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부동산 메타버스 프롭테크

$37.58
SKU
9791130322667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2 - Thu 05/8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4/29 - Thu 05/1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5/04/10
Pages/Weight/Size 176*248*30mm
ISBN 9791130322667
Categories 대학교재 > 경상계열
Description
메타버스는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는 현존감을 구현하여 세상을 바꾸는 미래 기술이다. 현실인물이 가상인물로 변환되어 디지털 가상세상에서 생활하고 반대로 디지털 가상인물이 물리적 현실에서 생활하기도 하여 디지털 세상과 물리적 세상을 넘나들어 현실과 가상이 구분이 모호해지는 메타버스 세상이 구현되는 것이다. 가까이 다가오는 메타버스 세상은 현재는 미래를 구성하고 미래는 현재를 구성한다는 미래학의 ‘미래와 현재의 상호구성원리’가 적용이 되지 않는 것이다. 메타버스는 인터넷과 스마트폰에 이어 세 번째 IT혁명을 가져오는 혁신기술로서 지금까지 겪어본 적 없는 세계로 우리를 인도하게 될 것이다. 경제, 산업, 사회, 교육 등 우리를 둘러싼 환경과 삶이 새로운 방식으로 바뀌게 될 것이다. 이러한 메타버스는 단순히 잠시 지나가는 트렌드가 아니며 새로운 문명으로 불러야 할 정도로 거대하고 빠른 흐름으로 세상을 뒤흔들어 새로운 변화를 일으키게 될 것이다.
Contents
PART 1
미래사회와 부동산


CHAPTER 1 미래사회와 메타버스
section 1 미래에 대한 상상 4
Ⅰ. 미래를 들어가 보며 4
Ⅱ. 급변하는 미래 세상 6
section 2 미래사회 12
Ⅰ. 인간의 상상으로 그려지는 미래의 모습 12
Ⅱ. 미래사회에 대한 다양한 담론 14
section 3 미래연구 필요성 15
Ⅰ. 미래예측 15
Ⅱ. 미래의 불확실성 16
Ⅲ. 미래연구 필요성 19
Ⅳ. 패러다임과 패러독스 21
Ⅴ. 미래연구 방법론 25
section 4 부동산의 미래 변화 30
Ⅰ. 부동산 미래에 영향을 미칠 주요 이슈 30
Ⅱ. 부동산 변화와 발전의 주요 트렌드 32

CHAPTER 2 제4차산업혁명과 사회변화
section 1 제4차산업혁명 등장과 특징 39
Ⅰ. 제4차산업혁명의 등장 39
Ⅱ. 제4차산업혁명론 40
Ⅲ. 제4차산업혁명의 특징 43
section 2 제4차산업혁명의 사회변화 48
Ⅰ. 제4차산업혁명 혁신적 기술과 영향 49
Ⅱ. 제4차산업혁명과 산업구조 변화 53
Ⅲ. 제4차산업혁명시대 부동산 변화 67
section 3 코로나 19의 영향과 변화 72
Ⅰ. STEEP에 의한 영향과 변화 73
Ⅱ. 코로나 19로 인한 부동산 변화 79

CHAPTER 3 디지털전환과 부동산
section 1 디지털전환 86
Ⅰ. 디지털전환의 의의 86
Ⅱ. 디지털전환에 의한 사회변화 89
section 2 디지털경제 96
Ⅰ. 디지털경제의 등장 96
Ⅱ. 디지털경제의 특징과 변화 98
Ⅲ. 디지털정보의 생산·유통상 특징 101
Ⅳ. 디지털경제 원리 103
Ⅴ. 디지털경제하의 기술경쟁: 수확체증, 창조적 파괴 109
Ⅵ. 디지털 수렴과 산업변화 112

PART 2
메타버스와 정보기술 융합


CHAPTER 4 메타버스 기술발전
section 1 메타버스 개요 118
Ⅰ. 메타버스 등장 배경 120
Ⅱ. 메타버스 어원 123
section 2 메타버스 개념 125
section 3 메타버스 구성요소, 유형 및 활용 130
Ⅰ. 메타버스 구성요소 130
Ⅱ. 메타버스 유형 131
section 4 메타버스 요소기술과 동향 139
Ⅰ. 메타버스 요소기술 139
Ⅱ. 메타버스 플랫폼 141
Ⅲ. 메타버스 생태계 및 기술동향 144
Ⅳ. 메타버스 주요기술 동향 146
section 5 메타버스 산업 변화 166
Ⅰ. 메타버스 시장 분석 166
Ⅱ. 산업용 메타버스 확대발전 167

