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민법제론

$35.02
SKU
9791130345963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12/6 - Thu 12/12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12/3 - Thu 12/5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4/02/13
Pages/Weight/Size 188*257*30mm
ISBN 9791130345963
Categories 대학교재 > 법학계열
Description
국내·외 이민 사회로의 변화배경에 힘입어 법무부 『출입국관리법』 제39조제3항, 「출입국관리법시행령」 제51조(전문인력의 양성 등), 「출입국관리법시행규칙」 제53조의2제2항제2호 가목 및 별표 2, 「다문화사회전문가 인정요건 및 이수 과목」에 따라 전국 각 대학에서 전문가 양성을 위한 학과를 개설하였다.

2023년 9월 현재 전국 63개 대학(원)에서 ‘다문화사회 전문가 인정’ 관련 과목 중 필수과목인 “이민법제론(Immigration Legislation Theory)”은 다문화사회 전문가 양성과정을 수강하는 학습자들 다수가 법학을 전공한 분이 아니며, 전일제 학습자가 아님을 고려하여 수업에 활용될 강의교재를 목표로 집필하게 되었다. 이민사회의 모법인 헌법을 바탕으로 개별 이민법 10개의 법률을 행정학적 관점에서 법률제정 배경, 법조문 구성과 정의, 법 주요 내용 및 관리행정 등 범주화하여 핵심 내용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법률, 시행령, 시행규칙, 고시 등 행정실무의 연계성으로 정리하여 출간하게 되었다.

“이민법제론(Immigration Legislation Theory)”은 이민법·정책 분야에 쉽게 접근하도록 하여 학제 간 연구를 활성화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되고자 하며, ‘다문화사회전문가’, ‘이민자(외국인) 관련 업무담당자’, ‘이민정책연구자’, ‘이민 사회 강사’ 등이 널리 공유함으로써 이민현장적용 실용학문으로서의 발전에 소중한 밑거름이 되기를 희망한다.
Contents
제Ⅰ부 이민법 개론
제1장 법에 관한 일반 이론 3
Ⅰ. 법의 모습과 특징 3
Ⅱ. 법규범의 기능과 유형 5
1. 법규범의 기능 5
2. 법규범의 유형 6
Ⅲ. 법의 해석과 적용 7
1. 법적 추론을 위한 법해석과 적용 8
2. 법해석의 방법과 적용 8
(1) 법해석의 방법 9
(2) 해석기준에 따른 적용 9
Ⅳ. 세계화에 따른 법의 초국가화 10
제2장 이민법을 바라보는 시각 12
제1절 대한민국의 이민법 환경 12
Ⅰ. 정치환경과 이민법 13
Ⅱ. 사회환경과 이민법 14
제2절 이민법의 접근방법 15
Ⅰ. 해석적 접근방법 15
Ⅱ. 기능적 접근방법 16
Ⅲ. 경험적 접근방법 17
제3장 이민법에 관한 일반 이론 19
제1절 이민법의 개요 19
Ⅰ. 이민법의 개념 19
Ⅱ. 이민법의 특성 20
Ⅲ. 이민법의 현황 20
Ⅳ. 이민법의 적용 범위 및 이해관계 22
1. 이민법의 적용 범위 22
(1) 인적 대상 범위 23
1) 이민자 개념 23
2) 이민자의 유형 24
(2) 체류 활동 범위 25
2. 이민법의 이해관계 28
Ⅴ. 이민자의 법적 지위 및 기본권 29
1. 이민자의 법적 지위 29
2. 이민자에게 인정되는 기본권 30
(1) 인간의 존엄과 행복추구권 30
(2) 평등권(平等權) 34
(3) 사회권(社會權) 35
(4) 정치권(政治權) 35
(5) 청구권(請求權) 36
제2절 이민법의 형성과 시대적 전개 37
Ⅰ. 이민법의 형성 37
Ⅱ. 대한민국 이민법의 시대적 전개 38
1. 이승만?윤보선 정부: 1948~1962년 38
2. 박정희 정부: 1963~1979년 39
3. 최규하?전두환 정부: 1979~1988년 40
4. 노태우 정부: 1988~1993년 41
5. 김영삼 정부: 1993~1998년 41
6. 김대중 정부: 1998~2003년 41
7. 노무현 정부: 2003~2008년 42
8. 이명박 정부: 2008~2013년 43
9. 박근혜 정부: 2013~2016년 45
10. 문재인 정부: 2017~2022년 46
제3절 이민법의 법원(法源) 및 체계(體系) 48
Ⅰ. 성문법과 불문법의 이해 48
Ⅱ. 이민법의 성문법원 48
1. 대한민국헌법 48
2. 국제법규?국제조약 49
3. 법률 52
(1) 외국인의 특성에 따른 적용 법률 52
(2) 외국인의 지위에 따른 적용 법률 53
(3) 외국인의 자격요건에 따른 적용 법률 53
4. 행정입법 53
5. 행정절차법 56
(1) 행정절차의 개념 56
(2) 행정절차의 기능 56
(3) 행정절차의 내용 57
6. 지방자치법규 60
Ⅲ. 이민법의 불문법원 60
1. 관습법 61
2. 판례법 62
Ⅳ. 제정 시기별 이민법 및 추진체계 62



