문을 게재하였다. 사교육이 일반고등학생의 성적향상과 대학진학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는가? 등을 다방면으로 모델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