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력의 원리

협력으로 집단지성 구현하기
$28.51
SKU
9791130318035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9 - Thu 05/15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5/6 - Thu 05/8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3/09/01
Pages/Weight/Size 171*244*5mm
ISBN 9791130318035
Categories 대학교재 > 사회과학 계열
Description
‘협력’은 집단 속의 개별 행위자들이 가진 능력과 구성원들의 다양성을 집단화하는 것을 말한다. 협력의 결과로 만들어지는 ‘질서’는 새로운 정보들이 모여 형성되는 집단의 형태를 말한다. 협력은 집단에서 문제해결을 위한 가장 중요한 단계로서 집단 내 구성원들 간의 상호작용 양상, 협력을 촉진하기 위한 원인, 조건, 방법 등이 관심의 대상이 된다. 질서는 무질서에서 질서로 가는 과정, 네트워크의 양상과 안정성, 질서를 형성하면서 새로운 창발을 만들어 내는지의 여부 등이 주된 연구 과제이다.

아울러 가상공간인 웹(web)에서의 협력 양상도 탐구할 것이다. 정보화 사회를 넘어 초연결 사회를 살고 있는 우리는 가상공간에서 정보재를 통해 이루어지는 협력이 어떤 모습인지 파악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협력을 위해서는 어떤 방식으로든지 조율이 필요하다. 그 방법은 각 개인이 스스로 자신의 행동을 조정하는 경우, 행위자들이 서로의 행동을 견제하면서 조율하는 경우, 외부의 권위가 행위자들의 선택을 일률적으로 통제하는 경우 등이 있다. 이 책에서는 조율 과정에서 작동하는 이타심, 공감, 연민 등의 도덕 감정의 발현, 상대방과의 상호이행, 제도와 관행을 통한 강제 등을 연구할 것이다.

그 과정에서 혈연선택 이론, 자연선택에 의한 진화 이론, 집단선택 이론, 이기적유전자 이론, 이타적반응 이론, 유전자-문화공진화 이론 등을 살펴보고, 합리성이 초래하는 사회적 딜레마를 풀기 위해 반복 게임이론에 기초한 직접적 상호성, 간접적 상호성 및 일반화된 상호성이론과 협력의 집단적 패턴으로서 공간선택에 기초한 네트워크이론을 검토할 것이다.

나아가 이 책은 사회과학적 입장에서 거버넌스의 형성과 그 유형 및 거버넌스 내부에서의 협력을 극대화하고 유지시켜 나가는 방법을 탐구할 것이다. 아울러 자연과학적 입장에서 구성원들의 분산된 행동이 집합적 목표를 향해 결합되는 자기조직화 과정과 복잡계에서의 질서를 중요하게 다룰 것이다. 인간행동의 기초는 자연과학의 원리에서부터 그 단초를 찾아야 한다고 보기 때문이다.

협력의 가치를 평가하는 사람들은 우리 인류가 풀어야 할 난제들인 지구적 재난이나 불치의 암이나 바이러스의 확산뿐 아니라, 경제의 위기나 전쟁 등 공유지를 둘러싼 비극을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해법은 협력이라고 역설한다. 또한 학자들은 협력을 통해 질서가 형성되는 구조와 규칙을 파악하고, 무질서와 질서 간의 갈등과 변화를 연구하며 복잡한 체계, 즉 복잡계에서 작동하는 자기조직화 원리를 찾는 일은 어려운 문제들을 함께 해결하는 집단지성의 과제라고 주장한다.