제Ⅱ부 개별 이민법
제1장 대한민국헌법 67
Ⅰ. 헌법의 전문(前文) 67
Ⅱ. 헌법에서의 이민관련 조문 구성 68
1. 국경을 넘는 입국 시점 69
2. 입국 후 체류 시점 71
제2장 국적법 74
Ⅰ. 국적에 관한 일반 이론 74
1. 국적의 기능(機能) 및 법원(法源) 74
(1) 국적의 기능 74
1) 국제법적 기능 75
2) 국내법적 기능 76
(2) 국적의 법원 77
2. 국적의 결정 및 저촉 77
(1) 국적의 결정 77
1) 국적유일의 원칙 78
2) 국적자유의 원칙 79
(2) 국적의 저촉(國籍抵觸, conflict of nationality) 80
Ⅱ. 국적법의 조문 구성 및 정의 81
1. 국적법의 조문 구성 81
2. 정의 82
Ⅲ. 국적취득 82
Ⅳ. 복수국적 86
1. 복수국적자의 개념 86
2. 복수국적자의 유형 87
3. 복수국적자의 국적선택의무 88
4. 복수국적자에 대한 국적선택명령과 통보의무 등 89
Ⅴ. 국적상실 90
1. 대한민국 국적상실 90
2. 외국국적취득에 따른 국적상실 90
3. 국적상실자의 처리 및 권리 변동 90
Ⅵ. 국적법의 관리행정 91
1. 대한민국 국적의 선택 절차 91
2. 대한민국 국적의 이탈요건과 절차 및 특례 92
3. 관보 고시 및 법정대리인이 하는 신고 등 93
4. 국적심의위원회와 위원회 구성 및 운영 93
5. 관계기관 등의 협조 및 권한의 위임 94
6. 허가 등의 취소 및 수수료 94
제3장 출입국관리법 96
Ⅰ. 출입국관리법에 관한 일반 이론 96
1. 출입국관리법의 성격 96
2. 출입국관리법의 유형 97
Ⅱ. 출입국관리법의 조문 구성 및 정의 98
1. 출입국관리법의 조문 구성 98
2. 정의 102
Ⅲ. 국민의 출?입국 103
1. 국민의 출?입국 103
2. 국민의 출국금지 104
Ⅳ. 외국인의 입국 105
1. 외국인의 입국유형 및 사증 105
(1) 입국유형 105
(2) 사증(비자, VISAS)(제8조) 105
1) 사증의 기능 106
2) 사증의 종류 107
3) 사증발급인정서(제9조) 107
4) 사증발급 거부에 대한 불복 108
2. 입국허가 요건 및 허가 여부 결정 109
(1) 입국허가 요건 109
(2) 입국허가 여부 결정 109
3. 입국금지와 입국거부 110
(1) 입국금지 110
(2) 입국거부 111
4. 입국심사의 유형 112
(1) 일반적인 입국심사(제7조 제1항) 112
(2) 무사증에 의한 입국심사(제7조 제2항) 113
(3) 미수교국 또는 특정 국가 국민에 대한 입국심사(제7조 제4항) 114
5. 입국심사 절차 114
Ⅴ. 외국인의 체류 114
1. 체류자격의 개념 115
2. 체류자격의 기능 115
3. 체류자격의 유형 116
4. 체류자격의 부여(제23조) 117
5. 체류자격 활동 범위의 제한(제22조) 117
(1) 외국인의 취업활동 제한 117
(2) 외국인의 정치활동 제한 118
(3) 그 외 활동범위의 제한 119
6. 체류자격 외 활동(제20조) 119
7. 체류 외국인의 근무처 변경?추가(제21조) 119
8. 체류자격의 변경(제24조) 및 체류기간의 연장(제25조) 120
(1) 체류자격의 변경(제24조) 120
(2) 체류기간의 연장(제25조) 122
9. 외국인의 등록 및 사회통합프로그램 123
(1) 외국인의 등록(제31조~제38조의2) 123
(2) 사회통합프로그램(제39조) 125
Ⅵ. 외국인의 출국 127
1. 외국인의 강제퇴거 128
2. 외국인의 조사 129
3. 심사결정을 위한 보호 130
4. 심사 및 이의신청 132
5. 강제퇴거명령서의 집행 133
6. 보호의 일시해제 134
7. 출국권고 등 135
Ⅶ. 외국인의 ‘출?입국관리행정’(제7장부터 제11장까지) 135
1. 선박등의 검색 136
(1) 선박등의 검색 및 심사 136
(2) 선박등의 출입국정지 및 승선허가 136
2. 선박등의 장 및 운수업자의 책임(제8장) 137
3. 출국대기실 설치?운영 등(제8장의2) 138
4. 난민여행증명서의 발급 등 139
