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경찰행정학과와 경찰(활동)에 대한 안내와 소개를 목적으로 준비되었다. 경찰행정학에 관해 다루었지만, 경찰학은 빠져있었고 이를 문의하는 사례가 많았다. 2021년부터 시행된 자치경찰에 대한 문의도 많았다. 이들과 관련된 내용을 새로이 추가하여 제3판을 구성했다.
Contents
PART Ⅰ. 경찰행정학과의 탄생과 발전
Q1. 경찰행정학과는 언제, 어떻게 등장했나요? 3
Q2. 경찰행정학과가 설치된 대학은 어디인가요? 17
Q3. 경찰대학과 일반대학 경찰행정학과는 무엇이 다른가요? 28
Q4. 경찰행정학은 무엇인가요? 47
Q5. 경찰학은 무엇인가요 ? 55
Q6. 외국(미국)에서 경찰행정학은 어떻게 학습되나요? 68
PART Ⅱ. 경찰행정학과 입학과 학과생활
Q7. 경찰행정학과에 입학하기 위해 어떤 준비를 해야 하나요? 87
Q8. 경찰행정학과에서 배우는 내용은 무엇인가요? 99
Q9. 경찰행정학과는 기율(세칭, 군기)이 센가요? 학과 생활은 어떤가요? 115
PART Ⅲ. 경찰행정학과와 경찰
Q10. 경찰행정학과 졸업 후 진로는 어떻게 되나요? 131
Q11. 경찰공무원이 되고자 할 때 경찰행정학과가 도움이 되나요? 146
Q12. 경찰공무원 생활에 경찰행정학과가 도움이 되나요? 162
PART Ⅳ. 경찰생활
Q13. 경찰공무원은 어떻게 되나요? 179
Q14. 경찰공무원이 되려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213
Q15. 경찰공무원 시험 합격 후 신임교육은 어떻게 이루어지나요? 229
Q16. 경찰이 하는 일은 무엇인가요? 242
Q17. 자치경찰은 무엇인가요 ? 261
Q18. 경찰업무는 얼마나 위험한가요? 279
Q19. 경찰공무원 인력(계급, 성별, 학력)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나요? 299
Q20. 경찰예산과 보수수준은 어떻게 되나요? 319
경찰대학 행정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에서 석사학위(정책학전공), 동국대학교 경찰행정학과에서 박사학위(경찰학전공)를 취득하였다. 경찰대학과 경기경찰청 소속으로 근무하였으며 서울디지털대학교 경찰학전공 교수, Murray 주립대학 CJ 프로그램 방문학자를 역임하고 현재는 대구대학교 경찰학부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경찰청 자체평가위원회 위원, 고객만족정책 평가위원 등을 역임하였고, 대구광역시경찰청·울산광역시경찰청·경상북도경찰청 등에서 각종 위원회 위원 및 자문 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국가경찰공무원(경찰간부후보생, 순경)·자치경찰공무원 채용시험 출제위원·면접위원, 지방자치단체 청원경찰 채용시험 출제위원, 그리고 각종 국가기관 방호직·운전직 공무원 채용시험 전형위원으로 활동하고도 있다. 경찰과 경찰활동에 대한 수많은 오해와 신화(myths) 속에서 진실(사실)을 확인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저서와 연구 활동을 실천하고 있다.
경찰대학 행정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에서 석사학위(정책학전공), 동국대학교 경찰행정학과에서 박사학위(경찰학전공)를 취득하였다. 경찰대학과 경기경찰청 소속으로 근무하였으며 서울디지털대학교 경찰학전공 교수, Murray 주립대학 CJ 프로그램 방문학자를 역임하고 현재는 대구대학교 경찰학부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경찰청 자체평가위원회 위원, 고객만족정책 평가위원 등을 역임하였고, 대구광역시경찰청·울산광역시경찰청·경상북도경찰청 등에서 각종 위원회 위원 및 자문 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국가경찰공무원(경찰간부후보생, 순경)·자치경찰공무원 채용시험 출제위원·면접위원, 지방자치단체 청원경찰 채용시험 출제위원, 그리고 각종 국가기관 방호직·운전직 공무원 채용시험 전형위원으로 활동하고도 있다. 경찰과 경찰활동에 대한 수많은 오해와 신화(myths) 속에서 진실(사실)을 확인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저서와 연구 활동을 실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