이 책은 2018년도에 저자가 교육부 산하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출판한 『집단지성의 이해』가 매진됨에 따라 그 책의 내용들 중에서 거시이론에 해당하는 부분들을 대폭 보완하여 출판하는 것이다. 미시이론에 해당하는 집단지성의 원리에 대한 내용을 구체적으로 알고 싶은 독자들은 저자의 ??집단지성의 원리??(2022)를 읽어보기를 권한다.
Contents
서장 협력과 집단지성

제1장 질서와 거버넌스의 이해
1. 질 서
2. 거버넌스
제2장 질서(거버넌스)의 세 유형
1. 거버넌스의 이념형 분류
2. 하이어라키
3. 헤테라키
4. 아나키기능
5. 아나키의 가격과 하이어라키의 그림자
제3장 협력의 의의
1. 상호작용과 협력
2. 협력과 선택: 합리적 선택이론과 게임이론
제4장 협력의 방법
1. 사회적 딜레마
2. 협력의 방법들
제5장 네트워크와 협력
1. 네트워크와 공간적 구조
2. 반복게임과 협력규범의 발생
3. 네트워크 구조와 협력
제6장 웹(web) 공간에서의 협력
1. 웹 공간에서의 협력의 특징
2. 위키피디아의 사례
3. 웹에서의 공공재 게임
제7장 복잡계 이론과 협력
1. 복잡계와 자기조직화
2. 행위자기반 모형
3. 집단화와 유형들
제8장 협력의 미래

결론 협력으로 집단지성 구현하기

부록1 집단지성 개념의 이해

부록 2 집단지성의 모형들
Author
권찬호
(前)상명대 인문사회대학 행정학부교수로서 서울캠퍼스 교학부총장, 교육혁신원장, 대학원장, 대외홍보처장 등을 역임하였으며, 2023년 2월 황조근정훈장을 수여하였다. 현재 상명대 수탁기관인 서울 은평구평생학습관장으로 근무하고 있다.

중앙대 행정학과(학사) 및 정치외교학과(박사), 미국 노스웨스턴대 정치학과(MA 및 PhD 코스웍 이수), 독일 라이프치히대 교육학과(교환 교수), 서울대 국가정책과정(제57기) 등에서 행정학, 정치학, 외교학, 교육학, 정책학 분야를 두루 전공하였다.

행정고시 제22회에 합격하여 정무장관실 총무과장, 국무총리실 정무담당관, 대통령비서실 정무수석실 행정관, 제도개선비서관, 의전비서관 등을 역임하였으며, 주)시애틀총영사관 제11대 총영사로 재직 중 건강한 동포사회의 구축을 위해 노력하였다.

학술 논문으로 민주시민교육의 제도화, 글로벌 거버넌스, 사회혁신 사례, 조직문화, 집단지성 시대의 민주주의 등을 연구하여 발표하였고, 주요 저서로 정책결정과 당정협의(2006), 민원행정 제도연구(2008), 집단지성의 이해(2018), 집단지성의 원리(2022) 등이 있다.
(前)상명대 인문사회대학 행정학부교수로서 서울캠퍼스 교학부총장, 교육혁신원장, 대학원장, 대외홍보처장 등을 역임하였으며, 2023년 2월 황조근정훈장을 수여하였다. 현재 상명대 수탁기관인 서울 은평구평생학습관장으로 근무하고 있다.

중앙대 행정학과(학사) 및 정치외교학과(박사), 미국 노스웨스턴대 정치학과(MA 및 PhD 코스웍 이수), 독일 라이프치히대 교육학과(교환 교수), 서울대 국가정책과정(제57기) 등에서 행정학, 정치학, 외교학, 교육학, 정책학 분야를 두루 전공하였다.

행정고시 제22회에 합격하여 정무장관실 총무과장, 국무총리실 정무담당관, 대통령비서실 정무수석실 행정관, 제도개선비서관, 의전비서관 등을 역임하였으며, 주)시애틀총영사관 제11대 총영사로 재직 중 건강한 동포사회의 구축을 위해 노력하였다.

학술 논문으로 민주시민교육의 제도화, 글로벌 거버넌스, 사회혁신 사례, 조직문화, 집단지성 시대의 민주주의 등을 연구하여 발표하였고, 주요 저서로 정책결정과 당정협의(2006), 민원행정 제도연구(2008), 집단지성의 이해(2018), 집단지성의 원리(2022) 등이 있다.