5. 보칙(補則) 140
6. 벌칙 145
7. 고발(告發)과 통고처분(通告處分) 149
제4장 북한이탈주민의 보호 및 정착지원에 관한 법 151
Ⅰ. 북한이탈주민법의 조문 구성 및 정의 151
1. 북한이탈주민법의 조문 구성 152
2. 정의(제2조) 153
Ⅱ. 적용범위 및 기본원칙 153
Ⅲ.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책무(제4조의2) 154
1. 보호대상자의 성공적인 정착 154
2. 보호대상자에 대한 지원책 마련 154
Ⅳ.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제4조의3) 154
Ⅴ. 북한이탈주민의 보호 및 지원 155
1. 북한이탈주민의 보호 155
2.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지원 158
Ⅵ. 북한이탈주민의 정착을 위한 교육 및 특례 161
1. 북한이탈주민의 정착을 위한 교육 161
2. 북한이탈주민의 정착을 위한 특례 162
Ⅶ. 다양한 지원기관설치 163
Ⅷ. 북한이탈주민법의 관리행정 165
제5장 재외동포의 출입국과 법적 지위에 관한 법 167
Ⅰ. 재외동포법의 조문 구성 및 정의 167
1. 재외동포법의 조문 구성 168
2. 정의 168
Ⅱ. 적용범위 및 다른 법률과의 관계 168
Ⅲ. 정부의 책무(제4조) 169
Ⅳ. 재외동포의 자격 및 출입국과 체류 169
1. 재외동포체류자격의 부여(제5조) 169
2. 국내거소신고(제6조) 170
3. 국내거소신고증의 발급 등(제7조) 170
4. 국내거소신고증의 반납(제8조) 171
5. 주민등록 등과의 관계(제9조) 172
6. 재외동포의 출입국과 체류(제10조) 172
Ⅴ. 재외동포 국내 법적 지위 172
1. 부동산거래(제11조) 173
2. 금융거래(제12조) 173
3. 외국환거래(제13조) 173
4. 건강보험(제14조) 174
5. 국가유공자?독립유공자와 그 유족의 보훈급여금(제16조) 174
Ⅵ. 재외동포법 관리행정: 과태료(제17조) 174
제6장 외국인근로자의 고용 등에 관한 법 176
Ⅰ. 외국인고용법의 조문 구성 및 정의 176
1. 외국인고용법의 조문 구성 177
2. 외국인근로자 정의(제2조) 178
Ⅱ. 적용 범위 등(제3조) 178
Ⅲ. 외국인력정책 추진체계 및 외국인근로자 도입계획 179
1. 외국인력정책 추진체계(제4조) 179
(1) 정책위원회는 책무 179
(2) 정책위원회의 구성 179
2. 외국인근로자 도입계획(제5조) 180
Ⅳ. 외국인근로자 고용절차 181
1. 외국인구직자 명부 및 고용허가 181
(1) 외국인구직자 명부의 작성(제7조) 181
(2) 외국인근로자 고용허가(제8조) 182
2. 외국인근로자 근로계약 및 사증발급인정서 183
(1) 외국인근로자 근로계약(제9조) 183
(2) 사증발급인정서(제10조) 183
3. 외국인 취업교육 및 사용자 교육 183
(1) 외국인 취업교육(제11조) 183
(2) 사용자 교육(제12조) 184
4. 외국인 취업교육기관의 지정 및 지정취소 등 185
(1) 외국인 취업교육기관의 지정(제11조의3) 185
(2) 외국인 취업교육기관의 지정취소 등(제11조의4) 186
5. 외국인근로자 고용의 특례 187
Ⅴ. 외국인근로자의 고용관리 188
1. 외국인근로자의 고용관리 및 고용의 제한 188
(1) 외국인근로자의 고용관리(제17조) 188
(2) 외국인근로자 고용의 제한(제20조) 189
2. 외국인근로자의 고용관련 보험 189
(1) 출국만기보험?신탁(제13조) 190
(2) 건강보험(제14조) 190
(3) 귀국비용보험?신탁(제15조) 190
3. 휴면보험금 등 관리위원회 및 귀국에 필요한 조치 191
(1) 휴면보험금 등 관리위원회(제13조의2) 191
(2) 귀국에 필요한 조치(제16조) 192
4. 취업활동의 제한 및 특례 192
(1) 외국인근로자의 취업활동의 제한 193
(2) 외국인근로자의 취업활동의 특례 193
