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법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박사(헌법 전공)
헌법재판소 헌법재판연구원 책임연구관
UC Berkeley Law School Visiting Scholar (Fulbright 중견연구자 선정)
한양대학교 로스쿨준비반 지도교수
법무부 변호사시험(공법), 사법시험(헌법) 시험위원
법학적성시험(추리영역), 입법고시(상황판단영역) 출제위원
한국공법학회 학술장려상(헌법 분야)
한국법교육학회 법교육 논문상
(現) 한양대학교 정책학과 교수
(現) 한국공법학회 「민주주의와 헌정개혁」 연구포럼 대표
(現) 한국법교육학회 학술1이사, 법과사회이론학회 연구이사
[주요 저서 및 논문]
〈공저〉
『법의 미래』 (2022)
『법의 딜레마』 (2020)
『법학에서 위험한 생각들』 (2018)
『포스트휴먼 시대의 휴먼』 (2016)
〈주요 논문〉
학부 법(학)교육의 정상화를 위한 제언-기초·이론교육 강화 및 전문?시민교육 다층화 모색- (2025.2)
국회 입법과정에서 법안의 합헌성 검토 충실화를 위한 입법 거버넌스 개선 방안-숙의법제위원회 도입과 발의 前 합헌성 검토 강화를 중심으로-(2023.10)
숙의민주주의와 헌정개혁-브루스 애커만과 제임스 피쉬킨 이론의 우리 헌정에의 시사- (2023.6)
‘하버드-아시안 소송’에서 인종을 고려한 대학입학정책과 아시안 차별의 딜레마에 대한 헌법적 검토 (2022.10)
헌법재판과 여론-숙의·대화 거버넌스를 통한 한국 헌법재판의 재구조화 모색-(2022.6)
대의민주주의를 넘어, 하이브리드 민주주의는 가능한가?-새로운 민주적 거버넌스 모델을 위한 시론-(2020.12)
미국헌법상 표현의 자유의 지지논변으로서 사상의 시장론 (2013.12)
J. S. Mill 민주주의론의 기초개념으로서 숙의(熟議) (2013.4)
서울대학교 법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박사(헌법 전공)
헌법재판소 헌법재판연구원 책임연구관
UC Berkeley Law School Visiting Scholar (Fulbright 중견연구자 선정)
한양대학교 로스쿨준비반 지도교수
법무부 변호사시험(공법), 사법시험(헌법) 시험위원
법학적성시험(추리영역), 입법고시(상황판단영역) 출제위원
한국공법학회 학술장려상(헌법 분야)
한국법교육학회 법교육 논문상
(現) 한양대학교 정책학과 교수
(現) 한국공법학회 「민주주의와 헌정개혁」 연구포럼 대표
(現) 한국법교육학회 학술1이사, 법과사회이론학회 연구이사
[주요 저서 및 논문]
〈공저〉
『법의 미래』 (2022)
『법의 딜레마』 (2020)
『법학에서 위험한 생각들』 (2018)
『포스트휴먼 시대의 휴먼』 (2016)
〈주요 논문〉
학부 법(학)교육의 정상화를 위한 제언-기초·이론교육 강화 및 전문?시민교육 다층화 모색- (2025.2)
국회 입법과정에서 법안의 합헌성 검토 충실화를 위한 입법 거버넌스 개선 방안-숙의법제위원회 도입과 발의 前 합헌성 검토 강화를 중심으로-(2023.10)
숙의민주주의와 헌정개혁-브루스 애커만과 제임스 피쉬킨 이론의 우리 헌정에의 시사- (2023.6)
‘하버드-아시안 소송’에서 인종을 고려한 대학입학정책과 아시안 차별의 딜레마에 대한 헌법적 검토 (2022.10)
헌법재판과 여론-숙의·대화 거버넌스를 통한 한국 헌법재판의 재구조화 모색-(2022.6)
대의민주주의를 넘어, 하이브리드 민주주의는 가능한가?-새로운 민주적 거버넌스 모델을 위한 시론-(2020.12)
미국헌법상 표현의 자유의 지지논변으로서 사상의 시장론 (2013.12)
J. S. Mill 민주주의론의 기초개념으로서 숙의(熟議) (201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