CHAPTER 5 메타버스와 블록체인·NFT
section 1 대체불가능토큰(NFT) 개념과 원리 174
Ⅰ. 대체불가능토큰(NFT) 개념 176
Ⅱ. 대체불가능토큰 특성 178
Ⅲ. NFT를 통한 디지털 아이템의 경제성 179
Ⅳ. 대체불가능토큰 생태계 180
Ⅴ. 대체불가능토큰과 블록체인 연계 181
section 2 메타버스와 블록체인·NFT 186
Ⅰ. 메타버스의 NFT 역할 186
Ⅱ. 메타버스의 NFT 활용 187
Ⅲ. 메타버스에서 DAO 관점 블록체인 연계 방안 189
Ⅳ. 메타버스 플랫폼에서의 NFT 거래 190

PART 3
메타버스 정책과 활용


CHAPTER 6 메타버스 추진정책
section 1 메타버스 정책 개관 194
section 2 주요국 메타버스 정책 196
Ⅰ. 미국 메타버스 추진정책 196
Ⅱ. 중국 메타버스 추진정책 197
Ⅲ. 유럽연합 메타버스 추진정책 200
Ⅳ. 영국 메타버스 추진정책 202
Ⅴ. 일본 메타버스 추진정책 203
Ⅵ. 중동지역 메타버스 정책 동향 204
section 3 국내 메타버스 정책 206
Ⅰ. 국내 메타버스 정책 추진 206
Ⅱ. 메타버스 관련 법·제도 211

CHAPTER 7 메타버스 활용과 전망
section 1 메타버스 시장 전망 214
section 2 메타버스 활용 215
Ⅰ. 메타버스 기반 디지털 전환 218
Ⅱ. 메타버스 분야별 활용 224
Ⅲ. 메타버스 디지털 휴먼 232
section 3 메타버스 발전 전망 240
Ⅰ. 메타버스에 의한 산업 발전 240
Ⅱ. 메타버스에 의한 분야별 변화 전망 243
section 4 메타버스 제한과 한계 249
Ⅰ. AI와 메타버스 융합과 개인정보 249
Ⅱ. 해결할 과제 253
section 5 메타버스 향후 변화 256
Ⅰ. 메타버스 기술 발전 동향 257
Ⅱ. 메타버스 기술 발전 전망 259
Ⅲ. 메타버스 개발 방향 269

PART 4
메타버스 프롭테크


CHAPTER 8 프롭테크
section 1 프롭테크의 핵심기술 274
section 2 프롭테크 개관 277
Ⅰ. 프롭테크 개념과 범주 278
Ⅱ. 프롭테크 비즈니스 주요 가치 283
Ⅲ. 프롭테크 현황 287
section 3 국내·외 프롭테크 동향 290
Ⅰ. 프롭테크 성장과 발전 290
Ⅱ. 프롭테크 투자유치 동향 291
section 4 분야별 주요 프롭테크 300
Ⅰ. 주요 프롭테크 300
Ⅱ. 프롭테크 선도 비즈니스 모델 308
Ⅲ. 프롭테크 분석 312
section 5 프롭테크 발전과 진화방향 320
section 6 프롭테크의 미래 326

CHAPTER 9 메타버스 부동산 활용
section 1 부동산의 메타버스 활용 필요성 332
Ⅰ. 비대면시대 부동산 메타버스 활용 가속화 332
Ⅱ. 부동산의 메타버스 활용 필요성 335
section 2 부동산의 메타버스 활용 337
Ⅰ. 부동산 비즈니스 협업 337
Ⅱ. 부동산 시뮬레이션 341
Ⅲ. 부동산 개발 344
Ⅳ. 부동산 관리 및 임장활동 347