5. 외국인근로자 고용허가, 특례고용가능확인의 취소(제19조) 195
6. 외국인근로자를 위한 지원 사업(제21조) 195
Ⅵ. 외국인근로자의 보호 196
1. 차별금지(제22조) 및 기숙사의 제공 등(제22조의2) 196
2. 보증보험 등의 가입(제23조) 197
3. 외국인근로자 관련 단체 등에 대한 지원 및 권익보호협의회 197
(1) 외국인근로자 관련 단체 등에 대한 지원(제24조) 197
(2) 외국인근로자 권익보호협의회(제24조의2) 198
4. 사업 또는 사업장 변경의 허용(제25조) 199
Ⅶ. 외국인고용법의 관리행정 200
1. 보칙(제26조부터 제28조까지) 200
2. 벌칙(제29조부터 제32조까지) 202
제7장 재한외국인 처우 기본법 204
Ⅰ. 외국인처우법의 조문 구성 및 정의 204
1. 외국인처우법의 조문 구성 205
2. 정의(제2조) 205
Ⅱ.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책무(제3조) 206
Ⅲ. 다른 법률과의 관계(제4조) 및 업무의 협조(제7조) 206
1. 다른 법률과의 관계 206
2. 업무의 협조 206
Ⅳ. 외국인정책위원회, 외국인정책의 기본계획 및 연도별 시행계획 207
Ⅴ. 재한외국인정책의 연구?추진 등(제9조) 208
Ⅵ. 재한외국인 등의 처우 209
Ⅶ. 국민과 재한외국인이 더불어 살아가는 환경조성 210
1. 다문화에 대한 이해증진 210
2. 세계인의 날 211
Ⅷ. 재한외국인 처우 관리행정: 보칙(제5장) 211
1. 외국인에 대한 민원 안내 및 상담 211
2. 민간과의 협력 및 국제교류의 활성화 211
(1) 민간과의 협력(제21조) 211
(2) 국제교류의 활성화(제22조) 211
3. 이민정책연구원 설치 및 운영(제22조의2) 212
4. 재한외국인정책의 공표 및 전달(제23조) 212
제8장 다문화가족지원법 213
Ⅰ. 다문화가족법의 조문 구성 및 정의 213
1. 다문화가족법의 조문구성 214
2. 정의(제2조) 214
Ⅱ.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책무(제3조) 215
Ⅲ. 다문화가족정책위원회, 다문화가족지원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 215
Ⅳ. 다문화가족 정책연구?실태조사 등(제4조) 217
Ⅴ. 다문화가족의 처우 217
Ⅵ. 다문화가족의 삶의 질 제고를 위한 지원환경 220
Ⅶ. 다문화가족지원법의 관리행정 221
제9장 난민법 223
Ⅰ. 난민법의 조문 구성 및 정의 224
1. 난민법의 조문 구성 224
2. 정의(제2조) 225
Ⅱ. 강제송환의 금지(제3조) 226
Ⅲ. 다른 법률과의 관계 및 적용(제4조) 226
Ⅳ. 난민인정 신청과 심사 등 226
Ⅴ. 난민위원회 등 설치 및 운영 232
Ⅵ. 난민의 유형에 따른 처우 233
1. 난민인정자의 처우 233
2. 인도적체류자의 처우 234
3. 난민신청자의 처우 235
Ⅶ. 난민법관리행정 236
제10장 재외동포기본법 238
Ⅰ. 재외동포기본법의 조문 구성 및 정의 239
1. 재외동포기본법의 조문 구성 239
2. 정의(제2조) 239
Ⅱ. 재외동포정책의 기본방향(제3조) 240
Ⅲ.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책무(제4조) 241
Ⅳ. 다른 법률과의 관계(제6조) 및 업무의 협조(제9조) 241
1. 다른 법률과의 관계 241
2. 업무의 협조 241
Ⅴ. 국제사회와의 조화(제5조) 및 재외공관 등의 역할(제12조) 241
1. 국제사회와의 조화 241
2. 재외공관 등의 역할 242
Ⅵ. 재외동포 정책의 수립 및 추진체계 242
Ⅶ. 재외동포기본법관리행정 243
1. 재외동포의 의견청취(제13조) 및 정책연구?실태조사(제14조) 244
(1) 재외동포의 의견청취 244
(2) 실태조사 244
2. 세계한인의 날 및 세계 한인주간(제15조) 244
3. 국회보고(제16조) 244


