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 경영 원칙

살아있는 시스템의 경영 원칙
$25.92
SKU
9791130321622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2 - Thu 05/8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4/29 - Thu 05/1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5/03/11
Pages/Weight/Size 153*224*30mm
ISBN 9791130321622
Categories 대학교재 > 경상계열
Description
『생명 경영 원칙』은 모든 것이 변하는 경영의 세계에서 이에 대처하기 위한 불변의 원칙을 이야기한다.
Contents
Part 01

Why? 변화를 감지하라. 왜 생명 경영이어야 하는가? .............15
Chapter 01 외면한 질서의 부상................................................ 17
뉴 노멀이 시작되었다 ..........................................................18
경영경제 패러다임을 변화시키자 ........................................30
축의 전환, 그 갈림길에서의 선택은? ....................................41
Chapter 02 경영에 철학이 필요하다........................................ 48
철학, 질문하는 힘! ...............................................................48
변화, 그 이유와 모습 그리고 본다는 것 ...............................56
Chapter 03 인간관 그리고 세계관........................................... 68
환원적 시각 ........................................................................71
전일적 시각 ........................................................................77
통합적 시각, 부분이자 전체 .................................................82

Part 02

What? 원칙을 세워라. 생명 경영은 무엇인가?.......................91
Chapter 01 생명 경영은 무엇인가.............................................93
인류 최고 발명품, 경영 ........................................................93
살아있는 시스템의 경영, 생명 경영 ...................................104
생명 경영, 그 가치와 원칙 .................................................123
Chapter 02 (원칙 1) 인간은 관리의 대상이 아니다..................130
원래 인간은 관리할 수 없다 .............................................131
사람을 움직이는 힘 ..........................................................138
조직은 붕괴하게 되어 있다 ..............................................140
Chapter 03 (원칙 2) 관리의 대상은 시스템이다......................143
시스템과 시스템 철학 .......................................................144
시스템의 기본 행태와 구조 ................................................163
시스템을 경영하자 ............................................................167
Chapter 04 (원칙 3) 인간은 학습의 대상이다........................ 180
배움의 시대는 끝났다 ........................................................181
질문할 수 있는가? ..............................................................188
어떻게 익히나 ....................................................................196
Chapter 05 (원칙 4) 학습은 핵심가치를 업무에
녹여 흐르게 하는 것이다..................................... 203
조직이 학습해야 한다 .......................................................204
학습 조직을 만들자 ..........................................................209
학습 조직의 추진 전략은? ..................................................215

Part 03

How? 실천하라. 생명 경영을 실천하다...............................225
생명 경영 사례를 보자................................................................227
Case Study 01 시골 빵집....................................................... 230
훑어보기 ............................................................................230
생명 경영의 실천 ...............................................................232
생각해 보기 ........................................................................242
Case Study 02 미래 공업...................................................... 244
흝어보기 ............................................................................244
생명 경영의 실천 ...............................................................246
생각해 보기 ........................................................................252
Case Study 03 메이요 클리닉............................................... 254
훑어보기 ............................................................................254
생명 경영의 실천 ...............................................................255
생각해 보기 ........................................................................264
참고문헌...........................................................................266
미주..................................................................................277
색인.................................................................................. 291
Author
이견직
서강대학교 경영대학을 졸업하고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경영과학 석·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림대학교 경영학과 의료경영전공의 교수이며, 의료경영연구소 소장이다. 주요 사회활동으로 대통령자문 고령화 및 미래사회위원회 전문위원과 보건복지부 및 대한병원협회 자문 위원 등이 있으며 한국병원경영학회 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의료경영과 의료정책, 고령친화산업과 사회혁신경영, 비즈니스 다이내믹스 등에 깊은 관심을 갖고 있으며 특히, 의료조직의 전략경영과 운영관리, 비영리조직경영, 사회적 기업과 공유경제 등에 대해 공부하고 있다.
[저서]
의료경영학(2010, 2015, 2021), 의료운영관리(2012), 사회적경제의 이해와 전망(2014), 사회경영 전략(2015) 등이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는 “A Practical Method of Predicting Client Revisit Intention in a Hospital Setting”(Health Care Management Review, 2005), “Maternal Education and Allocation of Time and Children’s Health in South Korea”(Journal of World Health & Population, 2006), “코로나19에 대응하는 세분화된 사회적 거리두기 정책의 효과 분석”(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연구, 2021), “동적 시뮬레이션 접근을 통한 만성질환관리의 스마트 헬스케어 효과성 연구”(보건사회연구, 2019), “디지털 헬스 시스템 성과연구”(의료경영학연구, 2018), “시스템사고로 본 의료전달체계의 위기와 개선방안”(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연구, 2016), “사회적 미션조직으로서 의료기관의 단계적 성과분석”(보건사회연구, 2014), “중요도-성취도 분석을 활용한 도심형 요양병원 선택요인 연구”(보건사회연구, 2014), “의료관광산업의 국제경쟁력분석 연구”(보건사회 연구, 2013), “린6시그마와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병원 응급실 프로세스 개선”(보건사회연구, 2011), “병원산업에서 시장지향성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규모와의 관계”(보건행정학회지, 2006), “신경망 모형을 이용한 외래 환자 만족도 예측 및 민감도 분석”(병원경영학회지, 2003) 등 국내외 수십여 편이 있다.
서강대학교 경영대학을 졸업하고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경영과학 석·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림대학교 경영학과 의료경영전공의 교수이며, 의료경영연구소 소장이다. 주요 사회활동으로 대통령자문 고령화 및 미래사회위원회 전문위원과 보건복지부 및 대한병원협회 자문 위원 등이 있으며 한국병원경영학회 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의료경영과 의료정책, 고령친화산업과 사회혁신경영, 비즈니스 다이내믹스 등에 깊은 관심을 갖고 있으며 특히, 의료조직의 전략경영과 운영관리, 비영리조직경영, 사회적 기업과 공유경제 등에 대해 공부하고 있다.
[저서]
의료경영학(2010, 2015, 2021), 의료운영관리(2012), 사회적경제의 이해와 전망(2014), 사회경영 전략(2015) 등이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는 “A Practical Method of Predicting Client Revisit Intention in a Hospital Setting”(Health Care Management Review, 2005), “Maternal Education and Allocation of Time and Children’s Health in South Korea”(Journal of World Health & Population, 2006), “코로나19에 대응하는 세분화된 사회적 거리두기 정책의 효과 분석”(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연구, 2021), “동적 시뮬레이션 접근을 통한 만성질환관리의 스마트 헬스케어 효과성 연구”(보건사회연구, 2019), “디지털 헬스 시스템 성과연구”(의료경영학연구, 2018), “시스템사고로 본 의료전달체계의 위기와 개선방안”(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연구, 2016), “사회적 미션조직으로서 의료기관의 단계적 성과분석”(보건사회연구, 2014), “중요도-성취도 분석을 활용한 도심형 요양병원 선택요인 연구”(보건사회연구, 2014), “의료관광산업의 국제경쟁력분석 연구”(보건사회 연구, 2013), “린6시그마와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병원 응급실 프로세스 개선”(보건사회연구, 2011), “병원산업에서 시장지향성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규모와의 관계”(보건행정학회지, 2006), “신경망 모형을 이용한 외래 환자 만족도 예측 및 민감도 분석”(병원경영학회지, 2003) 등 국내외 수십여 편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