CHAPTER 10 메타버스 프롭테크
section 1 메타버스 프롭테크 개관 354
Ⅰ. 메타버스 프롭테크 도입 배경 354
Ⅱ. 메타버스 프롭테크 의의 357
Ⅲ. 메타버스 프롭테크 전망 360
section 2 메타버스 프롭테크 현황 361
Ⅰ. 해외 메타버스 프롭테크 362
Ⅱ. 국내 메타버스 프롭테크 376
section 3 메타버스 프롭테크 평가 381
section 4 메타버스 프롭테크 생태계 385
Ⅰ. 메타버스 프롭테크 생태계 구성 385
Ⅱ. 메타버스 프롭테크 환경과 인식 변화 387
section 5 메타버스 프롭테크 구현 핵심요인 388
Ⅰ. 메타버스 프롭테크 상호작용 유형 388
Ⅱ. 메타버스 프롭테크 구현 방안 393

참고문헌_400
찾아보기_411
Author
경정익
저자는 빅데이터, 블록체인, 인공지능, CPS 등 정보기술의 부동산 활용과 제4차산업혁명, 인구구조 변화, 도시변화, 남북한 관계변화에 따른 부동산 변화 등 메가트렌드 변화에 대한 특별한 관심으로 이에 따른 미래 부동산의 변화와 발전에 대한 연구와 집필, 대학과 공공 및 교육기관의 자문과 강의 그리고 특별강연 활동을 하고 있다.
명지대 부동산대학원, 한성대학교 부동산대학원, 인하대 정책대학원, 중앙대학교, 한양사이버대 부동산대학원과 서울/한양/세종/세계 사이버대학교에서 부동산정보론, 부동산빅데이터분석, 부동산블록체인활용, 미래부동산분석, 스마트부동산 프롭테크 등으로 출강하며, 부동산최고위과정(매일경제사, 동국대, 아주대, 부산교대, 성동구청, 서초구청 등)과 명지대, 국민대, 인하대 등 다수 대학, 관련 기업체에 제4차산업혁명과 정보기술발전의 부동산활용에 대한 강연을 하고 있다.

[학력 및 경력]
ㆍ행정학박사(부동산정보화정책)
ㆍ부동산학석사, 공학석사(정보통신학)
ㆍ국토교통부 국가공간정보사업 기술평가위원
ㆍ한국부동산정보분석연구원장
ㆍ국민대학교 정보기술연구소 연구위원
ㆍ도시계획/도시재생 심의/평가위원(강북구, 관악구, 동대문구, 의정부시, 평택시, 가평군, 성남시, 부평구)
ㆍ서대문구 공유재산심의위원회 부위원장
ㆍ공인중개사 자격시험 출제위원
ㆍ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자문 및 평가위원
ㆍ성남도시개발공사 기술자문위원
ㆍ인천도시공사 기술자문위원
ㆍ한국광해관리공단 심의자문위원
ㆍNCS(국가직무능력표준) 부동산분야 집필/검토위원
ㆍ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원 부동산 빅데이터 자문교수
ㆍ포항 테크노파크 빅데이터 자문위원
ㆍ㈜하나자산신탁ㆍ빅데이터 자문위원
ㆍ광명시 빅데이터 공모심사위원
ㆍ산업통상자원부 지식경제 기술혁신 전문위원
ㆍ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평가위원
ㆍ공공기관 정보화사업부문 기술자문 및 평가위원(한국정보화진흥원, 한국해양과학기술진흥원,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국가산업융합지원센터, 경기과학기술진흥원, 한국산업기술진흥원,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서울산업진흥원, 경북 S/W진흥센터)
ㆍ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보호 전문강사
ㆍ문화체육관광부 개인정보보호 자문위원
ㆍ행정안전부 개인정보보호 자율규제단체 자문
ㆍ㈜씨에이에스 개인정보보호 자문위원
ㆍ한국공인중개사협회 교수
ㆍ대한주택관리사협회 교수
ㆍ경기도 공무원 연수교육 외래교수
ㆍ한국천문연구원 평가위원
ㆍ한국부동산산업학회 이사
ㆍ한국부동산경영학회 이사
ㆍ한국부동산분석학회 정회원
ㆍ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정회원
ㆍ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지자체 정책자문위원
ㆍ한국정책포럼 학술이사
ㆍ서울시 도시공간정보포럼 운영위원
ㆍ명지대학교 부동산대학원 겸임교수
ㆍ한성대학교 부동산대학원 겸임교수
ㆍ서울/세종/세계사이버대학교 겸임교수
ㆍ중앙대, 인하대 정책대학원, 한양사이버 부동산대학교 외래교수