부 록
대한민국헌법 246
국적법 263
출입국관리법 274
북한이탈주민의 보호 및 정착지원에 관한 법률(북한이탈주민법) 332
재외동포의 출입국과 법적 지위에 관한 법률(재외동포법) 349
외국인근로자의 고용 등에 관한 법률(외국인고용법) 354
재한외국인 처우 기본법(외국인처우법) 368
다문화가족지원법(다문화가족법) 373
난민법 381
재외동포기본법 391

참고문헌 397
판례색인 401
사항색인 402
Author
우영옥
성결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행정학(이민정책) 석사
성결대학교 일반대학원 행정학(이민정책) 박사

경력
이주사회통합정책연구소 소장
한성대학교 이민다문화트랙 강의교수
건양사이버대학교 다문화한국어학과 강의교수
성결대학교 행정학(이민정책) 객원교수
법무부 대구출입국·외국인사무소 사회통합위원
한국이민정책학회 학술정보위원
한국정책과학학회 운영이사
한국행정학회 정회원

연구분야
이민정책, 이민행정, 사회통합, 통일과 이민, 인적자원관리, 조직설계

저서
『저출산?초고령사회 한국이민정책론』. 박영사. 2022. 공저

발표논문·연구실적
출입국관리직공무원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관한 연구-전문직정체성과 조직특성의 영향을 중심으로. 2019. 성결대. 박사학위논문
한국체류 중국동포의 정주인식에 관한 연구-집단간 차이분석을 중심으로. 2017. 성결대. 석사학위논문
사회적 포용 및 정주 결정요인에 따른 외국인주민의 개방형 이민정책방안 모색. 2023년 한국행정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 2023. 단독
외국인주민의 정주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취업자(E7, E9, H2)와 유학생 중심으로. 한국이민행정학회보. 2023. 단독
지방자치단체 외국인 주민의 정주의향 결정요인과 사회권에 관한 연구. 2023년 한국행정학회 춘계학술 발표. 2023. 단독
외국인력의 지역사회 구성원 가능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도서(섬)지역 고용허가제 실태조사를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 2022. 단독
외국인지원시설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 요인분석과 대응방안. 다문화와 평화. 2022. 단독
도서(섬)지역 고용허가제 운영실태와 인력정책의 방향. 한국이민정책학보. 2022. 단독
경찰공무원의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이민정책학보. 2023. 공저
한국 이민정책의 문제점과 개선과제-국내적 정책과정과 국내, 국제 연계정치 반영. 다문화와 평화. 2021. 공저
조직특성과 전문직 정체성이 출입국관리직 공무원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인사행정학회보. 2020. 공저
『금천구 외국인주민과 다문화가족 실태조사 및 중장기 발전계획 연구』. 2022. 서울특별시 금천구청. 공저
『서울시 서남권 외국인주민실태조사 및 사회통합 방안 연구』. 2021. 서울특별시. 공저
『난민체류정책 해외사례 등 연구』. 2021. 법무부. 공저
『유럽지역 한인 차세대 입양동포지원정책개발을 위한 실태조사 Ⅱ』. 2021. 외교부 재외동포재단. 공저
『전국 도서(섬)지역 외국인근로자(E-9) 근무환경 실태조사』. 2021. 고용노동부 한국산업인력공단. 공저
『서울시 외국인지원시설 재구조화 타당성 조사』. 2020. 서울특별시. 공저
