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정노동, 그 이름의 함정

$19.44
SKU
9791130813554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4/18 - Thu 04/24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4/15 - Thu 04/17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8/07/20
Pages/Weight/Size 147*217*20mm
ISBN 9791130813554
Categories 사회 정치 > 사회비평/비판
Description
감정노동에 대한 왜곡된 인식을 넘어서

김현아의 『감정노동, 그 이름의 함정』이 푸른사상사 [여성학 총서 12]로 출간되었다. 대표적인 감정노동 직종으로 알려진 카드사 콜센터 상담원의 사례를 기초로 하여, ‘감정노동’이라는 개념의 오용과 남용 아래 가려진 여성 노동과 서비스 노동의 가치를 재평가하고자 한다.
Contents
- 책머리에

제1장 감정노동 다시 보기
1. 감정노동, 다시 봐야 하는 이유
2. 감정노동, 다시 보는 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 방법 및 과정

제2장 감정노동 이해하기
1. 감정노동이란?
2. 감정노동 논의의 흐름
1) 감정노동 개념의 보완
2) 한국 사회 감정노동 논의

제3장 한국 사회 감정노동 논의의 함정
1. ‘감정노동자’ 개념의 등장
2. ‘감정노동’ 개념의 사용
1) 새로운 노동의 범주
2) 작업장 폭력에 대한 노출
3) 규제해야 할 사회문제
3. 현행 논의의 한계

제4장 콜센터 노동 이해하기:희망카드 콜센터 이야기
1. 콜센터 상담원은 무슨 일을 할까?
1) 채용 및 신입 교육 과정
2) 직무 수행 과정과 그 특징
2. 콜센터 상담원은 어떤 조건에서 일을 할까?
1) 아웃소싱의 고용 형태와 실적 경쟁 체제
2) 작업장 폭력
3. 콜센터 노동에 대한 직무 분석 결과

제5장 감정노동 문제의 해체:진짜 문제는 무엇인가
1. 직무 전문성의 비가시화
1) 콜센터 노동의 탈숙련화에 대한 오해
2) 감정노동의 비전문성에 대한 오해
3) 기존 통념의 내면화와 재생산
2. 감정노동의 문제에서 고용 형태와 작업장 폭력의 문제로

제6장 감정노동 논의 바로잡기:직무 수행 요소로서의 감정노동

- 참고문헌
- 찾아보기
Author
김현아
이화여자대학교 여성학과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여성 인권 이슈와 교육을 연계하는 활동에 관심을 가지고 일해왔으며, 현재 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 위촉 성폭력 예방교육 전문강사로 활동 중이다.
이화여자대학교 여성학과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여성 인권 이슈와 교육을 연계하는 활동에 관심을 가지고 일해왔으며, 현재 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 위촉 성폭력 예방교육 전문강사로 활동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