[저서]
ㆍ부동산빅데이터블록체인프롭테크(2020), 박영사
ㆍ부동산 중개 경영이론과 실무(공저, 2020), 한국공인중개사협회
ㆍ개인정보보호 중개업 자율규약(2017), 행정안전부
ㆍ개인정보보호 이해와 해설(2015), 부연사
ㆍ스마트 빅데이터 시대 부동산정보화의 이해 개정판(2015), 부연사

[주요 연구수행/논문]
ㆍ부동산정보시스템이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2010), 한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ㆍ부동산정보시스템의 품질이 중개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2010), ㆍ부동산학연구ㆍ 제16집제1호, 한국부동산분석학회.
ㆍ부동산정보정책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2010), ㆍ한국공공관리학보ㆍ 제24집제3호, 한국공공관리학회.
ㆍ부동산정보화정책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2011), 가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ㆍ부동산정보화정책의 효율성을 위한 개선방안(2011), ㆍ부동산학연구ㆍ 제17집제3호, 한국부동산분석학회.
ㆍ부동산정보화정책의 성공요인에 대한 인식분석: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비교(2012), ㆍ한국공공관리학보ㆍ 제26집제1호, 한국공공관리학회.
ㆍ모바일 부동산정보시스템의 특성이 만족도와 재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2012), ㆍ부동산학연구ㆍ 제18집제3호, 한국부동산분석학회.
ㆍ거버넌스형 안전도시 포털시스템 설계(2012), 국립방재연구원.
ㆍ도시 안전지수DB 구축 및 안전지수 활용방안 연구(2012), 행정안전부.
ㆍ부동산 포털사이트의 매물정보 품질 개선에 관한 연구(2013), ㆍ부동산학연구ㆍ 제19집제3호, 한국부동산분석학회.
ㆍ지명법 제정에 따른 하위규정 제정(안) 마련 연구(2013), 국토지리정보원.
ㆍ안전정보 통합운영관리 정보화전략계획 수립 및 지역안전진단 시스템 개발 설계(2013), 행정안전부.
ㆍ창조경제와 일자리 창출을 위한 공간정보 생태계 활성화 전략 연구(2013), 국토정보공사 공간정보연구원.
ㆍ기술수용모델을 이용한 공인중개사의 정보화활용 행동에 관한 연구(2014), ㆍ부동산학연구ㆍ 제20집제4호, 한국부동산분석학회.
ㆍ부동산분야의 빅데이터 활용 방안과 정책적 제언(2014), ㆍ부동산경영ㆍ 제10집, 한국부동산경영학회.
ㆍ부동산분야에서 빅데이터 전략적 활용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2015), ㆍ부동산산업ㆍ 창간호, 한국부동산산업학회.
ㆍ부동산분야의 빅데이터 도입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2015), ㆍ부동산분석ㆍ 창간호, 한국부동산원.
ㆍ빅데이터에 의한 부동산활동 의사결정모형에 관한 연구(2015), 한국부동산경영학회 학술대회.
ㆍText Mining에 의한 부동산 빅데이터 감성분석 모형 개발 연구(2016), ㆍ주택연구ㆍ 제24권제4호, 한국주택학회.
ㆍ빅데이터에 의한 부동산정책 현안진단 및 수용예측방법론(2017), ㆍ부동산경영ㆍ 제15집, 한국부동산경영학회.
ㆍ부동산 분야의 빅데이터 활용(2017), ㆍReal Estate Issue & Market Trendㆍ Vol.15. June, (주)하나자산신탁.
ㆍ제4차산업혁명시대, 부동산산업의 정보기술 수용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2018), 한국부동산학회, 제36권제3호.
ㆍ블록체인에 의한 부동산 변화 연구(2019), 한국부동산경영학회 후반기 세미나 연구발표.
ㆍ제4차산업혁명시대 도시재생의 스마트기술 도입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요인(2020), 한국부동산원, ㆍ부동산분석ㆍ 제6권제1호.
ㆍ블록체인에 의한 부동산산업과 시장 혁신에 관한 연구(2020), 한국부동산분석학회, 제5차 부동산산업의 날 기념 학술대회 연구발표.

