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新국가안보론』 개정판은 기존 교과서의 집필 방향을 계승했다. 안보를 바라보는 세 가지 접근인 절대안보, 공동안보, 협력안보의 프레임을 그대로 유지한 가운데, 각 프레임에 기반한 정책수단과 기제가 이 책의 중심을 이루고 있다. 각 접근에 기반하여 발전한 각각의 정책수단이 어떻게 국가안보의 증진에 기여하는지에 대한 메커니즘을 설명하고 각 정책수단이 갖는 장점과 한계에 대하여 제시했다. 또한, 한부 수준의 학생들의 학습이 효과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각 챕터의 학습목표, 탐구중점, 핵심개념을 제시하고 요약과 더 읽으면 좋은 글을 추가했다.
Contents
제1장 국가안보의 이해_황진환
제1절 국가안보와 국가이익
제2절 국가안보 개념의 확대
제3절 국가안보 연구 패러다임
제2장 비전통적 안보위협과 군대의 역할_김인수
제1절 비전통 안보위협의 이해
제2절 안보위협의 변화와 군사작전의 확대
제3장 군사력건설론_성기은
제1절 군사력 건설의 원인
제2절 군사력의 구성요소와 기능
제3절 군사력 건설과 군사혁신
제4장 군사동맹론_윤정원
제1절 동맹의 개념
제2절 동맹의 목적
제3절 동맹의 분류
제4절 동맹의 특성과 한계
제5절 동맹의 관리
제6절 사례: 한미동맹의 변화와 지속
제5장 위기관리론_성기은
제1절 위기의 정의와 군사위기의 특수성
제2절 군사위기의 확대 요인과 군사위기관리 방식
제3절 한반도 군사위기의 특징과 위기관리
제6장 군사외교와 협상_김순수
제1절 군사외교의 개념과 기능
제2절 군사외교 전개 유형
제3절 협 상
제7장 군비통제론_황진환
제1절 군비통제: 개념과 기능
제2절 군비통제의 분류
제3절 군비통제와 국가안보정책
제4절 군비통제 결정요인: 이론적 변수군
제5절 사례: 남북한 군비통제
제8장 집단안보론_김인수
제1절 집단안보의 의미와 형성 배경
제2절 평화유지활동
제3절 한국의 평화유지활동
제9장 국가안보와 시민사회_김인수
제1절 시민사회의 개념과 기능
제2절 국방 NGO의 등장배경과 유형
제3절 국방 NGO와 안보정책 결정과정
제4절 시민사회와 국가안보의 관계
제10장 국가안보정책과 기구_이만석
제1절 국가안보정책의 특징
제2절 국가안보정책의 구성요소_
제3절 국가안보정책과정의 참여자와 기구
제4절 정책의제설정(Agenda Setting)
제11장 국가안보정책 결정_이만석
제1절 합리적·분석적 국가안보정책 수립_
제2절 합리적 정책결정 모형
제3절 대안적 정책결정 모형
제4절 쿠바 미사일 위기로 본 정책결정과정
Author
황진환
육군사관학교 정치학 교수
미국 남가주대학교(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정치학 석사 및 박사
육군사관학교 정치학 교수
미국 남가주대학교(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정치학 석사 및 박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