『외국인지원시설 종사자 직무만족도 조사』. 2020. 서울특별시. 공저
『외국인근로자(E-9) 교육훈련 실태조사 및 개선방안』. 2020. 고용노동부 한국산업인력공단. 공저 등
성결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행정학(이민정책) 석사
성결대학교 일반대학원 행정학(이민정책) 박사

경력
이주사회통합정책연구소 소장
한성대학교 이민다문화트랙 강의교수
건양사이버대학교 다문화한국어학과 강의교수
성결대학교 행정학(이민정책) 객원교수
법무부 대구출입국·외국인사무소 사회통합위원
한국이민정책학회 학술정보위원
한국정책과학학회 운영이사
한국행정학회 정회원

연구분야
이민정책, 이민행정, 사회통합, 통일과 이민, 인적자원관리, 조직설계

저서
『저출산?초고령사회 한국이민정책론』. 박영사. 2022. 공저

발표논문·연구실적
출입국관리직공무원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관한 연구-전문직정체성과 조직특성의 영향을 중심으로. 2019. 성결대. 박사학위논문
한국체류 중국동포의 정주인식에 관한 연구-집단간 차이분석을 중심으로. 2017. 성결대. 석사학위논문
사회적 포용 및 정주 결정요인에 따른 외국인주민의 개방형 이민정책방안 모색. 2023년 한국행정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 2023. 단독
외국인주민의 정주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취업자(E7, E9, H2)와 유학생 중심으로. 한국이민행정학회보. 2023. 단독
지방자치단체 외국인 주민의 정주의향 결정요인과 사회권에 관한 연구. 2023년 한국행정학회 춘계학술 발표. 2023. 단독
외국인력의 지역사회 구성원 가능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도서(섬)지역 고용허가제 실태조사를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 2022. 단독
외국인지원시설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 요인분석과 대응방안. 다문화와 평화. 2022. 단독
도서(섬)지역 고용허가제 운영실태와 인력정책의 방향. 한국이민정책학보. 2022. 단독
경찰공무원의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이민정책학보. 2023. 공저
한국 이민정책의 문제점과 개선과제-국내적 정책과정과 국내, 국제 연계정치 반영. 다문화와 평화. 2021. 공저
조직특성과 전문직 정체성이 출입국관리직 공무원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인사행정학회보. 2020. 공저
『금천구 외국인주민과 다문화가족 실태조사 및 중장기 발전계획 연구』. 2022. 서울특별시 금천구청. 공저
『서울시 서남권 외국인주민실태조사 및 사회통합 방안 연구』. 2021. 서울특별시. 공저
『난민체류정책 해외사례 등 연구』. 2021. 법무부. 공저
『유럽지역 한인 차세대 입양동포지원정책개발을 위한 실태조사 Ⅱ』. 2021. 외교부 재외동포재단. 공저
『전국 도서(섬)지역 외국인근로자(E-9) 근무환경 실태조사』. 2021. 고용노동부 한국산업인력공단. 공저
『서울시 외국인지원시설 재구조화 타당성 조사』. 2020. 서울특별시. 공저
『외국인지원시설 종사자 직무만족도 조사』. 2020. 서울특별시. 공저
『외국인근로자(E-9) 교육훈련 실태조사 및 개선방안』. 2020. 고용노동부 한국산업인력공단. 공저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