[주요 강연 주제]
ㆍ제4차산업혁명시대 부동산 변화와 발전
ㆍ블록체인에 의한 부동산 변화와 발전
ㆍ부동산분야의 빅데이터 활용
ㆍ뉴 노멀시대 미래 부동산 방향
ㆍ부동산산업별 프롭테크 발전(개발, 주택, 정보, 중개 등)
ㆍ북한변화와 부동산시장의 기회
저자는 빅데이터, 블록체인, 인공지능, CPS 등 정보기술의 부동산 활용과 제4차산업혁명, 인구구조 변화, 도시변화, 남북한 관계변화에 따른 부동산 변화 등 메가트렌드 변화에 대한 특별한 관심으로 이에 따른 미래 부동산의 변화와 발전에 대한 연구와 집필, 대학과 공공 및 교육기관의 자문과 강의 그리고 특별강연 활동을 하고 있다.
명지대 부동산대학원, 한성대학교 부동산대학원, 인하대 정책대학원, 중앙대학교, 한양사이버대 부동산대학원과 서울/한양/세종/세계 사이버대학교에서 부동산정보론, 부동산빅데이터분석, 부동산블록체인활용, 미래부동산분석, 스마트부동산 프롭테크 등으로 출강하며, 부동산최고위과정(매일경제사, 동국대, 아주대, 부산교대, 성동구청, 서초구청 등)과 명지대, 국민대, 인하대 등 다수 대학, 관련 기업체에 제4차산업혁명과 정보기술발전의 부동산활용에 대한 강연을 하고 있다.

[학력 및 경력]
ㆍ행정학박사(부동산정보화정책)
ㆍ부동산학석사, 공학석사(정보통신학)
ㆍ국토교통부 국가공간정보사업 기술평가위원
ㆍ한국부동산정보분석연구원장
ㆍ국민대학교 정보기술연구소 연구위원
ㆍ도시계획/도시재생 심의/평가위원(강북구, 관악구, 동대문구, 의정부시, 평택시, 가평군, 성남시, 부평구)
ㆍ서대문구 공유재산심의위원회 부위원장
ㆍ공인중개사 자격시험 출제위원
ㆍ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자문 및 평가위원
ㆍ성남도시개발공사 기술자문위원
ㆍ인천도시공사 기술자문위원
ㆍ한국광해관리공단 심의자문위원
ㆍNCS(국가직무능력표준) 부동산분야 집필/검토위원
ㆍ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원 부동산 빅데이터 자문교수
ㆍ포항 테크노파크 빅데이터 자문위원
ㆍ㈜하나자산신탁ㆍ빅데이터 자문위원
ㆍ광명시 빅데이터 공모심사위원
ㆍ산업통상자원부 지식경제 기술혁신 전문위원
ㆍ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평가위원
ㆍ공공기관 정보화사업부문 기술자문 및 평가위원(한국정보화진흥원, 한국해양과학기술진흥원,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국가산업융합지원센터, 경기과학기술진흥원, 한국산업기술진흥원,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서울산업진흥원, 경북 S/W진흥센터)
ㆍ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보호 전문강사
ㆍ문화체육관광부 개인정보보호 자문위원
ㆍ행정안전부 개인정보보호 자율규제단체 자문
ㆍ㈜씨에이에스 개인정보보호 자문위원
ㆍ한국공인중개사협회 교수
ㆍ대한주택관리사협회 교수
ㆍ경기도 공무원 연수교육 외래교수
ㆍ한국천문연구원 평가위원
ㆍ한국부동산산업학회 이사
ㆍ한국부동산경영학회 이사
ㆍ한국부동산분석학회 정회원
ㆍ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정회원
ㆍ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지자체 정책자문위원
ㆍ한국정책포럼 학술이사
ㆍ서울시 도시공간정보포럼 운영위원
ㆍ명지대학교 부동산대학원 겸임교수
ㆍ한성대학교 부동산대학원 겸임교수
ㆍ서울/세종/세계사이버대학교 겸임교수
ㆍ중앙대, 인하대 정책대학원, 한양사이버 부동산대학교 외래교수

[저서]
ㆍ부동산빅데이터블록체인프롭테크(2020), 박영사
ㆍ부동산 중개 경영이론과 실무(공저, 2020), 한국공인중개사협회
ㆍ개인정보보호 중개업 자율규약(2017), 행정안전부
ㆍ개인정보보호 이해와 해설(2015), 부연사
ㆍ스마트 빅데이터 시대 부동산정보화의 이해 개정판(2015), 부연사

