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예술정치

$23.81
SKU
9791130318417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9 - Thu 05/15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5/6 - Thu 05/8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3/08/09
Pages/Weight/Size 153*224*30mm
ISBN 9791130318417
Categories 대학교재 > 사회과학 계열
Description
현대 사회에서 문화예술과 정치의 밀착은 더욱 노골적으로 이루어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정치권력의 요구에 의한 것일 수도 있으나, 문화예술인 스스로 당당하게 정치의 영역에 간여하는 흐름이 동서양을 막론하고 구체화하고 있다. 정치지도자를 뽑는 선거에 예술인들이 특정 후보에 대한 지지를 표명하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다. 배우 출신 등 대중예술인이 아예 정치 무대에 뛰어들어 대통령으로 선출되거나, 국회의원 등 정치인으로 활동하는 것은 더 이상 뉴스거리가 아니다.

이 책은 문화예술과 정치와의 관계를 이론적으로 접근하면서도 다양한 실제적 사례를 통해 분석함으로써 전문 학술서의 범주를 훌쩍 뛰어 넘는 특징을 지닌다. 문화예술과 정치의 담론을 다루는 기존 서적들이 대부분 문화연구와 정치이론에 바탕한, 딱딱한 이론적 분석에 머물고 있다면, 이 책은 관련 이론의 토대 위에 구체적이고 생생한 사례를 제시한 뒤 이것이 갖는 문화예술정치적 의미를 분석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Contents
제1부 서론

제1장 문화예술과 정치

I. 문화예술의 이해 3
1. 문화예술의 분류 5
2. 문화예술의 가치와 특성 7
3. 문화예술의 영향력 9
II. 문화예술인의 이해 13
1. 순수예술과 예술인 13
2. 대중예술과 예술인 18
III. 정치의 이해 23
1. ‘정치적’의 의미 25
2. 이데올로기와 헤게모니 27
IV. 문화예술과 정치의 관계 30
1. 문화예술의 의미생산 메커니즘 30
2. 정치인과 대중예술인 셀러브리티 36

제2장 문화예술정치 이론의 탐색

I. 국가와 문화예술 41
1. 문화예술의 자율성과 독립성 41
2. 팔길이 원칙 45
II. 문화예술 권력 48
1. 권력 담론 48
2. 두 가지 차원의 문화예술권력 분류 52
III. 문화자본 53
1. 부르디외의 자본 논의 53
2. 문화자본의 탄생 54
IV. 벤야민의 예술론과 정치 58
1. 예술과 정치의 함수관계 58
2. 예술과 파시즘 61
3. 아도르노의 반론 63

제2부 문화예술정치의 포용과 불화

제3장 문화예술 지원과 통제

I. 정책을 통한 문화예술정치 69
1. 문화예술지원과 정치 69
2. 문화예술향유와 정치 73
3. 문화예술산업과 정치 80
4. 문화예술 분야의 국회 지정사업 84

II. 검열과 정치 89
1. 검열의 이해 89
2. 한국의 문화예술 검열 93
3. 대중음악 규제 96
III. 문화예술 분야 블랙리스트 99

제4장 세계사 속 정치지배자와 문화예술인

I. 루이 14세와 장바티스트 륄리 105
1. ‘태양왕’과 예술 105
2. 예술과 정치의 동거 109
II. 스탈린과 쇼스타코비치 113
1. 논쟁적 예술가 113
2. 변신 또는 몸부림 118
III.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와 베토벤 124
1. 나폴레옹의 등장 124
2. 베토벤의 추종과 분노 132
IV. 히틀러와 바그너 136
1. 바그너 음악의 정치성과 반유대주의 논란 136
2. 히틀러의 바그너 절대 숭배 140
3. 바그너 음악의 정치적 수용 144

제3부 문화예술 장르와 정치

제5장 순수예술과 정치

I. 클래식 음악과 정치 151
1. 음악정치 151
2. 푸틴과 예술가들 158
II. 미술과 정치 165
1. 시각이미지로서의 미술 165
2. 미술의 정치 참여 167
3. 통일 독일의 미술과 정치 175
III. 미국의 문화전쟁 180
1. 예술인가, 외설인가 180
2. 이례적 사건의 함의 188

제6장 대중예술과 정치

I. 대중음악과 정치 191
1. 정치적 성향의 대중음악 192
2. 대중예술과 국제 정치외교 무대 198
3. 정치지도자와 대중음악 203
II. 영화와 정치 209
1. 레닌과 영화 209
2. 영화와 정치적 통제 212

제4부 국내외 대중예술과 정치

제7장 한국의 대중예술과 정치

I. 정치인이 된 대중예술인 223
1. 대중예술인의 영향력 확대 224
2. 대중예술인의 정치 참여 225
II. 대중예술인의 정치적 발언 235
1. 스크린쿼터제와 영화배우 235
2. 선거와 대중예술인 239
III. 문화예술과 현실정치의 관계맺기 243

제8장 외국의 대중예술인과 정치

I. 밥 딜런과 정치 245
II. 미국의 대중예술인과 정치적 활동 253

제5부 문화예술정치의 미래

제9장 문화예술과 정치의 동행
I. 상호 긴밀성의 지속 265
II. 문화예술과 정치의 향배 269

참고문헌 273
찾아보기 283
Author
김진각
성신여자대학교 문화예술경영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고려대학교를 졸업하고 서강대학교 대학원을 거쳐 단국대학교 대학원에서 문화예술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미국 아메리칸대학교(AU) 아시아연구소 visiting scholar를 지냈으며, 현재 한국동북아학회 부회장 겸 문화예술분과위원장을 맡고 있다. 주로 연구하는 분야는 문화예술정책, 문화예술과 정치, 문화예술경영, 문화예술콘텐츠, 문화재단, 문화예술홍보 등이며, 순수예술과 대중예술의 융합 관련 연구를 병행하고 있다. 문화예술 콘텐츠 관련 기획도 직접 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문화예술지원론: 체계와 쟁점』, 주요 연구논문으로는 「문화콘텐츠 기업 문화재단의 예술지원 차별적 특성 연구: CJ문화재단을 중심으로」, 「문화예술지원기관의 역할 정립 방안 연구: 합의제 기구 전환 15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를 중심으로」, 「문화예술분야 공공지원금의 재정 안정성 및 정책적 개선 방안에 관한 탐색적 연구: 문화예술진흥기금을 중심으로」, 「문화예술 지원체계 개선을 위한 연구」 등이 있다.
성신여자대학교 문화예술경영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고려대학교를 졸업하고 서강대학교 대학원을 거쳐 단국대학교 대학원에서 문화예술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미국 아메리칸대학교(AU) 아시아연구소 visiting scholar를 지냈으며, 현재 한국동북아학회 부회장 겸 문화예술분과위원장을 맡고 있다. 주로 연구하는 분야는 문화예술정책, 문화예술과 정치, 문화예술경영, 문화예술콘텐츠, 문화재단, 문화예술홍보 등이며, 순수예술과 대중예술의 융합 관련 연구를 병행하고 있다. 문화예술 콘텐츠 관련 기획도 직접 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문화예술지원론: 체계와 쟁점』, 주요 연구논문으로는 「문화콘텐츠 기업 문화재단의 예술지원 차별적 특성 연구: CJ문화재단을 중심으로」, 「문화예술지원기관의 역할 정립 방안 연구: 합의제 기구 전환 15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를 중심으로」, 「문화예술분야 공공지원금의 재정 안정성 및 정책적 개선 방안에 관한 탐색적 연구: 문화예술진흥기금을 중심으로」, 「문화예술 지원체계 개선을 위한 연구」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