[주요 연구수행/논문]
ㆍ부동산정보시스템이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2010), 한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ㆍ부동산정보시스템의 품질이 중개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2010), ㆍ부동산학연구ㆍ 제16집제1호, 한국부동산분석학회.
ㆍ부동산정보정책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2010), ㆍ한국공공관리학보ㆍ 제24집제3호, 한국공공관리학회.
ㆍ부동산정보화정책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2011), 가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ㆍ부동산정보화정책의 효율성을 위한 개선방안(2011), ㆍ부동산학연구ㆍ 제17집제3호, 한국부동산분석학회.
ㆍ부동산정보화정책의 성공요인에 대한 인식분석: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비교(2012), ㆍ한국공공관리학보ㆍ 제26집제1호, 한국공공관리학회.
ㆍ모바일 부동산정보시스템의 특성이 만족도와 재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2012), ㆍ부동산학연구ㆍ 제18집제3호, 한국부동산분석학회.
ㆍ거버넌스형 안전도시 포털시스템 설계(2012), 국립방재연구원.
ㆍ도시 안전지수DB 구축 및 안전지수 활용방안 연구(2012), 행정안전부.
ㆍ부동산 포털사이트의 매물정보 품질 개선에 관한 연구(2013), ㆍ부동산학연구ㆍ 제19집제3호, 한국부동산분석학회.
ㆍ지명법 제정에 따른 하위규정 제정(안) 마련 연구(2013), 국토지리정보원.
ㆍ안전정보 통합운영관리 정보화전략계획 수립 및 지역안전진단 시스템 개발 설계(2013), 행정안전부.
ㆍ창조경제와 일자리 창출을 위한 공간정보 생태계 활성화 전략 연구(2013), 국토정보공사 공간정보연구원.
ㆍ기술수용모델을 이용한 공인중개사의 정보화활용 행동에 관한 연구(2014), ㆍ부동산학연구ㆍ 제20집제4호, 한국부동산분석학회.
ㆍ부동산분야의 빅데이터 활용 방안과 정책적 제언(2014), ㆍ부동산경영ㆍ 제10집, 한국부동산경영학회.
ㆍ부동산분야에서 빅데이터 전략적 활용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2015), ㆍ부동산산업ㆍ 창간호, 한국부동산산업학회.
ㆍ부동산분야의 빅데이터 도입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2015), ㆍ부동산분석ㆍ 창간호, 한국부동산원.
ㆍ빅데이터에 의한 부동산활동 의사결정모형에 관한 연구(2015), 한국부동산경영학회 학술대회.
ㆍText Mining에 의한 부동산 빅데이터 감성분석 모형 개발 연구(2016), ㆍ주택연구ㆍ 제24권제4호, 한국주택학회.
ㆍ빅데이터에 의한 부동산정책 현안진단 및 수용예측방법론(2017), ㆍ부동산경영ㆍ 제15집, 한국부동산경영학회.
ㆍ부동산 분야의 빅데이터 활용(2017), ㆍReal Estate Issue & Market Trendㆍ Vol.15. June, (주)하나자산신탁.
ㆍ제4차산업혁명시대, 부동산산업의 정보기술 수용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2018), 한국부동산학회, 제36권제3호.
ㆍ블록체인에 의한 부동산 변화 연구(2019), 한국부동산경영학회 후반기 세미나 연구발표.
ㆍ제4차산업혁명시대 도시재생의 스마트기술 도입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요인(2020), 한국부동산원, ㆍ부동산분석ㆍ 제6권제1호.
ㆍ블록체인에 의한 부동산산업과 시장 혁신에 관한 연구(2020), 한국부동산분석학회, 제5차 부동산산업의 날 기념 학술대회 연구발표.

[주요 강연 주제]
ㆍ제4차산업혁명시대 부동산 변화와 발전
ㆍ블록체인에 의한 부동산 변화와 발전
ㆍ부동산분야의 빅데이터 활용
ㆍ뉴 노멀시대 미래 부동산 방향
ㆍ부동산산업별 프롭테크 발전(개발, 주택, 정보, 중개 등)
ㆍ북한변화와 부동산시장의 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